[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

 1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
 2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2
 3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3
 4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4
 5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5
 6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6
 7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7
 8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8
 9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9
 10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0
 11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1
 12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2
 13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3
 14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4
 15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5
 16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6
 17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북아정치론] 중국의 동북아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탈냉전 이후의 중국의 안보전략
1. 중국의 안보이익과 안보전략 그리고 신안보 개념.
2. 9.11 이전의 중국의 안보전략 (1990~2001)
3. 9.11 이후 중국의 안보전략

Ⅲ. 중국과 미국의 관계 변화
1. 탈 냉전 이전
2. 탈 냉전 이후
3. 9.11 테러 이후

Ⅳ.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
1. 탈냉전 이후 북ㆍ중 관계
2.탈냉전 이후 중ㆍ한 관계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동북아 지역 안보를 논함에 있어서 중국은 빼놓을 수 없는 국가 중의 한 나라이다. 특히 중국은 78년 개혁개방을 시작으로 고립되어있던 냉전시기와는 달리 탈냉전 이후 국제사회로 진입하여 정치적으로서나 경제적으로서나 세계에 그 영향력을 점차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안보 역시 예외일 수 없는데, 유일하게 미국과 대치되었던 소련이 붕괴된 이후에 미국이 패권국으로 세계의 질서를 주도해 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급속한 경제적 부상으로 미국에 있어서 가장 위협적인 존재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안보전략은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 평화의 성격을 결정지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의 안보전략을 알아보고, 동북아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하지만 9.11 테러사태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의 변화에 따른 중국의 안보전략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9.11을 중심으로 그 이전과 그 이후로 나누어서 중국의 전략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로, 미국은 동북아시아 국가는 아니지만 동북아시아 안보에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고, 중국의 안보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끼치는 국가이므로 중국과 미국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동북아 안보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 생각하여,중국과 미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과 미국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전략적 협력관계를 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만문제나, 무역문제, 인권문제 등 민감한 사안을 놓고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주목할 것은 9.11 이후 중국과 미국이 반테러를 위한 협력자적 관계의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어떠해왔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인지 살펴보도록 할것이며, 마지막으로 동북아안보를 살펴보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한반도에 대한 함의를 알아보기 위한 것임을 상기해 볼 때,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비록 한국과 중국의 안보 문제가 직접 양국과의 관계로 결정지어지는 것보다 주변국들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결정지어지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한중관계, 특히 북한을 포함한 한국과 북한, 중국의 관계는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재미있는 것은 북한만을 한반도 유일의 정부로 인정하던 중국이 92년 한국과 수교한 이후 북한과 한국, 두 나라와 모두 수교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북한에 대해서는 군사나 정치적인 유대를, 한국에 대해서는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서 인데, 한마디로 한반도에 대해서 실용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점차 세계에서 그 영향력이 강해지는 중국이 북한의 핵문제 대한 다자회담에도 참석하는 등 한반도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가운데, 북한, 한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가려고 하는지 주목된다. 다음에서, 탈냉전 이후의 중국의 안보전략, 중국과 미국의 관계, 중국과 한국의 관계를 세장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도록하자.
참고문헌
- 이상현 (편), 신세계질서와 동북아 안보(성남:세종연구소,2004)
- 송대성 (편저), 주변국 안보정책과 우리의 대응 전략: 9.11 테러사태 이후(성남: 세종 연 구소,2003)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동북아 전략 균형(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3)
- 김성철 (편), 「미중일관계와 동북아질서」(성남, 세종연구소, 2003)
- 김재철, “중국의 동아시아정책,” (국가전략, 제9권 4호 2003년 겨울)
- 김재관, “ 21세기 중국의 대국화 신안보전략,” 「한국과 국제정치」,
(제19권 제 1호 2003년 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 정재호, “중국의 부상, 미국의 견제, 그리고 한국의 딜레마”(신동아 10월)
- 이태환, 「중.미 관계의 변화」(세종연구소)
- 이영길, 「臺灣海峽 情勢 動向과 展望」(한국국방연구원)
- 김영화, 「강택민과 중국정정치」(도서출판 문원, 1997)
- 서진영, 「현대중국정치론」( 나남출판, 1997)
- 조승행 “중국사회주의 체제의 위기적응에 관한 연구 : 천안문 사건을 중심으로“(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7)
- 오영달, “989 베이징의 봄 : 주권과 인권에 대한 상반된 이해간의 충돌“
- 강준영, 전병곤,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지영사)
- 이장훈, 「 - 미국과 중국의 21세기 아시아 패권 정탈전」(삼인, 2003)
- 홍석률, “1970년대 전반 북미관계: 남북대화, 미중관계 개선과의 관련 하에서”(한국국제 정치학회, 2004)
- 유진석 “마국테러 사태 이후 중국에의 영향 및 미중관계 전망”(삼성경제 연구소)
- 류동원 「21세기 미중관계」(신지서원)
- 이삼성, 「세계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