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

 1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1
 2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2
 3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3
 4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4
 5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5
 6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6
 7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7
 8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8
 9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9
 10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10
 11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11
 12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12
 13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13
 14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가상사회]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정체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체성의 문제설정

Ⅱ. 자아와 정체성의 의미
1. 자아와 정체성의 개념
2. 모더니즘의 정체성
3. 포스모더니즘의 정체성

Ⅲ. 자아 발달 환경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특성

Ⅳ.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와 정체성의 양상 - 다면성과 유연성
본문내용
산업사회의 주요관심이 주로 '이해(Interest)'에 있었다면, 후기산업사회의 주요관심은 '정체성(Identity)'에 놓여 있다(Goldstein, 1994). 사실 오늘날 정체성의 추구는 과거의 어느 때보다도 강렬한데, 개인차원에서 뿐 만 아니라 정체성을 단지 개인적 성취물로만 만들어내는 것에 저항하면서 부족, 민족, 집단, 혹은 다른 형태의 집합적 정체성을 점점 더 강조하는 경향도 존재한다. 세계곳곳에서 부족주의나 다른 과거의 집합적 정체성의 형태 - 민족적, 종교적, 혹은 인종적 정체성 - 로 되돌아가는 움직임이 있었으며, 개인이 집단의 성원이 되어 집합적 정체성(예를 들자면 여성, 레즈비언, 게이, 또는 이들의 일정한 조합)을 받아들임으로써 정체성을 얻게되는 이른바 정체성의 정치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획을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전통사회에서는 사람들의 정체성은 고정되어있고 견고하며 안정된 것이었다. 정체성은 한 사람이 세계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규정하는 전반적인 방향과 종교적 제약을 제시하는 한편, 사고와 행동의 영역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미리 규정된 사회적 역할이자 전통적 사회체계로서 기능 하였다. 인간은 씨족, 고정된 친족 체계, 나아가 한 종족 또는 집단의 일원으로서 태어나고 죽었으며 그의 인생 행로는 미리 정해져있었다. 따라서 현대 이전의 사회에서 정체성은 문제 될 것이 없었으며 성찰이나 토론의 주제가 되지도 않았다. 개인은 정체성 위기를 겪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수정할 일도 없었다. 사냥꾼이면서 어떤 종족에 속한 사람은 그러한 역할과 기능에 따라서 자신의 정체성을 획득하였다.
참고문헌
강내희(1997), 사이버 문형과 주체형성, 문화과학 10호.

김문조(1998), 정보화 사회:본질과 유형, 정보화 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한국언론학회, 한국사회학회 엮음, 세계사
(1998), 'Cybersociety: Forming-Performing-Reforming, Asia-Pacific Regional Expert Meeting on Legal Framework of Cyberspace 발표문.

김종엽(1997), 자아 정체성과 정치: 푸코와 기든스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

류승호(1997),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공동체, 창작과 비평, 1997년 봄호.

서동진(1997), 디지털 부족들 - 접경의 연속체, 문화과학 10호.

셰리 터클, 라캉과 정신분석 혁명, 여인석 역, 민음사.

Alain Tourane(1992), 현대성 비판, 정수복, 이기현 역, 문예출판사.

알뛰세,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김동수역(1991), 아미엥에서의 주장, 솔.

이진경(1995), "자끄라캉, 무의식의 이중구조와 주체화", 철학의 탈주, 샛길
(1997), 근대적 주체와 정체성- 정체성의 미시 정치학을 위하여,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

황상민(1997),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가상공동체 의식과 복합정체성의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홍성태 엮음(1996), 사이버공간, 사이버 문화, 문화과학사.

N. 캐더린 헤일즈, "사이버 공간의 유혹" 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사이몬 페니, "계몽 기획으로의 가상현실"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마가렛모스, "사이보그들은 무엇을 먹는가?: 정보사회의 구강논리학"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다나 하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