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

 1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
 2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2
 3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3
 4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4
 5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5
 6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6
 7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7
 8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8
 9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9
 10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0
 11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1
 12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2
 13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3
 14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4
 15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5
 16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6
 17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7
 18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8
 19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19
 20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증의학 -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근막(Fasia)에 대한 이해
신체의 모든 근육은 평활 근막초로 둘러싸여 있으며 근속도 근막에 의해 싸여 있고 모든 근섬유도 근막으로 싸여 있으며 세포수준의 근원섬유도 근막으로 싸여 있다
근막은 기능적으로 방해를 받거나 중단됨이 없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이르는 3차원망의 network(거미줄망)으로 전신에 펼쳐져 있는 강인한 결합조직이다.
근막의 주된 임무가 신체를 정상적 형태로 보존시켜주고 생명유지에 필요한 기관들이 올바른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근막은 일반적으로 천층, 심층, 최심층으로 분류된다.
천층은 진피 바로 밑에 놓여 있는 것이고, 심층은 근육, 뼈, 신경, 혈관과 내장을 세포수준에 이르기까지 둘러싸고 관주하고 있는 것이며, 최심층은 뇌와 중추신경계를 싸고 있는 두개선골계의 경막이다.
외상, 나쁜자세, 또는 염증 등으로 기인한 계통의 기능이상은 근막을 속박할 수 있고, 그 결과 특정부위 또는 전신의 구성요소에 비정상적인 압박이 일어난다. 근막의 구축은 신체에 때로는 기묘한 비특이적 반응으로 나타나거나 피부분절과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통증이나 기능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세포수준에서 근막은 간극을 형성한다. 이는 지지, 방어, 분리, 세포호흡, 대사, 배설, 조직액과 임파액의 흐름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세포수준의 건강과 면역계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골격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은 단순히 뼈들의 집합이라고 보는 것이다. ―즉 척추는 뼈위에 다른 뼈가 차곡차곡 쌓여 있는 것이며 그 외의 다른 뼈들은 어딘가에 매달려 있고, 이런 뼈들에 붙어 있는 근육들에 의해 전체구조가 움직인다는 것이다―이는 근막계의 역할이 무시되고 잘못 이해되어 잘못된 시각이 전개된 것이다.
골격의 수직적 자세는 근막‧근육의 톤과 수축성, 근막 구획에 의해 만들어진 수압에 의해 산출된 긴장된 힘에 의지한다. 뼈로 된 구조물은 근막에 의해 자세와 동작이 결정되어지는 단단한 대들보로 작용한다. 만일 뼈를 제자리에 붙잡아 주고 뼈의 선회축을 조정해 주는 긴장된 균형이 존재하지 않으며 뼈에 가해진 부하는 뼈를 관절에서 미끄러져 벗어나게 만들 것이다. 뼈는 절대적 구성원이라기 보다는 공간자로 작용하며 대다수의 부하는 뼈에 의해서가 아니라 근막cable에 의해 실제적으로 견디어지게 된다.

fasia man은 어떻게 근막구축이 전신으로 퍼져 나가 증상을 야기할 수 있는가를 단순화시켜 보여준다. 요선추 부위에 가해진 단하나의 손상으로도 fasia man은 후두통, 상경부의 통증과 기능장애, 흉곽 주위의 쪼이는 느낌, 요선통이나 하지 후측의 긴장이나 유연성의 감소를 겸험하게 된다. 더욱이 외상시나 구조적 불균형이 전개되고 일을 때의 통증기억과정이 중추신경계에 자리잡게 된다. 만일 근막구축과 멀리 떨어진곳에서 증상들이 발생되면 국소적 치료들은 근막 구축으로 인한 불균형과 과다압력 때문에 일시적인 효과밖에 얻을 수 없다.
멀리 떨어져 있는 신체의 부위도 스트레스에 대한 보상과 적응의 작용으로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구조적 변화와 결국에는 병리적인 변화까지 나타나게 된다. 신경근육근막과 골격구조의 변화를 일으켜 눈에 띄는 신체적 변화가 발생하게 만들 수 있고, 이러한 변화 자체가 통증‧역학적비효율‧관절의 구축‧심혈관계의 병적 변화‧에너지손실‧전신적쇠약감‧피로와 같은 더욱 진행된 스트레스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보면 근막cable이 system전체에 걸쳐 적절한 길이가 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인식할 수 있다.

치료의 목표는 근막구축을 제거하고 신체의 평형상태를 회복시키는 데에 있다. 구조가 균형된 상태로 복귀되어지면 신체는 중력에 맞게 재배열된다.
인체는 강력한 근막망의 상호관련을 통해 통합된 전체로 보아야 한하고, 치료는 신체의 일부분에 국한 하지 말고 전 근막계통을 다루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