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학] 홍역에 관하여

 1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
 2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2
 3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3
 4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4
 5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5
 6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6
 7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7
 8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8
 9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9
 10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0
 11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1
 12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2
 13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3
 14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4
 15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5
 16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6
 17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7
 18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8
 19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19
 20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임상연구][미생물] 예방접종을 받은 어린이의 홍역
  •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풍진,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수두,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홍역,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성홍열,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수두증(뇌수종), 유행성 전염병(감염병) 볼거리(유행성이하선염)
  • 대한민국의 허술한 질병 예방과 대책 체계에 대한 조사
  • [아동건강간호학]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과 주의사항
  • [의학]소아에게 생길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증
  • [2023 기초간호과학] 1.급성염증과 만성염증 과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 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2.표적치료제의 정의와 대표적인 기전을 설명하고, 적합한 간호중재를 2가지 이상 3.예방접종은 수동적 예방접종(수동면역)과 능동적 예방접종(능동면역)으로 나뉜다.
  • 뇌수막염 레포트
  •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의 정의,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의 원인과 유발요인,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의 증상,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 진단기준,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 합병증 예후, 가와사키병(가와사끼병) 간호
  • [예방접종][예방접종 종류][예방접종 시기][예방접종 부작용][예방접종 주의사항]예방접종의 종류, 예방접종의 시기, 예방접종의 부작용, 예방접종의 주의사항 분석(예방접종, 예방접종 종류, 예방접종 시기)
  • 전염병의 개념, 발생과정과 종류 및 관리원칙
  • 소개글
    [보건학] 홍역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홍역의 정의
    2.홍역의 역사
    3. 전파양식
    4. 증상
    5. 진단 및 감별진단
    6.홍역의 치료
    7.홍역의 예방
    8,9. 국내외 발생현황
    10.기타

    홍역일제예방접종사업 실시 후 홍역 환자 발생 양상
    본문내용
    1.홍역의 정의

    홍역은 마진(痲疹)이라고도 한다. 발열과 발진을 주증세로 하고 병원체는 홍역 바이러스이며 신고전염병의 하나이다. 홍역은 도회지에서는 5~6월, 지방에서는 4~6월과 12월에서 이듬해 1월 사이에 많이 볼 수 있는데, 유행은 매년 균일하지 않고, 대도시에서는 2~4년 주기로, 또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보다 긴 간격으로 유행한다.

    홍역 바이러스에 대한 인류의 감수성은 높고 미감염자가 감염기회를 만나면 연령에 불구하고 약 95 %가 발병한다. 또 한번 걸리면 일생면역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대다수가 어릴 때에 걸리며, 큰 아이나 성인이 걸리는 일은 드물다. 다만 홍역에 걸린 일이 있는 어머니에서 태어난 갓난아기는 생후 3개월까지는 걸리지 않으며, 생후 4~6개월 사이에는 걸리지 않거나, 걸려도 경증으로 경과한다. 생후 9개월을 지나면 감염되었을 때 발병하는 일이 많아지고, 이후 4세까지는 이환율이 가장 높다. 대부분은 3~6세 사이에 걸린다.

    홍역 바이러스는 전구기(前驅期) 및 발진기(發疹期)의 환자의 비인강(鼻咽腔)이나 결막의 분비물, 혈액이나 오줌 속에 많이 있는데, 보통 재채기 ․기침 등에 의하여 비말감염(飛沫感染)한다. 가장 전염력이 강한 것은 발병에서 발진의 제1일째까지이며, 그 후에는 감염의 위험이 급속히 감소하고, 발진 제4일 이후에는 감염의 염려가 없다.


    2.홍역의 역사

    (우리나라)

    ★ 성녕대군묘 및 신도비
    성녕대군은 조선 제3대 태종의 4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이고 창령성씨 좌찬성 억의 딸과 혼인하였다. 일찍이 성녕군에 봉해졌다가 태종 14년(1414) 대군으로 진봉되었는데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태도가 단정하여 부왕의 총애를 받았다. 대광보국대부의 위계에 올랐으나 14세때 홍역을 앓고 돌아갔다 태종은 이를 몹시 비통해하여 그의 묘옆에 대자암을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대자동 대자산 기슭에 위치한 성녕대군 이종의 묘는 3단의 장대석을 쌓았으며, 묘의 주위로는 호석을 둘렀다. 묘소의 좌우에는 석호(石虎)와 석양(石羊)이 배치되어 있으며, 묘 앞에는 상석(床石)과 장명등(長明燈)이 있고 그 좌우에 문인석(文人石)을 세웠다.

    정약용
    1792년에 홍역을 치료하는 여러 가지 처방을 기록한 을 저술했고 종두법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연구실험하였다 마과회통: 조선 후기에 지은 마진(痲疹:홍역) 치료에 관한 책이다.

    참고문헌
    http://nip.nih.go.kr/
    http://www.donga.com/fbin/moeum?n=k$87&a=v&l=10&id=200101090477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ques_view.html?dnum=FAI&qnum=19621
    http://nanum.pe.kr/nh4fr/fr020214.htm
    http://dis.moh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