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

 1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1
 2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2
 3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3
 4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4
 5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5
 6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6
 7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철학] 기독교예술비평방법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로티의 신실용주의와 해석공동체 : 기독교 예술의 정체성
3. 해석의 윤리학 : 비평가의 책임과 윤리
4. 나가는 말 : 기독교 예술 비평이 나아갈 길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어떤 기독교 단체나 문화 선교회에서 예술 작품을 평가하는데 있어 "좋다," "나쁘다," "도덕적이다," "패륜적이다," "건전하다," "유익하다," "세속적이다," 라고 말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아마 나름대로의 평가기준과 가치 판단의 근거가 분명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기준을 절대적으로 신뢰해야만 하는가? 미인대회를 예로 들어보자. 미인선발대회를 보면서 "도대체 어떤 사람이 미인이죠," "나는 어떤 사람이 미인인지 도대체 알 수가 없어요?" 라는 따위의 질문을 던지는 사람은 없다. 미인을 판단하는 데에는 각자 나름대로의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심사위원단들의 기준의 의해 미인이 선발된다고 하더라도, 자기 눈이 잘못되었다고 쉽게 수긍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마 게거품을 물면서라도 자신의 심미안을 옹호할 것이다. 기독교 예술을 평가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고상하고, 예술적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는 비평가가 '이것이 이 작품에 대한 기독교적 비평이다'라고 말한다고 하더라도 모든 기독교인들이 다 동의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기독교 예술 비평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특정한 해석공동체의 권위에 일방적으로 순종하면서 맹목적으로 추종해야만 하는가? 아니면, 누가 뭐라고 하든 상관하지 않고 자신의 견해와 평가만을 고집할 것인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답을 나름대로 찾고자 시도한 것이다.
참고문헌
David Tracy, Plurality and Ambiguity: Hermeneutics, Religion, Hope, San Francisco, Harper and Row, 1987.
Daniel Patte, Ethics of Biblical Interpretation, Louisville, Kentuch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5.
Kevin J.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Grnad Rapids, Michigan, Zondervan P. H., 1998.
수잔 갤러거·로저 런든, 김승수 역, 『신앙의 눈으로 본 문학』, 서울,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1995.,
리런드 라이켄, 권연경 역, 『기독교와 문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1.
김동식, 『로티의 신실용주의』,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4.
폴 히버트, 김영동/안영권 역, 『인류학적 접근을 통한 선교현장의 문화이해』, 서울, 죠이선교회출판부, 1997.
제인 톰킨스, 윤호병 역, "미국에서의 독자반응비평," 박찬기 외, 『수용미학』, 서울, 고려원, 1992.
이유선, "리차드 로티," 박정호 외 3인 엮음, 『현대철학의 흐름』,서울, 동녘, 1996.
이명현, "로티와 로티의 피안," 엄정식 외, 『현대철학특강』,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9.
엄정식, "리처드 로티: 현대 철학과 인식론적 상대주의," 김욱동 엮음,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서울, 현암사, 1991.
정경택, "선교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예술," 한국복음주의 선교신학회 편, 『선교를 위한 문화인류학』, 서울, 이레서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