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무용]현대인도무용

 1  [인도무용]현대인도무용-1
 2  [인도무용]현대인도무용-2
 3  [인도무용]현대인도무용-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도무용]현대인도무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완벽한 합일의 과정, 그 세 단계
공간과 몸의 관계
첫 번째 Solo-생성: 탄생이 주는 타성적 몸짓
두 번째 Solo-유지: 움트기 시작하는 사유의 춤사위
세 번째 Solo-소멸: 생동하는 존재의 성찰
현대의 언어를 통한 인도 정신의 재창조
본문내용
무용가 빠드미니 추(Padmini chettur)는 1970년 생으로 어린 시절, 인도의 전통 무용인 바라타나트얌을 접했다. 1991년 인도 첸나이의 찬드라레카 무용단에 8년 동안 몸을 담음으로써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움직임을 익히게 된다. 이런 영향으로 무용단 생활을 하는 동안 안무에 있어 풍부한 감정을 육체의 언어로 표현하는 스타일을 만들기 위해 애써왔고, 1999년부터 선보인 자신의 작품을 인도와 유럽에서 공연을 해오고 있다. 그녀의 안무는 인도무용의 전통과 사상을 현대적 움직임을 통해 자유롭게 해석해 왔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2004년 10월 4일에 개막한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공식부분초청작품으로 한국을 찾은 빠드미니 추의 'Solos'를 통해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성장과 완성의 의미를 짚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인도 예술을 바탕으로 한 그녀의 몸짓이 어떤 해석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도의 전통 무용 중에 가장 오래된 양식인 바라트나트얌(Bhart Natyam)은 남인도의 사원들에서 제사의식에 행해졌던 것이다. 방울로 된 발목걸이를 착용한 발은 리듬을 연주하고, 손의 움직임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 시켜 나간다. 다양한 표정의 변화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신들의 감정을 나타낸다. 바라트나트얌은 후에 인도 각지역의 무용에 영향을 미쳐 인도 전통 춤 양식의 기저에 자리 잡게 되었다.
서양 철학에서 ‘3’이 갖는 의미는 모순이 드러나지 않는 정(正)의 단계에서 모순이 밖으로 표출 되는 반(反), 이후 충돌과 함께 종합통일 되는 합(合)이 일어나는 세 단계를 말한다. 하지만, 인도철학에서는 ‘3’이 갈등과 모순의 표출이 가져오는 합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미 완전무결한 신의 진리 속에서 나름의 질서를 파악하고 의미를 몸소 체험하는 것으로써의 ‘3’만이 존재한다.
① Tri-Bhanga 인도 조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의 실루엣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개념이 ‘세번 굽히기(Tri-Bhanga)자세’다. 골반을 한번 꺾고, 어깨를 한번 비틀고, 고개를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나타나는 세 번의 곡선이 바로 그것인데, 이는 인도 여인들이 아기를 돌볼 때나 물 긷는 항아리를 옮길 때 등 생활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자세라고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