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

 1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
 2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2
 3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3
 4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4
 5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5
 6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6
 7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7
 8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8
 9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9
 10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0
 11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1
 12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2
 13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3
 14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4
 15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5
 16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6
 17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7
 18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8
 19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19
 20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 제작 및 타당화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검사의 필요성 및 개발동기

2. 선행 연구 검토

3. 검사 제작
3.1 제작 과정
3.2 검사 구인 설정
3.2.1 자기조절능력
3.2.2 대인관계능력
3.2.3 긍정성

4. 검사 분석
4.1.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2. 신뢰도 분석
4.2.1.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 - Cronbach α
4.2.2. 반분검사신뢰도
4.3 타당도 분석
4.3.1.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4.3.2. 문제가 있어 삭제한 문항들에 대한 검토

5. 한계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 검사의 필요성 및 개발동기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대학생’이라는 집단은 사회적으로 굉장히 주목을 받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의 대학생 혹은 20대 초반의 성인들은 학생이면서도 예비-사회초년생으로서 ‘규정하기 힘든’ 조건들에 놓여 있으며, 그러면서도 다른 어느 집단과도 구별되는 독특한 정서나 문화들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20대 초반 혹은 대학생들은 희망과 가능성을 품은 존재들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취업난과 취약한 노동시장구조 등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특히 ‘88만원 세대’라는 명칭은 오늘날 20대 초반이 처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들에게 요즘 가장 유행하고 있는 어휘 중 하나는 ‘멘탈붕괴(멘붕)’이며, 특히 ‘청춘’들을 ‘힐링’하겠다고 나선 ‘멘토’들이 인기를 끌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멘토들의 위로가 청춘들의 ‘멘붕’에 작은 위안이라도 될 수 있다면 그것은 그것 나름대로 좋은 일이겠으나, 보다 중요한 것은 청춘 그들이 스스로 온전히 (정신적으로)건강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이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다.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처한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정신적 저항력'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몇 가지 검사가 개발되어 있으며 학계에서도 대중적으로도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청소년을 위한 회복탄력성 검사 역시 개발된 바 있으나 ‘대학생용’ 회복탄력성 검사는 전무한 상황이다.
특히 성인을 위한 회복탄력성 검사로서 한국에는 대표적으로 김주환이 개발한 KRQ-53이 있다. 이 검사는 다양한 연령층의 성인들을 포괄하기 위해 모호한 어휘들을 사용하는데, 때문에 이 검사의 문항들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기에는 그다지 적확하지 않다는 것이 본 검사개발팀의 소결이었다. 또한 하부 구인에 있어서도 몇 가지 문제가 발견되어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들과 기존 검사 구조들을 참조하여,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측정 도구 개발을 시도했다. 기본 구조는 김주환의 KRQ를 따르나 그 하위 구인을 일부 수정하고, 문항들을 ‘대학생’, ‘대학생활’, ‘대학문화’와 관련하여 새롭게 제작하였다. 총 135명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해보았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와 반분검사신뢰도를 알아보았다.
참고문헌
김석우, 『사회과학 연구를 위환 SPSS AMOS 활용의 실제』, 학지사, 2010
김연형, 『PASW18과 사회과학 자료분석』, 교우사, 2010
김주환, 『회복탄력성-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 위즈덤하우스, 2011.
김주환 외 2명,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이해, 활용 및 프로그래밍』 , 도서출판 청람, 2판, 2006.
신우열·김민규·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한국청소년연구, 2009, Vol.20. No.4, pp.105-131.
홍은숙,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 특수교육학연구 제41권 제2호, 2006, pp.45-67.
Aida alayarian, 『난민치료센터 상담 중심의 트라우마 회복탄력성과 상담실제』 , 시그마프레스, 2011.
조앤 보리센코, 안진희 역, 『안과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마음의 힘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비밀’』 , 이마고,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