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

 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
 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2
 3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3
 4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4
 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5
 6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6
 7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7
 8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8
 9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9
 10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0
 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1
 1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2
 13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3
 14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4
 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5
 16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6
 17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7
 18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8
 19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19
 20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특수교사]특수학교교사(장애인학교교사)의 자격, 특수학교교사(장애인학교교사)와 특수학급과 통합교육 및 독서지도, 특수학교교사(장애인학교교사)의 지도수기 그리고 특수학교교사(장애인학교교사)관련 제언 분석
  • 장애학생의 교육과 교육과정2
  • 통합 환경에서의 교육과정
  • 장애학생의 교육과 교육과정1
  • 시각장애아동의 정의, 시각장애의 원인, 시각장애아동의 특성과 시각장애아교육의 배경, 시각장애아교육의 원리 및 시각장애아교육의 내용, 시각장애아의 컴퓨터교육 그리고 향후 시각장애아교육의 개선 방안 분석
  • 통합교육의 현황과 과제분석
  • 특수학교(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교육이론과 편성운영, 특수학교(장애인교육,특수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육전달체제, 특수학교(장애인교육,특수교육)교육의 발전 방안, 특수학교(장애인교육,특수교육)교육 관련 제언
  • [특수교육]미국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독일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뉴질랜드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학교), 일본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학교), 한국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학교)
  • 통합유아교육과정의 유형과 효과에 관한 고찰(장애아중심)
  • [특수교육]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개념,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목적,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대상,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교육과정,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수준별교육, 향후 특수학교교육(장애인교육)의 개선방향 분석
  • 소개글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목적

    Ⅱ.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법적) 근거

    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 규정의 변천

    2.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법적) 근거

    Ⅲ.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1 . 통합교육 실시의 기반

    2 . 물리적환경

    3 . 학생선정과 배치

    4 . 교육과정과 교재

    5 . 통합을 위한 교사의 역량

    6 . 법과 제도

    Ⅳ.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제도적 대안 탐색

    1. 통합교육의 개념

    2. 통합교육의 원리

    3. 제도적 대안 탐색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연구목적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30여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양적으로 급성장한 특수학급은 3,846학급(58.7%)이 있으며, 26,815명(52.38%)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1). 또한 1990년에는 전일제 특수학급이 61.5%,시간제 특수학급이 36.3%이던 것이, 2001년에는 시간제 특수학급이 전체 특수학급의 93%로 주종을 이루어 외형적 측면에서 통합교육의 제일 단계인 물리적 통합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특수학급
    은 일반학교 내의 제2지위의 특수학교로 정체성이 인식되어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구성원으로서 자격권 및 소속감을 강화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장애학생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에 대해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기보다는 국어·수학 과목의 보충 지도실처럼 운영됨으로써 그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고, 통합교육의 오용으로 특수교사 및 일반학급 교사의 교수 책무성의 사각지대가 되기도 하는 등 교육의 질에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박승희, 1999a).
    최근 통합교육의 흐름은 장애학생이 일반학급의 교사와 또래로부터 학급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획득하고, 안정된 사회적 관계망의 일원으로 자연스런 환경에서 사회적 상호작요에 참여하며, 안정된 친구관계에 참여하는 사회적 통합과 일반학급의 교과수업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교수적 통합으로 나아가고 있다. 사회적 통합과 관련하여 일반학생의 태도변화,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사회적 관계, 친구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강경숙 외, 2000).
    일반학급에서 일반교육과정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촉진하고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해서는 수업내용이 각 학생에게 의미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교수방법이나 교수자료에 있어서도 변화가 요구된다(박승희, 1999b).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은 일반학교로의 물리적 배치를 넘어서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수업시간의 교육의 질에 대한 문제점들로 집중되고 있다.(박승희, 1996; 박승희, 1999; 박승희, 1999b; 박승희 외, 2001.11)
    이에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론적(법적)근거,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그리고 일반교육과정 적용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조사하여,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며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정영희(2002).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조사연구 석사 학위논문
    김남진, 김용욱 역(2010). 교육에서의 보편적 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창언(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 규정의 문제와 대안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제46권 제1호. 79-99쪽
    윤기종(2002),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발전과정과 정책방안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현, 박은혜(2011). 특수아동교육: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 지침서(3판).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