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

 1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
 2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2
 3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3
 4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4
 5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5
 6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6
 7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7
 8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8
 9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9
 10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0
 11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1
 12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2
 13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3
 14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4
 15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5
 16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6
 17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7
 18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8
 19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19
 20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용운 세계관과 문학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백담사와 만해마을
1) 답사 장소 소개
2) 백담사 관련 설화

2. 작가 탐구 - 한용운
1) 작가 소개
2) 한용운의 세계관
3) 한용운의 대표 문학작품
4) 대표 작품 분석
본문내용
1. 백담사(百潭寺)와 만해마을

1) 답사 장소 소개


백담사(사진)는 대청봉, 대암산 용늪, 대승폭포, 12선녀탕 계곡, 내린천 계곡, 방동약수, 합강정과 함께 인제 8경에 속하며 그 중 제7경이다.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2리 설악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다. 이 절에 관한 기록으로는 「설악산심원사사적기」와 한용운이 편찬한 『백담사사적』이 있다.
『백담사사적』은 이 절에 대해 647년(진덕여왕 1) 자장(慈藏)이 설악산 한계리에 창건할 당시, 아미타삼존불을 조성·봉안하고 절 이름을 한계사(寒溪寺)라 하였다고 전한다. 지금의 이름인 백담사로 불리게 될 때까지 7차에 걸친 실화가 있었고, 그 때마다 터를 옮기면서 이름을 바꾸었다. 운흥사(雲興寺), 심원사(深源寺), 선구사(旋龜寺), 영축사(靈鷲寺)라는 이름을 거쳐 1455년(세조 1) 백담사라고 개칭하였다. 1775년(영조 51) 겨울에 다시 불타 중건하면서 심원사(尋源寺)라 하였으며 최붕(最鵬)과 설담(雪潭)이 절을 중건한 1783년(정조 7) 이후 다시 백담사라 칭해 현재까지 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만해 한용운은 1905년에 백담사에서 머리를 깎고 스님이 되었으며, 이곳에 기거하며『조선불교유신론』과 『십현담주해』 등을 집필해 불교유신과 개혁을 추진하였다. 또한 『님의 침묵』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현재 백담사는 기존 건물 이외에 이러한 만해의 불교정신과 문학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만해기념관, 만해교육관, 만해연구관, 만해수련원, 만해도서관 등도 있다. 백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기초선원으로 지정되어 갓 득도한 승려들이 참선수행을 하고 있다.
만해마을은 한국문학사의 대표적 시인이자 불교의 대선사, 민족운동가로 활동하며 일제강점 당시 우리민족에게 민족혼을 일깨워준 만해 한용운의 문학성과 자유‧진보‧민족사상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용운의 유품 및 문학 자료를 전시하고 있으며 문인창작 집필실 운영, 문예지 발간, 학술연구 지원 사업 이외에 그림, 사진, 공예품, 시화 등의 예술작품을 창작하고 이에 대한 초대전을 열 수 있는 복합예술 공간이다.
참고문헌
Bruno Bettelheim, 김옥순 역(2009), 『옛이야기의 매력1』, 시공주니어.
강기욱(1999), 「韓龍雲의 『님의 沈黙』에 나타난 女性性 硏究」,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선화(2007), 「萬海 韓龍雲 漢詩 硏究」,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권오현(1998), 『만해 한용운 소설 연구』, 한국어문연구학회.
김광원(2010), 「님의 침묵과 禪의 세계」, 새문사.
김민정(2007), 「한용운 시에 나타난 애정의식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상웅(1997), 『33인의 약속 : 처음 밝히는 33인의 재판기록과 그 후 이야기』, 산하.
김상웅(2006), 『만해 한용운 평전』, 시대의 창.
김선풍(1983), 『한국구비문학대계 2-4 : 강원도 속초시‧양양군 편 (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용직(2010), 『님의 沈黙 총체적 분석연구』, 서정시학.
김점태(2002), 「님 지향성과 여성 편향성 : 한용운의 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남정희(2010), 『불교의 인과율로 본 한용운 문학의 존재 양상』, 우리문학회.
박정환(1991), 「萬海 韓龍雲 漢詩硏究」, 충남대학교.
서재영(1994), 「萬海 韓龍雲의 『朝鮮佛敎維新論』硏究」, 동국대학교.
선효원(1999), 「한용운·김광균 시의 대비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송영국(1999), 「韓龍雲 文學의 傳統的 硏究」,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신동욱 편(1983), 『한용운-한용운 시전집·산문집 / 한용운 평전 연구·자료』, 문학세계사.
안수연(2010), 「'오세암' 서사의 스토리텔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이강하(2005), 「만해 한용운 시의 은유구조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이행선(2012), 『식민지배체제의 실정성에 긴박된 한용운의 ‘혁명’』,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이혜경(2008), 「한용운 시의 창작 원리 연구」, 『한남어문학』,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이혜숙(2010), 「한용운 소설의 여성 인물과 주제 의식」,『돈암어문학』, 돈암어문학회.
이희숙(2004), 「萬海 韓龍雲의 漢詩 硏究」,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정채(1991), 「한용운 시의 상징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윤열(1999), 「萬海 詩의 '님'에 대한 연구: 佛敎思想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한용운(2002), 『흑풍 상(上)』, 사랑과 나무.
한용운(2002), 『흑풍 하(下)』, 사랑과 나무.
황경해(2003), 「이미지 중심의 현대시 교육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디케이(2007/12/23 22:49), ‘내설악(백담사)’ (2013/03/25).
“백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3/03/25).
www.baekdamsa.org(대한불교 조계종 백담사) 백담사>소개, (2013/03/25).
www.munhakwan.com(한국문학관협회) 회원 문학관 소개>강원도지역 문학관>백담사 만해마을, (2013/03/2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