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

 1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
 2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2
 3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3
 4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4
 5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5
 6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6
 7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7
 8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8
 9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9
 10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0
 11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1
 12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2
 13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3
 14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4
 15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5
 16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6
 17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7
 18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8
 19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19
 20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일관계의 이슈와 전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식 - 갈등의 시작
Ⅱ. 중·일 간 역사 전개
1. 근대 이전 시기
2. 냉전시기
(1) 국교정상화 이전 '비정상적 시기'
(2) 국교정상화 시기와 평화우호조약 시기
3. 탈냉전기

Ⅲ. 현재 중·일 간의 이슈
1. 역사문제(역사인식, 야스쿠니신사 참배)
2. 영토분쟁(센카쿠열도)
3. 대만문제
4. UN개혁과 일본의 상임이사국 문제

Ⅳ. 중·일 관계의 전망
Ⅴ. 중·일관계가 한반도에 미치는 함의
Ⅵ. 문제제기
본문내용
Ⅰ. 문제제기

중국과 일본은 경제적으로 1972년 국교정상화 이래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나, 정치적으로는 센카쿠-댜오위댜오 분쟁, 역사문제, 신사참배문제 등으로 냉랭한 관계에 있다. 특히 작년에는 일본이 센카쿠열도의 국유화를 선언한 이후, 중국 내 50개 이상의 도시에서 반일시위가 일어난 바 있다. 이는 중국과 일본이 1972년 국교를 정상화한 이후 중국에서 일어난 최대 반일 시위였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 역시 4일 인도 뉴델리에서 경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중국은 해군력을 확장하고 있다. 그것은 동중국해와 일본해(동해의 일본식 명칭)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하고 “자신의 영토는 스스로 지킨다는 개념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하면서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중일관계는 여전히 냉랭하기만 하다. 중국은 과거 일본에 침략당한 수모를 기억하고 있다. 경제대국으로 우뚝 선 중국은 그 치욕을 잊지 않고 일본의 사과를 원한다. 반면 일본은 최근 강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 우리 조는 이렇게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중일관계의 역사와 중일 양국이 상대국에 갖고 있는 인식, 현재 중일관계의 이슈, 중일관계가 한국에 주는 함의, 중일관계의 전망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갈등의 시작

이와 같은 중일 간의 갈등이 어디서부터 비롯된 것인가? 중일 간의 갈등은 역사적으로 계속되어왔다. 대표적인 사건은 난징대학살과 청일전쟁이다. 중국은 난징대학살로 자국민 34만 여명이 일본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청일전쟁의 패배로 일본에게 랴오둥 반도와 대만을 빼앗겼다. 이로 아시아 지역의 맹주였던 중국은 자신감을 잃었으며, 일본은 아시아 침략을 계속해나가며 승승장구했다.

Ⅱ. 중·일 간 역사 전개

1. 근대 이전 시기
현대의 중국과 일본의 관계를 보기에 앞서 역사 속의 양국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과거 중국은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자신들을 세계의 중심이라 생각해왔다. 그것이 바탕이 된 조공질서는 중국으로 하여금 주변국에 대한 분류를 가능하게 했다. 이에 일본은 조공을 바치지 않는 미개한 국가로 분류되어 중요한 대상으로 인식되지 못했다. 또한 중국이 일본보다 강력한 국력을 자랑했기 때문에 더욱 그럴 것이다.
그러나 일본이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상황은 역전된다. 근대화를 시작한 일본은 급속한 성장을 보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중국보다 우월한 힘을 갖게 된 것이다. 이에 1894년 6월부터 약 1년간 벌어진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를 거두게 됐다. 청일전쟁의 승리로 일본은 그동안 중국이 가져왔던 동양 패권을 넘겨받는 계기가 되었고 대만 등 중국 영토를 식민지로 확보하며 아시아에서 제일 먼저 제국주의 국가로 자리 잡았다.
참고문헌
국제정치학회 편, 『중국현대국제관계』, 오름, 2008
서진영, 『21세기 중국 외교정책』, 폴리테이아, 2006
이상현 편, 『새로 그리는 동아시아 안보지도』, 세종연구소, 2011
홍정표&장즈롱, 『현대 중국 외교론』, 나남, 2011
김종성, 『동아시아 패권전쟁』, 자리, 2011
카를 필니, 『아시아의 세기』, 에코리브르, 2006
기타오카 신이치, 『유엔과 일본외교』, 전략과문화, 2009
컨버그, 파우스트, 『중국외교정책』, 명인문화사, 2008
김흥규 편, 『중국의 신외교전략과 당면한 과제들』, 오름, 2013
헨리 키신저, 『중국이야기』, 민음사, 2012
정덕구, 장달중 외, 『한국의 외교안보 퍼즐』, 나남, 2013
예쯔청, 『중국의 세계전략』, 21세기북스, 2005
전성흥&이종화, 『중국의 부상 : 동아시아 및 한중관계의 함의』, 오름, 2008
이동률, 『중국의 영토분쟁』, 동북아역사재단, 2008
문정인, 『중국의 내일을 묻다 : 중국 최고 지성들과이 격정토론』, 삼성경제연구소, 2010
김흥규, “후진타오 주석의 방일과 중일관계”, 정세와정책, 2008 6월호
이준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추진배경과 전망-경제력 걸맞는 국제지위 얻고 싶은 일본”, 통일한국, 2006
송은희, “중,일관계와 한반도”, 동북아연구, 2006
이승룡, “탈냉전이후 동북아 정세변화와 중·일 관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국방정책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2
우수근, “중일의 외교전략과 향후 한국의 외교전략”, 2008
김성철, 『중국·일본관계의 정치경제, 역사와 전망』, 세종연구소, 2011
타나카 아키히코 연구실, “일중관계 데이타베이스 '세계와 일본”, 도쿄대학 동양 문화 연구소
일본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중국·몽골 제1과·2과, “최근의 일중관계와 중국정세”
石川忠雄・中嶋嶺雄・池井優編『戦後資料 日中関係』(1970・日本評論社)
中嶋嶺雄著『日本人と中国人ここが大違い』(2008・PHP研究所)
高市恵之助・富山栄吉著『日中問題入門』(岩波新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