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

 1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
 2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2
 3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3
 4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4
 5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5
 6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6
 7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7
 8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8
 9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9
 10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0
 11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1
 12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2
 13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3
 14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4
 15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5
 16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6
 17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7
 18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8
 19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19
 20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임상신경심리] 시각경로와 시각관련 병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Akinetopsia
1. 정의 및 현상
2. 원인 (관련된 뇌 병변)
3. Case study
1) Patient L.M. Ⅰ (1983)
1> 피험자 history, 상황
2> 실험 1, 2, 3
2) Patient L.M. Ⅱ (1995)
1> 실험 1, 2, 3
2> 결론 및 논의

III. Blindsight
1. 정의 및 현상
2. 원인 (관련된 뇌 병변)
3. Case study
1) Monkey "Helen" (1967)
1> 현상
2> 실험1, 2, 3, 4
3> 결론 및 논의
2) Patient D.B. (1973)
1> 피험자 history, 상황
2> 실험1, 2, 3, 4, 5
3> 결론 및 논의
4. 인간의 시각처리: 두 개의 시각체계
5. 정동맹시 (Affective Blindsight)
6. 맹시에 대한 이론들
1> 잔여 V1영역에 시각정보 처리 결과로서의 맹시
2> 상구를 통한 시각정보 처리 결과로서의 맹시
3> LGN을 통한 시각정보 처리 결과로서의 맹시

IV. Visual Agnosia
1. 정의 및 구분
2. Case study - Patient D.F. (1991)
1> 환자의 증상 및 실험
2> 결론 및 논의

V. Conclusion
본문내용
I. Introduction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행동들 중 시지각(visual perception)과 연관되지 않은 것은 거의 없다. 옷을 입을 때, 음식을 먹을 때, 길을 걸을 때, 물건을 보고 무엇인가를 알 때와 같이 거의 모든 행동에서 우리는 시지각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시지각이란 시각자극을 분석하는 능력으로 시각관련영역에서 담당하는데 뇌손상 후의 시지각 장애는 이러한 감각 정보의 대뇌 피질, 통합수준의 손상에 기인한다. 즉 시지각 장애는 단순한 시각능력의 장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 정보를 뇌에서 처리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현상들을 포괄한다.
시각정보를 어떻게 표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각의 경로에 대해 살펴보자면 시각자극은 눈에서부터 인지하여, 대뇌의 투상 되는 영역을 거쳐 고위영역으로 넘어가 ‘해석’된다. 즉 시각 정보는 망막 -> 시신경 -> 교차 -> LGN -> 시신경 피질 -> V1 Area 경로를 따라가게 된다. V1에서는 물체가 투영되고 V1에서 더 높은 영역으로 가는 투사로 크게 배측경로와 복측경로 이렇게 두 가지 경로로 나뉜다. 복측경로는 V1에서 측두엽으로 가는 경로로 물체가 ‘무엇’인지를 표상하는데 중요하다. 한편, 배측경로는 V1에서 두정엽으로 가는 경로로 물체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표상하는데 중요하다고 전통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단순히 배측경로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기보다 뇌의 세분화된 부분들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우리 조는 이러한 뇌의 특정 부분의 손상이 어떤 시각 병리를 나타내는지 조사해보기로 하였다.

II. Akinetopsia

1. 정의 및 현상
Akinetopsia는 움직이는 물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질환으로서, motion blindness라 불리기도 한다. (S. Jeki, 1991) 이를 앓는 환자들은 정지해 있는 물체나 일반적인 사물들을 식별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움직이는 물체를 볼 수 없으며, 이미지들의 연속을 평범한 움직임으로 통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마치 사이키델릭 조명 아래 있는 것처럼 세상을 지각하여 움직이는 물체는 순간적으로 보이고 사라지는 것을 반복하는 것과 같이 보인다.
현재 이 증상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환자 L.M.에 대한 case study로부터 얻어졌다. 이는 뒤이어 자세히 후술하겠다.

2. 원인 (관련된 뇌 병변)
Akinetopsia는 시각 피질 내 특정 영역의 뇌 병변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내측두회(middle temporal gyrus)의 손상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다. 이 영역은 대뇌의 motion-processing area로 운동 지각의 중추인 V5(MT)가 위치하고 있으며, 세포들은 움직이는 자극에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bilateral, symmetrical한 뇌병변이 일어날 때 발생하며 동시에 다른 시각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피질의 손상이 가해졌을 때, 특정 부위의 작은 병변으로만 그쳐서 한 가지 시각 기능에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어렵기 때문에, 이 장애는 매우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Jeki, 1991)
이 외에도 알츠하이머성 치매,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하여 akinetopsia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보고되었으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A. Charnallet et al.(2008). Associative visual agnosia: A case study. Behavioural Neurology 19, 41-44
A.D.Milner et al.(1991). Perception and Action in ‘Visual Form Agnosia’. Brain, 114, 405-428
Beatrice de Gelder and Marco Tamietto (2007). Scholarpedia, 2(10): 3555.
Beckers G. and S. Zeki (1995) The consequences of inactivating areas V1 and V5 on visual motion perception. Brain 118, 49-60.
B Kolb & I.Q. Whishow (1985). Fundamentals of Human Neuropsychology (2.edition).WH Freeman, NY.
C. Temple (1997).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psychology. Psychology Press, Ltd.
Cowey, A., & Stoerig, P. (1989). Projection patterns of surviving neurons in the dorsal lateral geniculate nucleus following discrete lesions of striate cortex: implications for residual vision. Experimental Brain Research, 75(3), 631-638.
de Gelder, B., Morris, J. S., & Dolan, R. J. (2005). Unconscious fear influences emotional awareness of faces and voic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2, 18682-18687.
de Gelder, B., Vroomen, J., Pourtois, G., & Weiskrantz, L. (1999). Non-conscious recognition of affect in the absence of striate cortex. Neuroreport, 10, 3759-3763.
Fendrich, R., Wessinger, C. M., & Gazzaniga, M. S. (1992). Residual vision in a scotoma: implications for blindsight. Science, 258(5087), 1489-1491.
Gazzaniga, M. S., Fendrich, R., & Wessinger, C. M. (1994). Blindsight reconsidered.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3(3), 93-96.
Gazzaniga, M. S., Eliassen, J. C., Nisenson, L., Wessinger, C. M., Fendrich, R., & Baynes, K. (1996). Collaboration between the hemispheres of a callosotomy patient Emerging right hemisphere speech and the left hemisphere interpreter. Brain, 119(4), 1255-1262.
Hendry, S. H., & Reid, R. C. (2000). The koniocellular pathway in primate visio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3(1), 127-153.
Humprey. N. K., Weiskrantz. L. (1967). Vision in Monkeys after Removal of the Striate Cortex. Nature, vol.215, 595-597
K. Heilman & E. Valenstein (Eds) 2003. Clinical Neuropsychology (4.edition). Oxford Univ.press.
Matthew Rizzo, Mark Nawrot, Josef Zihl (1995). Motion and shape perception in cerebral akinetopsia. Brain 118, 1105-1127.
M.A. Goodale & A. D. Milner (2004). Sight Unseen: An Exploration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Vision. 2004, Oxfor Univ. Press, NY
Mc Carthy & Warrington(1986). Visual associative agnosia: a clinico-anatomical study of a single cas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49:1233-1240
Morland, A. B., Lê, S., Carroll, E., Hoffmann, M. B., & Pambakian, A. (2004). The role of spared calcarine cortex and lateral occipital cortex in the responses of human hemianopes to visual motion.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16(2), 204-218.
Paul A. Shelton et al.(1994). Apperceptive Visual Agnosia: A Case Study. Brain and Cognition 25, 1-23
Pelak, Victoria S., William F. Hoyt (2005). Symptoms of akinetopsia associated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nd Alzheimer's Disease. Neuro-Ophthalmology 29, 137-142.
Pierre Jacob(2005). Grasping and Perceiving Objects. Cognition and the Brain, 241-283
Murray Grossman&Steven Galetta&Mark D’esposito(1997), Object Recognition Difficulty in Visual Apperceptive Agnosia, Brain and Cognition 33, 306-342
Schmid, M. C., Mrowka, S. W., Turchi, J., Saunders, R. C., Wilke, M., Peters, A. J., & Leopold, D. A. (2010). Blindsight depends on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Nature, 466(7304), 373-377.
Shaun P. Vecera&Kendra S. Gilds(1998). What Processing Is Impaired in Apperceptive Agnosia?: Evidence from Normal Subject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0:5, pp.568-580
Shipp, S., B.M. de Jong, J. Zihl, R.S.J. Frackowiak, and S. Zeki (1994). The brain activity related to residual motion vision in a patient with bilateral lesions of V5. Brain 117, 1023-1038.
Sincich, L. C., Park, K. F., Wohlgemuth, M. J., & Horton, J. C. (2004). Bypassing V1: a direct geniculate input to area MT. Nature neuroscience,7(10), 1123-1128.
Weiskrantz. L., Warrington E. K., Sanders M.D., Marshall. J. (1974). Visual capacity in the hemianopic field following a restricted occipital ablation, Brain, 97, 709-728
Weiskrantz. L., Cowey. A., Mare. L. M. (1998). Learning from the pupil: a spatial visual channel in the absence of V1 in monkey and human, Brain, 121, 1065-1072
Zeki, Semir (1991). Cerebral akinetopsia (visual motion blindness): A review. Brain 114, 811-824.
Zihl, J, D von Cramon, N Mai (1983). Selective disturbance of movement vision after bilateral brain damage. Brain 106, 31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