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

 1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
 2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2
 3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3
 4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4
 5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5
 6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6
 7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7
 8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8
 9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9
 10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0
 11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1
 12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2
 13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3
 14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4
 15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5
 16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6
 17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7
 18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8
 19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화법 교육의 모형과 활동 제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화법이란 무엇인가
2. 화법교육은 왜 필요한가
3. 담화 유형 설정 - 토의, 대화

Ⅱ. 본론
1. 토의 · 대화 유형의 정의와 교육의 목표

2. 화법 교육의 현 실태 파악
-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현 교과서의 실태와 문제점

3. 화법교육의 방법
-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우리 조가 제안하는 수업 모형과 활동 예시
1) 수업모형과 채택 이유
2) 활동
3) 보완을 한 후 기대하는 효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화법이란 무엇인가
화법의 사전적 의미는 ‘말하는 방법’이다. 덧붙여 문장이나 담화에서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재현하는 방법으로 남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는 직접화법과,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하는 사람의 발화로 고쳐서 전하는 간접 화법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초기 화법의 정의는 말하는 이(화자)에게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것이 사실이다. ― “화법이란 언어를 주요 수단으로 하여 화자의 사상, 정보, 생각, 경험, 정서 등을 청자에게 전달하여 이해시킴으로써 의도하는 효과와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임영환, 1997) ― 이처럼 화법에 대한 정의는 설명이나, 설득할 내용을 청자에게 잘 전달하기 위한 방법 정도였다. 이 시기의 화법의 정의에는 듣는 이(청자)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으며, 청자는 단지 화자가 하는 발화를 수용하는 수동적인 존재에 불과했다.
그런데 화법을 ‘의사소통’의 관점으로 봄에 따라서 청자의 역할 또한 중요해졌다. ― “화법은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 듣기의 방법을 어우른 개념이다. 화법은 이렇듯 말을 잘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듣고 이에 잘 응답하는 방법을 일컫는 개념이다.” (박갑수, 2001) ― 여기에서 범위를 확대한 개념으로서의 화법 즉, 말하기와 듣기는 의사소통의 차원을 넘어서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능력을 표출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화법은 국어의 표현과 이해에 관련된 과목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중에 가장 늦게 발전됐다. 화법은 최근까지 그 학문적인 연구가 미흡했고, 대학에서 화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것도 최근의 일이다. 우리나라 교육제도에서 화법이란 말이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62년 서울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되면서부터, 화법 교과가 발전한 것은 6차 교육과정부터, 처음으로 국어 교과에서 독립되어 교육과정이 만들어졌다. 화법의 정의가 변화되면서 화법교육도 이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따라서 2009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을 보면 화법(듣기·말하기)의 의사소통적인 요소가 반영되어 있다.
화법교육은 담화별로 이루어지며, 연설, 토론, 토의, 대화, 면담면접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2. 화법교육은 왜 필요한가
교사가 가르쳐야 할 영역의 교수·학습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 방법 등에 대하여 명확히 알지 못한 상태에서 교과서에 주어진 대로 수동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면, 학습자는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힘들다.
참고문헌
임영환 외, 『화법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7.
박갑수 외, 『방송 화법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1.이주행 외, 『화법교육의 이해』, 박이정, 2004.
최미숙 외,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2.

김명종, 「화법의 실태 분석을 통한 위상 증진 방안」,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2.
허윤미, 「다매체를 활용한 토의ㆍ토론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국어과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이희녕, 「Meta-plan을 활용한 토의․토론 학습 모형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정은화, 「매체를 활용한 공감적 듣기 교육 방법 연구」, 부경대학교, 2013.
임경미,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화법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상명 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허승희, 「교육연극을 활용한 화법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