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

 1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1
 2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2
 3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3
 4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4
 5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5
 6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축학 - 한국,중국,일본 목조 건축의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체적으로 중국의 건축이 척도에서 장대하여 웅장한 멋을 내고, 일본의 건축이 너무나 기계적이고 날카로운 맛을 낸다면, 한국의 건축은 중용적인 입장에서 단아하면서도 소박한 맛을 내고 있다.
이것은 지리적 환경의 영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 중국은 광활한 대륙에 기반을 둔 건축이었고, 일본은 자신들로서 마지막 마무리를 다하여야 하는 섬나라의 환경을 가지며, 한국은 반도국으로서 항상 받아들이고 또 전하여 주는 중간적 입장에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 지질학적으로 노년기 지모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완만한 곡선으로 된 산정봉이 많고 작은 구릉이 기복한 준평원으로 되어, 여기에 건축할 건축물의 높이가 높거나 볼륨이 장대하면 주위 환경과 조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배경으로서의 산과 작은 구릉에 선 건축의 관계는 중용적이고, 인간적인 척도의 건축을 이루게 하였으며, 이에 음양오행론이 한 몫을 더 하였던 것이다.
고려사의 관후서에서 상서한 것을 보면 다산은 양이요, 희산은 음이며, 고루는 양이고, 평옥은 음인데,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다산이므로 양인 고루를 지으면 상극이 되고, 음인 평옥을 지어야 조화된다고 하였으니, 바로 이러한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이 중용적인, 인간적 척도의 목조건축을 이루게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기단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여름철 장마나 겨울철 적설 등으로 인한 건물 하부 침수 혹은 물기 유입을 막아 쾌적하고 항구적인 건축물이 될 수 있도록 초가인 경우에도 흙이나 막돌로 기단을 구성하는 등 예외 없이 기단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기단은 한국 전통 건축의 입면 구성에서 주요한 특징적 요소가 되고 있다. 나아가 궁궐 전각이나 능침 정자각 혹은 서울분묘 명륜당 등에서는 의식거행 등 특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널찍한 기단도 만들었는데, 이를 특히 월대라 하였다.일본 전통 건축에서는 기단을 두지 않거나 간략하게 구성하고 배수로를 두어 빗물 등을 처리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호오류우지의 금당 및 오층 목탑이나 켄쵸오지 본당처럼 우리나라나 중국의 영향을 받은 건축물에서 뚜렷한 기단을 볼 수 있다. 일본은 태풍이 지나가는 길목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과 여름철 장마와 같은 기후적 특성에 따라 풍우의 영향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기단을 간략화하고, 그 대신 빗물 처리를 위한 배수로를 필수적으로 두었다.
참고문헌
한국목조건축의 특성 http://www.gunnet.kr/service/data/go-mokjo.htm
중국건축의 구조형식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20j0001b005
목조건축의 구성 / 장헌덕 저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일 전통 건축 / 김성도 저 / 고려
중국 목조건축의 구조 / 궈칭화 저 / 동녘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