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

 1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
 2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2
 3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3
 4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4
 5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5
 6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6
 7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7
 8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8
 9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9
 10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0
 11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1
 12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2
 13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3
 14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4
 15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이승만 정부

(2) 장면 정부

(3) 박정희 정부

(4) 전두환 정부

(5) 노태우 정부

(6) 김영삼 정부

Ⅱ. 본론

⑴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

⑵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

⑶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⑷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한반도가 분단 된지도 60년이 넘었다. 해방 후 공산권과 자유민주주의의 대립으로 동족상잔의 비극을 맞게 된 한반도는 현재까지도 냉전체제의 산물을 고스란히 안고 있다. 정전 협정이 체결된 이후에 남과 북은 여전히 군사적으로 대치 된 상황이다. 대한민국이 건국되고 나서 이명박 정부까지 역대 정권들은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남북관계를 개선시키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현재 박근혜 정부에서 다시 경색된 남북관계가 진행중에 있다. 개성공단 전면폐쇄, 남북한 직통연락처 단절,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은 한국을 일관적으로 위협을 하고 있다. 혈맹국인 중국마저 눈을 돌린 이 상황에서 북한은 벼랑 끝에 몰려있고 이에 따라 최근 중국에 특사를 보내 6자회담 가능성을 내비췄다. 우리 조는 이번 개성공단 폐쇄사건을 통해 남북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동북아 지역에서 우리나라가 취할수 있는 방법과 통일의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번 주제를 선택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통일은 우리의 문제이자 한반도의 궁극적인 목표이고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 및 이익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주제를 대북정책에 따른 남북관계로 설정하였고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남북관계가 극명하게 나타났던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서적과 논문을 통해 어떠한 대북정책을 펼쳤는지 시간순으로 나열 비교, 분석을 하고 마지막으로 대북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자체적으로 모색하고 통일에 대한 방안을 고민해보는 것으로 결론을 내보려고 한다.

(1) 이승만 정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초대정부로 이승만 정부가 출범하게 되었다. 건국 및 호국, 그리고 6.25 전쟁 이후 국가 재건의 시기로 정치적, 이념적으로 대치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의 특징은 정부 수립 당시 북한 당국을 철저히 부정하는 대북 인식에서 출발 하였고 유엔 감시하 북한지역에서 자유 총선을 실시하여 대한민국에 합류해야 함을 가장 중요한 통일방법으로 생각하였고 미국과 등에 업고 북진통일 하자고 이승만 대통령 개인적으로 주창을 하였다.

참고문헌
김근식, “남북관계 60년과 남북대화 : 평가와 과제, 『북한경제리뷰』8월호, 2008.

김영재,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 『국제문화연구소』제24집, 청주대학교 국제협력연구원, 2006.

,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소고,” 『21세기 정치학회보』제22집 2호, 21세기 정치학회, 2012.

김창희,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방향,” 『한국동북아논총』제27집, 한국동북아학회, 2003.

김학만·정주신, “21세기 남북관계와 갈등관리 : 역대정부의 대북정책기조의 분석을 위한 시론” ,『한국동북아논총』제57호 , 2010.

박상익,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평가와 새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조선대학교 군사발전연구』 2012, 제6권.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2012.

성경륭,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추진전략 비교 : 한반도 평화와 공동번영 정책의 전략, 성과, 미래과제,” 『한국동북아논총』제48집, 한국동북아학회, 2008.

이갑준, “김대중 정부 시기 북한의 통일·대남정책과 남북관계 변화”, 동국대 대학원 북한학과 석사논문. 2011.

이은보라, “한국의 국제적 지위상승과 대북정책 변화 : 약소국 외교에서 중진국 외교로의 변천과정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정경환, “김대중 정부 대북정책의 평가와 향후 과제”, 『김대중 정권 대북정책의 평가』, 이경. 2008.

제성호, “남북한관계론”, 집문당, 2010.

조찬래, “제5장 노무현 정권 대북정책의 평과와 과제,” 『통일전략』제8집 1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채형복, “EU통합의 남북한 통일정책에 대한 시사점 : 사법제도를 중심으로” , 『법학논고』 제 28집, 2008.

통일연구원, 「남북관계연표 1948년~2011년」, 2011.

허태회 윤황, “민주화이후 한국정부의 대북정책 성향 및 전략 비교 :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제13집 2호,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0.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4226
73(검색일:2013.6.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