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

 1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
 2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2
 3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3
 4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4
 5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5
 6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6
 7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7
 8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8
 9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9
 10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0
 11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1
 12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2
 13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3
 14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4
 15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5
 16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6
 17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7
 18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8
 19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19
 20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물류] 동북아물류거점을 위한 부산항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물류 및 동북아 경제여건의 추이와 전망
1. 국제물류 환경의 변화
1. 글로벌 경제화에 따른 세계 교역물동량은 지속적인 증가세
2. 다국적 기업의 공급사슬 관리(SCM) 및 전자상거래 발달로 부가가치 물류서비스의 수요 증대
3.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중심항만에만 기항하는 추세 심화
4. 중심항만 배후지에 권역별 거점 부가가치 물류&비즈니스센터 집중화
2.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의 동향
1. 세계의 제조공장으로 부상하는 중국경제의 급성장
2. 중심항만 선점을 위한 국가간 경쟁 치열
3. 중국은 물론, 주변지역 대부분의 국가가 국제물류중심지로 부상하기 위해 전력투구
3. 한국의 동북아 Mega-Hub 구축을 위한 경쟁력 및 선진 사례분석
1.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화를 위한 경쟁력 분석 (SWOT 분석)
1. 물류거점 국가로서의 경쟁력 분석
2. 비즈니스 중심국가로서의 경쟁력 분석 (SWOT 분석)
4. 동북아 국가의 항만간의 비교
1. 상해항
2. Super Hub Port(일본)
3. 대만의 카오슈항
4. 우리의 부산항
5. 물류기지로서의 요건과 부산항의 여건
1. 물류중심기지의 요건
2. 부산항의 장점
3. 부산항의 약점
5. 부산항의 탐구
1. 시설부분
1. 항만시설
2. 운영실적 및 ‘04년 목표
3. 부산항의 위상과 중장기 비전
1. 부산항의 위상
4. 2003년 업무실적
5. 시베리아 철도와 부산항과의 연결
1. 시베리아 철도의 개요
2. 시베리아 철도의 소개
3. 시베리아 철도와의 연계의 효과
4. 시베리아 철도와 한국철도와의 연결 사항 및 단절 사항
6. 동북아 물류거점을 이루기 위한 과제
1. 천만TEU ‘ 컨’ 처리 시대의 항만운영체제확립
2. 물류중심항만 구축을 위한 항만배후단지 개발
3. 마케팅활동 강화 및 첨단 정보화 체계 구축
4. 시베리아 철도(TSR)과의 연계를 통한 동북아물류 중심으로 도약
6. 결론
1. 정부의 1국 2중심 동시개발정책의 모순
2. 부산항 집중투자만이 국가정책목표 달성 가능
3. 항만기능과 도시기능의 공존 발전
4, 해운항만관련 중추기능의 이전
5. 제 3자적인 입장에서의 부산항의 평가 필요
6. 정리
부록----파리를 꿈꾸며 서울역으로(시베리아 철도여행이 가능하면)














본문내용
1. 개요
국가경쟁력과 국가전체의 경제를 위한 효과적인 물류서비스의 전략적 중요성은 과거 수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무역장벽의 철폐와 시장구조의 변화로 화물의 물동량 증가는 앞으로 더욱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될 것이며,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제품생산 및 분배구조의 세계화, 그리고 경제활동의 통합화가 전세계적으로 확대되어갈 것이다. 기업들은 합리적인 자원의 재분배 및 제품생산지의 다양화를 통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국제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품을 적정한 질, 적합한 장소, 그리고 적시에, 가능하면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가 지금까지의 고속경제성장의 연장선에서 향후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갖추려면, 무한한 경제 잠제력을 지닌 동북아에서의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야만 한다. 그 방안의 하나로 우리나라는 유럽의 네덜란드와 동남아시아의 싱가포르와 같이 동북아 지역의 물류․비즈니스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다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는데, 이러한 목표는 인적․물적자원 및 정보의 이동을 위한 지역 내 허브화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