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

 1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
 2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2
 3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3
 4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4
 5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5
 6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6
 7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7
 8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8
 9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9
 10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0
 11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1
 12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2
 13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3
 14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4
 15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5
 16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6
 17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7
 18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8
 19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19
 20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이청준 `예언자`의 예언 말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예언'을 찾아서
1. 서사분석과 갈등양상 및 원인
2. '말-예언'의 존재양상
3. 상징적 세계속에서의 예언
Ⅲ. 예언의 의미
1. 자기의식으로서의 예언
2. 진리탐구로서의 예언
3. 영원과 순수의 표상으로서의 예언
Ⅳ. 결론
본문내용
1. 연구목적

이청준(1939∼)은 1965년 『사상계』에 단편 소설 「퇴원」이 당선된 이래 1960년대 소설문학의 한 장을 연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면서, 이후 30여 년 동안의 창작활동을 통해 그 작가적 면모를 확고하게 정립한 작가다. 이런 그의 이력은 작가 개인으로서도 의미 있는 것이지만, 나아가 오늘날까지의 우리 소설의 전개과정을 염두에 둘 때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의 작품은 초기작에서부터 최근작에 이르기까지, 중·단편과 장편의 영역에서, 토속적인 민간신앙의 세계에서부터 산업사회에서의 인간소외, 지식인의 존재 해명 그리고 전통적인 정서에 이르는 다양한 탐색을 시도해 왔으며, 이렇게 산출된 그의 작품들은 동시대 현실에서 마련할 수 있는 문화적 변용의 힘을 강렬하게 보여주고 있다. 소설적 진실이 동시대 현실을 꿰뚫어보는 작자정신의 치열함을 통해서만 획득되며, 또 그것이 작가 자신의 철저한 자의식을 전제로 할 때에만 가능한 것이라고 할때 이청준의 작품은 더욱 그 의의가 크다. 이러한 여러 고찰 중에서도 특히 이청준은 사회적 현실을 일관되게 언어 문제와의 관련아래 다루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소설에서 드러나는 글쓰기와 말, 언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은 소설의 테마와 형식, 양쪽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청준의 「예언자」를 통해 소설적 진실과 작가의식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이다. 그 중에서도 이 작품에서는 언어, 말 곧 예언의 중단이라는 중심적 모티프는 그의 비판적 담론이 겨냥한 현실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실마리이다.
참고문헌

고 원,「무의식 세계의 허구적 구성」,11, 1996
권택영,「이청준 소설의 중층구조」,『이교도의 성가』,나남, 1988
권오룡,「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1
김병익, 「말의 탐구, 화해에의 변증」,『잃어버린 말을 찾아서』, 문학과지성사,1981
김윤식, 정호웅, 『한국소설사』, 예하, 1996
김윤식, 「미백의 사상, 또는 이청준의 글쓰기의 기원에 대하여」,『작가세계』,1992년 가을
김종주,『라캉 정신분석과 문학평론』,하나 의학사, 1996
김종회,「유토피아소설의 상상력과 현실인식」,60, 1998
김치수,「언어와 현실의 갈등」,『이청준론』, '우리 시대의 작가 연구 총서, 은애. 1979
김 현, 「장인의 고뇌」,『한국현대문학의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1
김 현, 「자유와 사랑의 실천적 화해」,『당신들의 천국』해설, 1976
남진우,「권력과 언어」, 열림원, 2001
류보선, 「새로운 방향의 모색과 운명의 힘」,『문학정신』,1992
르네지라르, 김진식 역, 『희생양』,민음사, 1998
맬컴 보위, 이종인 역,『라캉』시공사, 1999
미셸 푸코, 이정우 역,『담론의 질서』, 서강대 출판부, 1998.
벵쌍 데꽁브, 박성창 역, 『동일자와 타자』,인간사랑, 1990
성민엽,「겹의 삶, 겹의 문학」,『문학과 사회』, 1990년 여름
에리히 프롬, 황문수 역,『인간의 마음』, 문예출판사, 1992
오생근, 「갇혀있는 자의 시선」,『문학과 지성』,1974년 가을
우찬제, 「자유의 질서, 말의 꿈, 반성적 탐색」,『소설과 사상』,1995년 봄
임금복, 「한국적 외디푸스 콤플렉스의 초상」,7, 1993
정과리, 「용서, 그 타인됨의 세계」, 『겨울광장』,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