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

 1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1
 2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2
 3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3
 4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4
 5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5
 6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6
 7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각장애아교육] 수화와 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수화
1. 수화의 정의
수화는 청각장애인의 언어로서 의사소통 수단이다. 언어의 형태는 언어기호로 사용되는 매개체가 음성에 의한 말이냐 아니냐에 따라 음성언어와 비음성언어로 구분되며 비 음성언어는 신체언어, 몸짓언어, 수화 또는 지화, 기호언어 등이 있다. 이에 수화는 음성언어와는 다르다. 음성언어가 청각으로 이해되고 음성으로 표현되는 청각, 음성체계임에 반하여 수화는 시각으로 이해되고 손 운동으로 표현되는 시각, 운동체계이다.

2. 수화의 발생과 기원
① 수어: 원시시대에 호모사피엔스 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야한다. 이때 인지가 미분화상태에서 인간은 상대에게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손짓을" 사용했다.
②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인 Rossetta Sherwood Hall여사가 신혼 여행차 중국 체후에 체류 중 선교사들이 경영하는 농아 학교를 시찰 후 농교육에 관심을 두면서 귀국 후 이익민씨를 파견한다. 1909년 최초로 평양 맹아학교에 농아부를 부설함으로 한국 최초로 농아 교육을 시작하였고 수화는 자연히 중국식 수화를 도입했다.
③ 그 후 1913년 현 서울농학교의 전신인 제생원이란 복지 및 교육시설을 둠으로서 제도화된 학교 교육을 실시하였고 일제하에서 일본식 수화를 도입하였다.
④ 1947년 국립맹아학교 초대교장 윤백원 선생에 의해 한글 지문자를 창안함으로써 한글 지문의 효시가 되었다.
⑤ 1979년 금옥재단의 후원인 서울농아학교(현 서울 농학교) 교직원을 중심으로 한국 수화의 착수 3년 후인 1982년에 약 5700여 단어가 수록된 "표준수화사전“이 창간됨으로써 수화 보급에 획기적인 기틀을 마련했다.

3. 수화의 기호 구성 원리 7 가지
① 지사(指事) : 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시간을 가리키는 명사를 지시함.
→ 아래, 주먹, 코, 사람
② 모방(模倣) : 낱말이 의미하는 동작을 흉내 낸 것 → 걷어차다, 말하다
③ 상형(象形) : 낱말이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그 형체의 변별자질을 손이나 손가락으로 나타내는 것 → 산, 얼굴
④ 형지(形指) : 대상의 형체를 만들어 보이고 그것을 가리키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
→ 비탈, 모퉁이
⑤ 형동(形動) : 대상의 형체나 그 일부를 만들어 그 대상이 하는 동작으로 해 보이는 것 → 잠자리, 코끼리
⑥ 회의(會意) : 둘 이상의 형태소를 합쳐 다른 의미를 가지는 낱말의 기호를 만드는 것
⑦ 전주(轉注) : 기존의 기호가 그것을 의미하는 낱말의 동의어와 유사어의 뜻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