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

 1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1
 2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2
 3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3
 4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4
 5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5
 6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6
 7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7
 8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8
 9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9
 10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10
 11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11
 12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12
 13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13
 14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유희』에 나타난 언어적특징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⑴『由熙』의 언어 서술상 특징- 모어와 모국어의 차이에서 비롯됨.
⑵ 언어의 차이는 의식의 차이이며, 언어는 곧 정체성이다.
⑶ 언어는 억압(구속)구조를 내포한다.
⑷ 언어는 번역을 동반한다.
▶ 일본어 속 ‘한글 사용’의 이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소수문학의 하나인 재일 한인 문학은 재일 한국인(재일교포)이라는 특수한 시대적, 실존적 상황과 환경에서 생겨난 문학으로 모어인 일본어와 모국어인 한국어를 수단으로 작품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독자적인 영역 안에 존재한다. 재일 작가가 하나의 문학적 경쟁무기로써 소재, 언어(문체), 내용 면에서 일본인 작가에게는 없는 그들만의 한국적 민족, 문화, 사상을 작품에 반영하는 것을 ‘탈영토화’라고 한다. 이 중 언어적인 면에서 일본어가 아닌 한국어를 작품 속에서 표현하여, 다른 일본 작가와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것을 언어적 탈영토화라고 한다. 작품『由熙』는 이러한 언어적 탈영토화가 가장 잘 드러나 있는 작품으로 꼽힌다. 대부분의 재일작가처럼 일본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한국고유어)도 가타카나의 표기를 통해 100% 일본어로 표현할 수 있었는데도 작가 이양지는 한국어의 문자인 ‘한글’을 표현수단으로 택하고 있다. 일본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말의 지팡이를 잡으려고 부단히 애쓰는 주인공 ‘유희’를 통해 언어란 한 인간의 의식과 정체성을 대변해주고, 삶의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삶의 목적을 실현하는 의미를 가진 살아있는 실체라는 것을 말해주려는 작가 이양지가 선택한 한글 사용은 일본 문학내의 개성과 경쟁력을 나타내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러므로 작품『由熙』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을 서술상 특징과 언어 일반적인 측면으로 살펴보는 작업은 작가 이양지가 ‘유희’의 언어에 대한 고민 과정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하고 싶었던 핵심을 발견하게 해 줄 것이다.
참고문헌
유숙자, 재일한국인 문학연구, 월인(2000)

한국문학연구회, 한국근대문학과 일본문학, 국학자료원(2001)

Brian Friel, Translations, 도서출판 동인(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