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

 1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1
 2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2
 3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3
 4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4
 5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5
 6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6
 7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7
 8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8
 9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9
 10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10
 11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11
 12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12
 13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자연계열
  • 2005.03.17
  • 13페이지 / hwp
  • 2,100원
  • 63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환경공학] 미세먼지중 OC와 EC의 계절적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탄소성분의 분류
2.2 입자상 탄소성분의 발생 및 생성 메커니즘
3. 실험재료 및 방법
3.1 시료 채취 및 전처리
3.2 분석장치
4.결과
4.1. PM10과 PM2.5의 질량농도
4.2. PM10과 PM2.5 중 탄소의 질량농도
4.3 국내외 타지역과의 농도 비교
5. 결론

본문내용
우리나라 주요 도시지역의 경우, 총부유분진(TSP)의 농도는 매년 감소 추세에 있으나, 미세먼지오염도(PM10 : 공기역학적 직경이 10㎛이하인 먼지입자)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환경부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서울시의 대기오염 수준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1개 회원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 2001년 말 서울시의 미세먼지농도는 71㎍/㎥ 으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기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이탈리아 로마와 멕시코 멕시코시티에 비해서도 각각 11㎍/㎥과 18㎍/㎥ 더 많은 값이다. 또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도가 가장 낮은 러시아의 모스크바와 비교하면 무려 61㎍/㎥이나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1994년부터 총부유분진(TSP)과 함께 미세먼지(PM10)에 대해서도 환경기준을 설정하였다. 미세먼지의 농도는 95년 78㎍/㎥에서 98년 당시 59㎍/㎥ 로까지 감소했으나 그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먼지농도가 대기 중 150㎍/㎥의 농도 수준이면 시정은 8㎞ 정도까지 감소된다. 대기 중에서 시정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먼지는 0.1~1.0 ㎛의 입자크기를 가진 미세입자이고, 미세입자 성분 중에서 EC, SO42-, NO3-, NH4+와 OC가 주로 시정장애를 일으킨다. 이중 탄소의 비율이 26~60%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참고문헌
1. 김용표 외 4명, “우리 나라 배경농도지역의 1996~1997년 미세입자상 탄소성분 측정 결과”, 한국대기보전학회지, 제14권, 제6호, 1998, pp. 621-622.
2. 이종훈 외 4명, “제주도 고산에서의 1994~1995년 여름 입자상 탄소농도 측정”, 한국대기보전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7, pp. 179-191.
3.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안 조사연구 2차년도 중간보고서”, 한국대기환경학회, 2004, pp. 117-118.
4. Chan et al.,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species in PM2.5 and PM10 aerosols in Brisbane", Australia. Atmos. Environ., 31(22), 1997, pp. 3773-3785.
5. Chow et al., "Descriptive analysis of PM2.5 and PM10 at regionally representative locations during SJVAQS/AUSPEX", Atmos. Environ., 30(12), 1996, pp. 2079-2112.
6. Conner et al., “Particulate characteristics and visual effects of the atmosphere at Research Trangle Park”, J. Air Waste Manage. Assoc., 41(2), 1991, pp. 154-160.
7. Countess et al., "The Denver winter aerosol: a comprehensive chemical characterization", J. Air Waste Manage. Assoc., 30(11), 1980, pp. 1194-1200.
8. Gray and Cass, "Source contributions to atmospheric fine carbon particle concentrations", Atmos. Envi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