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

 1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1
 2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2
 3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3
 4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4
 5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5
 6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6
 7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7
 8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8
 9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9
 10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10
 11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11
 12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12
 13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현대사]빨치산과 이현상에 대한 지리산 답사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과 그 이유
2. 이현상, 그리고 빨치산
3. 답사계획
4. 답사
5. 답사를 마치면서...
본문내용
1. 주제 선정과 그 이유

처음 (이현상, 그리고 빨치산)이라는 주제를 논의했을 때, 우리는 빨치산 속에서의 이현상의 모습을 담아내려고 생각하고 있었다. 빨치산 총사령관이라는 위치였지만 결과적으로 남과 북, 어느 곳에서도 인정받지 못한 채 역사 속에서 잠들어 있는 인물. 몇몇 소문만이 그를 영웅화시키고 있을 뿐, 객관적인 조사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우리는 이러한 상반된 모습(영웅화된 이현상의 모습과 역사 속에 감춰진 이현상의 모습) 사이에서 직접 자료를 찾아보고 답사를 떠나봄으로써 과장되지도 왜곡되지도 않은 우리만의 이현상을 정리해 보고자 했었다.
그러나 사전 조사를 시작하고 주제에 대한 논의를 해가면서 우리는 이현상과 빨치산의 비율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이현상이 총사령관이기 때문에 이현상을 다루면서 자연스레 빨치산 내용이 정리될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사실, 빨치산은 전국 곳곳, 주로 지리산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중에서 이현상이 지도하던 곳은 하동쪽의 지리산이었다. 그래서 빨치산을 어느 범위까지 다루어 볼 것인가? 라는 질문은 줄곧 우리를 고민에 빠뜨리게 했다. 이현상과 빨치산이라는 주제에서 이현상에만 초점을 맞추면 그저 개인의 인생사 정도를 조사하는 정도에 그칠 것이고, 빨치산에 초점을 맞추면 조사 범위가 너무 넓어지고 그 중에서 이현상이라는 인물을 왜 다루게 되었는지에 대해 모호해질 것 같았다. 조원들과 여러 번 토의를 거듭하면서도 명확하게 구분지어 결론을 내릴 수가 없
참고문헌

신천지(1952.5) 제7권 3호 p129~140 -빨치산 기사-
태백산맥과 빨치산 문학 17권 p82
빨치산 토벌대장 차일혁의 수기
빨치산 편지
빨치산 철장수첩:남부군 그 후의 이야기
녹슬은 해방구 1~3권
정순덕
(상,하), 두레, 1988

http://www.korea-mt.com/main2_4_9_5.html
http://www.kaemagowon.com.ne.kr/bbaljisan/ppal.htm
http://www.ihs21.org/
http://www.dongbobooks.com/HTML/Book/main/trip/200302.htm
http://www.blackstar.pe.kr/doc/su3.htm
http://user.chollian.net/%7Eomana21/Art%2021/Art%2021-625%20Story-02.htm

김진경, 1988 봄 < 분단이후 반공육의 전개과정 > [실천문학]
한지수, 1988 8 < 한국사회 지배이데올로기의 형성과 재생산 > [80년대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역사비평사)
조 국, 1988 여름 < 한국근현대사의 사상통제법 > [역사비평]
박현채, 1988 겨울 < 분단 43년, 반공이데올로기와 민중의식 >[역사비평] 한지수, 1989 가을 < 반공이데올로기와 정치폭력 > [실천문학]
박원순, 1989 10 [ 국가보안법연구1-국가보안법 변천사] (역사비평사)
이영희, 1989. 12 < 국가보안법 없는 90년대를 위하여 > [사회와 사상]
정해구, 1990 2 <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 변동 > [한국사회론](한울)
김재현, 1990. 4 < 해방이후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기 분석 >[민족지평]
이창호, 1990. {한국사회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