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

 1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
 2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2
 3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3
 4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4
 5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5
 6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6
 7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7
 8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8
 9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9
 10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0
 11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1
 12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2
 13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3
 14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4
 15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5
 16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6
 17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7
 18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8
 19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19
 20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5.03.23
  • 22페이지 / hwp
  • 3,400원
  • 10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국어문법] 15세기(중세)와 현대의 한국어에서 보이는 시제법의 문법범주 차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현대 한국어의 시제법
1) 현실법
2) 회상법
3) 미정법
4) 완결법

2. 15세기(중세) 한국어의 시제법
1) 현실법
2) 회상법
3) 확정법
4) 추정법(미정법)

3. 시제법 실현방법의 변화 과정
1) 의 시대에 따른 변화
(1) 16세기
(2) 17세기
(3) 18세기

2) 의 형태 변화와 의 등장
(1) 16세기
(2) 17세기
(3) 18세기

3) 완결지속법 의 발달과정
(1) 16세기
(2) 18세기
(3) 19세기
4. 시제법에 있어서의 문법범주 실현방법의 변화
1) 통사론에서 형태론으로
2) 통사변화의 요인

5. 시제법 변화의 이유에 대한 사견(私見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언어에 있어서 범주는 전통적으로 형태-통사적인 개념범주를 말한다. 문장을 구성하기 위하여 단어들이 결합할 때, 이 단어들이 의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단어에 일정한 형태-통사적 속성을 부여하는 것을 문법범주라고 한다. 예를 들면, ‘보았다, 먹었고, 하였는데’ 등을 ‘보다, 먹고, 하는데’ 등과 비교해 보면 전자는 각각 형태 ‘-았-, -었-, -였-’을 가지고 과거의 뜻을 표시한다. 이 현상은 특정한 단어뿐 아니고, 조건만 충족되면 모든 단어에서 일어나므로 그들 형태는 한 무리를 이룬다고 인정된다. 이 경우 그들은 하나의 범주를 이룬다고 하고, 범주의 명칭은 ‘과거’라고 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100.php?id=65568

이러한 문법범주의 실현방법은 크게 두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하나가 형태론의 방법이고, 다른 하나가 통사론의 방법이다. 형태론의 방법에는 굴곡적 방법과 파생적 방법이 포함된다. 권재일(1994), 『한국어 문법의 연구』, 서울:박이정

그리고 문법범주의 실현방법은 역사적으로 변화한다. 중세 시대의 한국어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가 같지 않음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언어 현상은 역사적으로 변화되어왔기 때문인데, 그 중 문법범주 실현방법에 있어서도 중세어와 현대어의 차이를 볼 수가 있다. 이에 대해 나는 시제법을 중심으로 중세의 한국어와 현대의 한국어를 비교해 보며 그 사실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시제법을 택한 이유는 중세시대에는 오늘날 우리가 흔히 쓰는 ‘-었-’이나 ‘-겠-’과 같은 것들이 없었다는 것에 신기하였고, 그럼 ‘-었-’이나 ‘-겠-’이라는 언어형태가 없었을 당시에는 그와 같은 의미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가 궁금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시제법의 변화가 왜 일어났으며, 문법범주 실현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먼저 현대 한국어의 시제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으로 15세기에는 어떠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알아 볼 것이다. 그런 후에 15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제법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시대별로 나누어 변화과정을 살펴보면서 문법범주의 실현이 어떻게 이루어져왔고, 그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확인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법범주의 실현에 차이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 내 나름대로의 해석을 더해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단행본>
① 권재일(1994), 『한국어 문법의 연구』, 서울 : 박이정
② 권재일(1992), 『한국어 통사론』, 서울:(주)民音社
③ 국립국어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 ․ 실태연구, 1:중세 국어』, 서울:국립국어 연구원
④ 허웅(1996), 『국어학 : 우리말의 오늘 ․ 어제』, 서울:샘문화사
⑤ 허웅(1992), 『15, 16세기 우리 옛말본의 역사』, 서울:탑출판사
⑥ 고영근․남기심 공편(1999), 『중세어 자료 강해』, 서울:집문당
⑦ 서태룡 외 공편(1998), 『문법 연구와 자료』, 서울:태학사
⑧ 고영근(1997), 『표준 중세국어 문법론』, 서울:집문당

■ 논문>
① 강의홍(1984), 『중세국어 시제어미의 분포적 특성』,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② 김형옥(1993), 『조건관계 접속어미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교육 학석사 학위논문
③ 차윤정(1990), 『15세기 우리말 시끝 {-니} ․ {-리}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학위논문
④ 김용경(1994), 『현대 국어의 때매김씨끝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학위 청구논문
⑤ 김선호(1979), 『한국어의 때매김 연구 -특히「았/었」,「은/ㄴ」,「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⑥ 김목한(1985), 『과거시제 ‘-었-’과 기준시점 문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⑦ 이석규(1982), 『현대 국어의 시제 연구 - ‘-는-’, ‘-았-’, ‘-겠-’을 중심으로-』, 건국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⑧ 고영근(1981),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과 국어학전공 문학박사 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