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

 1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1
 2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2
 3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3
 4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4
 5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5
 6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6
 7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7
 8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8
 9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9
 10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10
 11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11
 12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12
 13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13
 14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작가론] 소외문학의 기수 김승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생명연습」에 나타난 소외의 고찰
2. 「무진기행」에 나타난 소외의 고찰
3. 「서울 1964년 겨울」에 나타난 소외의 고찰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김승옥이 소설을 쓰기 시작한 1960년대 초반의 한국사회는 한국전쟁의 여파로 인한 경제적 피폐, 정치, 사회적 불안 등으로 개인의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삶과 행동방식을 판단할 가치 체계나 규범이 정립하지 못하였음을 의미하며, ‘도덕적 생존의 불일치’를 당대 개인들이 불가피하게 겪어야 함을 뜻한다. 또한 당대인들은 자신과 그들이 살아가는 사회가 모두 소외되어 있음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승옥이 이해한 소외는 단순히 사회․경제적 상황에만 그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존재론적 조건이자 삶의 배경이다. 외부로 드러나지 않았던 소외를 개인이 주관적으로 인식했던 김승옥 초기 소설 등장인물들은 후기 소설에서는 소외가 전면화 된 사회에서 타인의 소외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전반적인 소외 상황을 인식하게 된다. 김승옥의 소설 창작은 당대의 현실에 대한 문학적 질문의 형태로 소외 극복을 위한 끊임없는 반성과 사색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현대 사회에서의 소외는 전면적이고 철저한 변화를 가져온다. 그런 만큼 소외는 현대 사회를 진단하는 주요한 개념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김승옥 소설을 소외의 개념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그의 작품 세계가 단순히 60년대라는 특정 역사시기에 대한 단편적인 현실 반영이라는 소극적 의미를 넘어서서, 인간의 존재론적 본질과 사회 전반에 대한 진단과 전망이라는 보편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논문은 김승옥 소설을 소외개념으로 재조명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소설의 변모 양상의 내적 동인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참고문헌
반성완, 「비판이론의 미학 - 아도르노」, 『한양대인문논집 28』, 1998, 7.
게오르그 루카치, 『루카치 소설의 이론』(반성완 역), 심설당, 1998.
심영덕, 「70년대 소설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소외」,『경산어문학』,1995.
원을미, 「김승옥 소설에서 드러나는 소외의 양상」,『목포어문학』, 1998.
김태빈, 「김승옥 소설의 소외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2002.
송은영, 「김승옥 소설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1997.
정명오, 「현대사회와 소외의 문제」,『인하 18』,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