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1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
 2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2
 3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3
 4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4
 5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5
 6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6
 7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7
 8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8
 9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9
 10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0
 11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1
 12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2
 13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3
 14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4
 15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5
 16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I. 서 론
1. 군사회복지의 개념
II. 본 론
2. 군사회복지의 목적
3. 군사회복지의 대상과 업무
4. 군사회복지사의 역할
5. 군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
6. 군사회복지사 제도 도입의 필요성
7. 군사회복지사 제도의 입법화 방향
8. 사례를 통한 군사회복지
III. 결론
본문내용
군사회복지는 군에서 전문적인 능력과 자격을 갖춘 사회복지사가 제공하는 사회적 서비스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군사회복지란 사회복지의 한실천분야로서, 일차적으로는 군의 고유한 목적이 최대한 달성될 수 있도록원조하는 것이며, 나아가 군의 구성원인 군인과 그 가족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전문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군사회복지는 다른 분야와는 달리 군대라는 특수한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이슈에 관심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사회복지의 전문 지식과 실천 방법을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사회복지대백과사전, 1998: 1948-59, Daley, 2003: 438-9)
이상의 고찰을 통해, 군사회복지(military social work)의 개념이 갖는 몇 가지 특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일하는 주된 장소가 군이라는 점이다. 이는 군사회복지사를 다른 사회복지 영역과 구분 짓는 요소라고 하겠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군에 개입하여 군의 본래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 기능인 심리사회적 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넷째,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간에 초점을 맞추는 사회복지 실천의 기본적인 관점을 적용하여 군인 개인 뿐 아니라 그 가족, 그리고 다양한 수준의 군 조직 및 지역사회라는 환경에 대한 개입을 동시에 고려한다는 점이다.
2. 군사회복지의 목적
군사회복지는 사회복지의 기능이 주가 되는 일차현장(primary setting)이 아니고, 다른 조직의 본래적 기능에 협조하는 이차현장(secondary setting)에서 이루어지는 전문 사회복지 활동이다. 따라서 군사회복지는 군 조직의 본래적 목적인 국가안보 혹은 국방력 강화라는 불변의 소명을 완수하도록 돕는데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Daley, 1999). 또한 군사회 복지사가 수행하는 어떠한 역할과 기능도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일차적인 목적을 지향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목적 수행을 다하지 못할 때 군사회복지의 존립은 당위성을 잃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차적 목적을 가지고, 군사회복지사들이 그들의 전문성과 능력을발휘하여 성취하고자 하는 실천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군의 구성원들이 그들이 처한 환경에 원만히 적응할 뿐 아니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돕는다.
참고문헌
국방부(2004) 『국방백서』.
김동기(2004), “군 조직내 복지사 필요성과 역할에 관한 연구: 장병 사고예방차원”,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만두 김융일 박종삼(1998), 『사회복지대백과사전』, 나눔의 집.
박미은(2005). “군사회복지사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전망”,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계간)
『사회복지』, 통권 제 164호.
박순혁(2000), “공무원 인사복지법에 관한 연구 - 군관련법을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흥식(2005), “국가 복지정책 방향에 따른 군복지 체계정립의 필요성”, 열린 군복지체계
정립을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 토론회 자료.
원창희(1994), “미국 MWR제도의 한국군 적용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이윤수(2000), “군생활 내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군사회사업 필요성”,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조영갑(1997), “한국직업군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응”,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채봉식(1998), “군 조직내 병사들의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인영(1999), “군인의 정신건강 문제와 군 사회사업실천의 필요성”, 한국정신보건사회
사업학회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제 8호.
한국사회복지사협회, 『Social Worker』, 2005년 7월호.
기타 우리나라 국방부 홈페이지(www. mnd.go.kr) 자료 미국 국방부 자료 참조
The Army Regulation(608-18): the Army Family Advocacy Program.
AR(40-63) : Medical Services- Clinical Quality Management
AR(608-1) : Army Community Service
Daley, James G.(1999), Social Work Practice in the Military, New York: The
Haworth Press.
(2003), Military Social Work: A Multi-country Comparison,
International Social Work 46(4): 437-448.
DiNitto D. M. & McNeece, C. A.(1997), Social Work, Allyn & Bacon.
Knox, Jo & Price, David H.(1995), The Changing American Military Family:
Opportunities for Social Work, Social Service Review(September), pp. 479-497.
비전캠프내에 군사회복지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