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

 1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
 2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2
 3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3
 4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4
 5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5
 6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6
 7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7
 8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8
 9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9
 10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0
 11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1
 12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2
 13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3
 14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4
 15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5
 16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6
 17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7
 18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8
 19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구축 및 자원활용방안
I. 서 론
II. 본 론
1. 지역 사회지지 프로그램의 배경
2. 욕구의 관한 정의
3. 지역사회지지 체겨의 원칙들
4. 지역사회지지 체계의 관한 정의
1) 환자발견과 아웃리치
2) 정신건강치료
3) 위기개입서비스
4) 신체 및 구강건강 보호
5) 주거
6) 소득보장
7) 상호지지
8) 가족과 지역사회지지
9) 재활서비스
10) 보호와 옹호
11) 사례관리
5. 지역사회 지지체계를 구축할 계획
III. 결 론
6. 지역사회지지체계의 적용에 있어 문제점과 과제
본문내용
만성적인 정신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지역사회에서 일정한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사는 것은 정신장애인 본인이나 가족의 노력만으로 성취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또한 많은 정신보건전문가들이 여러 가지 정신장애인들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치료와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의도했던 만큼의 성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정신장애 자체가 갖고 있는 특성때문에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접근만으로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어렵고 결국 환경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신장애인의 재활모형을 설명하면서 계속 강조되고 있는 바와 같이 손상에 대한 의료적인 접근과 함께 불능과 불리에 대한 지원체계인 지역사회의 복지서비스의 변화없이는 정신장애인들과 가족은 물론 이들을 돕고자 하는 정신보건전문가들도 지치고 좌절하게 된다.
방문간호사업을 통해 정신장애인 개인에 대한 발견 및 등록, 의뢰, 증상 및 약물관리 등은 초기에 비해서 어느 정도 정착되었으나 의료적 수준을 넘어서는 재활과 복지차원의 욕구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많은 제한을 경험하고 있다(용인시, 1997, 경기도 1998). 최근 사례관리라는 개념이 방문간호사업과 접목되면서 사례관리자들은 보다 많은 욕구를 해결해주고 지원해야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례관리자는 자원을 발견하고 활용해야한다는 이론적인 원칙과 이용할 자원자체가 부족하고 지역사회내에 존재하는 자원도 개인차원에서는 연결하고 활용하기가 힘든 실제상황때문에 소진되기 쉽다. 때로는 지역사회 지지체계를 발견하고 활용하는 일이 사례관리자 개인의 능력으로 해결해야 하는 일처럼 비춰지기도 한다. 결국 방문간호사업 뿐 아니라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전체가 결국 정신보건 전문가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생존과 기능에 필요한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체계, 지역사회의 능력을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이 새로운 관심의 초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주제발표에서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전체를 체계화하고 조직화하는 접근방법인 미국의 지역사회지지체계의 형성배경과 개념,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에 대해서 주로 소개하고 우리나라 상황에 적용하는데 따른 문제점과 보완해야 할 점, 방향성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II. 본 론
1. 지역사회지지프로그램의 배경
미국의 정신보건역사에서 1970년대는 탈시설화의 문제점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 제기되고, 정신보건센터의 만성정신장애인에 대한 치료와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보완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정신보건정책의 새로운 개념으로 미국정신보건연구소(NIMH)에서 제시한 것이 그 동안 소외되어 왔던 만성중증 정신장애인을 주요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지지체계 또는 프로그램이다.
1974년 NIMH의 정신보건서비스프로그램국은 지역사회지지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지지체계가 빈약한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해 지역사회의 다차원적인 서비스들을 체계화하고 조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미 민간차원에서 정신장애인의 복합적인 욕구에 대해 개혁적인 모델로 서비스를 제공해 온 New York의 Fountain House와 Wisconsin의 ACT프로그램에 대한 NIMH의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졌다. NIMH는 지방정부와 함께 지역사회지지체계를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는 19개 주정부 정신보건기구 계약을 체결하고 예산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NIMH는 지역사회지지체계와 프로그램의 기본요소와 직원과 기관의 기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지역사회지지프로그램을 실행하기위해 연방정부는 계약을 체결하고 모니터링과 기술지원, 옹호와 기관간의 협력을 담당하였다. 주정부는 지역사회지지전략의 설계와 수행과 관련된 체계를 만들고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지방정부는 지역사회지지 프로그램의 10가지 요소들을 모두 갖춘 지역사회 체계를 만들어 가야 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었다. 지역사회지지프로그램은 만성정신장애인의 탈원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연방정부에서 지원한 평가에 따르면 지방정부수준의 지역사회체계는 상당한 정도의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정부에 대한 지원을 통해 다양한 시범사업을 수행하여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관련인력에 대한 훈련사업에도 예산을 지원하였다. 지역사회지지프로그램은 1980년 제정된 Mental Health System Act에 의해 확산이 예상되었으나 레이건정부가 들어서면서 연방차원의 지원은 제한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주정부에 대하여 지역사회내의 서비스 체계를 개발하도록 촉구하여 다양한 모델과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지방정부차원의 정신보건서비스의 기본적인 틀을 계획하고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가장 주요한 대안으로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NIMH 또한 지역사회지지 프로그램의 강점과 확산에 대해 옹호하고 있다(Fellin. P. 1996). 최근에 지역사회지지체계개념은 주정부나 지방정부가 지역사회를 기초로한 정신보건체계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기위해 NIMH에 의해 가본적인 정신보건계획모델로 재구성되었다.
2. 욕구(needs)의 관한 정의
과거에는 정신장애인들을 시설에 장기간 보호하였다. 이러한 시설은 전형적으로 사람들의 그들이 살던 지역사회와 멀리 떨어져 있었고, 단지 먹여주고 재워주는 수용수준의 서비스제공에 그쳤다. 1960년대 공공정신병원에 장기간 입원해있던 사람들의 숫자가 극적으로 감소하였다. 새로운 약물과 치료법의 개발과 치료과정에 있어 최소한의 규제를 받는 장소에서 치료받고 싶어하는 개인의 권리요구에 대한 법원 결정, 또한 다른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대형정신병원을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는 정신장애인의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켜줄 수 있는 준비가 부족하였다. 많은 경우 그들이 인간적으로 살아가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집, 음식, 의복, 수입, 치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원이 제공되지 못했다. 지지적이고 재활을 추구하는 서비스들이 전국적으로 제공되지 못했고 사람들은 지속적인 보호와 치료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서 지내거나 매우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지냈으며, 반복되는 재입원, 응급실이용, 교도시설 재수감, 가족들의 부담 등 복합적인 문제의 원인은 모두 지역사회 지지와 서비스들이 불충분했기 때문이었다. 오늘날 지역사회보호가 입원에 비해 보다 인간적이고, 치료적이며, 낙인을 줄일 수 있다는데 는 동의하지만 적절한 지역사회 서비스들이 충분히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점 또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정신장애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욕구는 무엇인가? 지역사회에서 그들이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어떤 서비스와 지지가 필요한가? 많은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입원치료에서는 주거, 음식, 옷, 구조화된 활동들, 약물치료, 정신치료, 재활 등 이론적으로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였었다.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생존하고 기능하기 위해서는 치료와 재활의 욕구뿐 아니라 그들의 삶의 모든 측면과 기초적인 인간의 욕구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정신장애인도 매우 다양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개인에 따라서 다른 독특한 관심, 능력,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집단별로 각각 다른 특성과 서비스욕구가 있는 다양한 하위집단이 있다. 연령, 인종, 치료경력, 중복장애의 유무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과 욕구가 존재하며, 특히 부랑정신장애인의 경우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인구집단으로 약물남용, 신체 및 정신건강문제, 직업능력결여, 주거지 문제 등을 해결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집중적이고 포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과 하위집단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지지체계개념은 지역사회에 사는 정신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영역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용인시(1997) 경기도 용인시 정신보건사업보고서
경기도(1998) 경기도 지역정신기획평가보고서
강순정,김영희, 고 영(1998) 지역정신보건간호사의 역할 및 활동, 그리고 방향성에 관한 연구. 용인정신의학보 제5권 제2호.
Fellin. P.(1996)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F.E.Peacock Publisher, Inc.
Stroul. B. A.(1989) Community Support Systems For Persons with Long-Term Mental Illnes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Vol.12. No. 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