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2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3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4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5
 6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6
 7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7
 8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8
 9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9
 10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0
 1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1
 12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2
 13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3
 14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4
 15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5
 16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6
 17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7
 18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8
 19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19
 20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목 차
Ⅰ. 서론
Ⅱ. 공동모금의 특징
1. 공동모금의 발달역사
2. 공동모금의 특성
3. 공동모금의 의의 및 필요성
Ⅲ. 한국공동모금의 제도
1. 공동모금회 소개
2. 공동모금의 방법
3. 공동모금의 나눔 활동
4. 한국공동모금 현황
5. 공동모금 법
Ⅳ. 외국의 공동모금
1. 미국 - United Way of America
2. 일본 - 빨간깃털 공동모금
3. 미국과 일본 공동모금을 통한 우리의 시사점
Ⅴ. 결론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Issue 및 모범 사례
본문내용
현대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그 문제들이 개인의 힘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사회복지의 역할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의 필요성이 커지는 만큼 사회복지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가를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사회복지의 역할을 증대시키는 데에 정부의 역할이 크고, 일차적인 책임 역시 정부에 있다는 인식이 컸지만, 최근 민간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고, 오늘날과 같이 사회복지 대상자의 집단 규모가 커지고 대상자들이 가지는 문제가 복잡해지고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민간부문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사회복지의 기능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자금이 충분히 수집되고 분배되어야 한다. 민간기관이 자율적으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하는 부분 역시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는 일이다. 민간기관의 수입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보조금이나 외국 기관과 단체에서 보내는 원조, 기관 자체의 수입, 기관 성원들의 회비, 일반 헌금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정부보조금에 재정의 대부분을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정부예속성에서 벗어날 수 없고, 그러다보면 사회복지기관의 자율성을 살리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행해졌던 대부분의 모금활동은 정부에서 주도하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주민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지역사회복지관이나 민간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금 활동 역시 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국가의 사회복지 재정지원의 불충분성과 사회복지와 관련된 기금을 모금하는 방법, 모금된 재원을 배분하는 데에 생기는 비효율성,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부족, 모금 활동의 전문성 부족 등 단점을 보완하고 민간기관에 대한 주민의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민간복지의 재원조달 방식으로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지역공동모금제를 실시하고 있다.
사회복지의 여러 분야에서 민간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는 매우 크다. 공동 모금은 민주적인 모금 활동이고, 전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복지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부금을 통해 민간사회복지기관의 재정운용의 안정성을 부여하여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의 전문화 및 질적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먼저 공동모금회가 어떻게 발달하게 되었는지 발달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공동모금회의 특성과 의의, 필요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그리고 외국에는 어떤 공동모금제도가 실시되고 있는지 살펴본 뒤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동 모금의 현황과 방법, 사례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본 뒤 외국에서 공동모금을 실시한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고, 공동모금회가 가지는 문제점과 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그리고 최근 공동모금에 관련된 이슈 순서로 알아보도록 한다.
Ⅱ. 공동모금의 특징
1. 공동모금의 발달역사
공동모금의 역사는 1800년대에 영국에서 조직한 자선조직협회 운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자선단체에 대한 외부의 원조요청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 우호적 방문, 지역 내의 원조기관과의 협동으로 중복을 조정하기 위해 자선조직협회가 조직되었으나 자선단체에서 필요로 하는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필요액을 결정해야 하고, 유력한 시민집단이 기부액정액을 자발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었다. 미국에서는 이와 같은 제도를 모방하여 1900년에 클리브랜드 등에 있는 상공회의소 내에 기부금국을 설치하고 1913년에 클리브랜드 자선박애연맹 조직을 시작으로 1918년에 뉴욕 로체스터시에서 공동모금회를 조직, 오늘에는 전 미국 방방곡곡에 공동모금회를 조직하였다.
일본은 1947년 제 1회 공동모금을 실시한 바, 당시 일본은 연합군 점령 하에서 민간사회사업단체가 정부의 보조를 받기 어려운 처지에서 민간공동모금운동의 발촉을 보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민간 사회복지재정 동원을 위한 공동모금회 조직이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1964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전신인 한국사회사업연합회와 보건사회부 당무자들이 연구검토 하여 사회복지사업법안을 시안 할 때부터이다. 그 후 1966년 7대 국회가 개원되자 당시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회장이자 국회의원인 윤인식회장이 동년 복지사업법안을 국회에 제안 1969말 국회를 통과하였다. 1971년 11월에는 사회복지법인으로 보건사회부장관의 설립허가를 받아 다음해 1972년 11월 1일부터 1972년 12월 31일까지 제 1회 공동모금회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도력 부족, 조직의 미흡, 선적의 부족, 기타정치, 경제적인 이유 등의 사회적 여건 및 복지계의 미성숙으로 단 한 번의 모금사업을 끝으로 한국 사회복지 공동모금회는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채 공동모금제도는 실패하게 되었다. 이후 1975년 정부에 의하여 불우이웃돕기 모금을 시작, 1980년에도 사회복지사업 기금법을 제정, 그 이듬해부터 이웃돕기성금과 장애인 성금을 통합한 사회복지사업기금법이 보건복지부에 설치됨으로써 정부 주도에 의한 민간 성금의 모집 및 배분의 틀이 상정되었다. 1980년 사회복지사업기금법을 제정, 이듬해부터 이웃돕기성금과 장애인성금을 통합한 사회복지사업기금이 보건복지부에 설치됨으로써 관주도에 의한 민간 성금의 모집 및 배분의 틀이 상정되었다. 1992년부터는 민간경제, 경제사회단체에서 ‘이웃돕기중앙운동추진협의회’를 결성하고 중앙과 지방에 걸쳐 매스컴과도 연계된 모금활동을 함으로써 모금성과를 증대시키기도 하였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 1997년 3월 17일 사회복지공동모금법이 제정, 대선을 앞둔 당시 이 제도가 대선 전략에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하여 1998년 7월 1일 시행하는 부칙을 마련하게 되었다. 사회 각 분야의 인사들은 이 법이 사회, 경제 및 복지 현실에서 공동모금회법이 지니는 본래의 의의를 달성하는 데 미성숙한 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제정 법안이 공동모금사업의 원래 취지를 극히 저해하는 조항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견으로 이 법의 철회를 요구하였다. 이같은 공동모금제도의 원래대로의 시행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병존하던 상황은 양측의 입장을 대표하던 인사들의 회동을 거쳐 최초의 공동모금법이 어느 정도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인정, 1999년 4월 사회복지공동모금법을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2. 공동모금의 특성
공동모금활동은 민간조직을 통한 통일된 캠페인 아래 자원봉사자가 중심이 되는 민주적 모금활동이며, 민간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민간지역사회복지운동이며, 상부상조의 전통에 바탕을 두는 전 국민 참여의 지역사회복지운동이며, 기부자에게 조직 성원들이 개별적인 간청을 해서는 안 되며, 공동모금회의 운영비는 기부금에 의해서 획득되어야 하며, 공동모금회는 1년 내내 계속적인 활동과 평가를 해야 하며, 모금과 배분 및 사용이 공개되는 깨끗한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차원에서 출발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공주대학교 석박사 논문자료집(2000) ‘공동모금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노문(2006)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방 성수, 사회복지공동모금제도의 발전 방안, 복지행정논집, 제11집 제1권, 2001.
-오 정수, 지역단위 사회복지공동모금의 효과적인 모금 및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43호
-김범수 외,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共同募金會 (2000). 平成11年度 共同募金運動統計, 共同募金會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0). 2001년 사회복지 배분신청 안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은금순 (1989). 일본 공동모금제도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rilliant, E. L. (1990). The United Way: Dilemmas of Organized Charity,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Central Community Chest of Japan (2000). Community Chest of Japan.
-United Way of America (1997). Allocations Manual, UWA.
-(1998). Fund distribution Results: By Agency and By Programs, UWA Research services.
-(1999a). Fund Distribution Trends in the Nineties, UWA.
-(1999b). United Way of the Midlands, UWA Planning, Allocation, and Evaluation Committee.
-(1999). 1999 Annual Report, UWA.
-(2000). Measurements: Campaign, Demographic and Economic Statistics for United Way Campaigns
-1999-2000. UWA.
-unitedway.org (United Way of America 홈페이지),
-www.akaihane.or.jp (일본 공동모금회 홈페이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5)나눔을 위해 일하는 세계의 공동모금회 -14개국 세계공동모금회 활동 자료집
-방 성수, 사회복지공동모금제도의 발전 방안, 복지행정논집, 제11집 제1권, 2001.
-오 정수, 지역단위 사회복지공동모금의 효과적인 모금 및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43호
-김범수 외,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happybean.naver.com/ (해피빈 홈페이지)
-happylog.naver.com/chest.do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해피로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