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

 1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1
 2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2
 3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3
 4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4
 5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5
 6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6
 7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7
 8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8
 9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9
 10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10
 11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연구] 전라도소외는 내재화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전라도에 대한 상징과 편견들

2. 본론
주장 1. 전라도 소외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이다.
(1) 사회. 문화 자본적 측면
(2) 경제 자본 측면

주장 2. 전라도 소외는 내재화되고 있다
(1) 젊은 층을 파고드는 전라도에 대한 편견
(2) ‘전라도 혐호ꡑ의 아비튀스 내재화 과정

주장 3. 전라도 소외는 발전중이다.
(1) 전라도는 한국의 왕따이다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 사회에서 전라도는 한국의 대표적 소외 집단으로 자리잡아 왔다. 21세기를 맞이한 지금 사회는 사회적 약자와 불평등에 대한 개선 의지로 가득 차 있다. 그렇다면 너무나 오래되어 굳은살처럼 우리 사회에 배겨버린 전라도에 대한 편견과 소외는 개선 되어가고 있는가?

『아버지는 서류에 '전라도'라는 글자 들어가는 거 피하려고 본적을 바꾸고,
누가 본적을 묻걸랑 반드시 '경기도'라고 말하라고 어린 자식들에게 일렀습니다.
'고향을 물으면 뭐라고 대답해?'라는 질문에는 대충 얼버무려서 잘 모른다고
답하라고 했습니다. 요약하면 '본적은 경기도, 고향은 모른다' 였습니다.
하하 재밌지요. 어린 나이에도 황당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세상에, 고향을 모른다니.』

한 포털 사이트 게시판에 올라온 글이다. 자식에게 고향을 숨기게 할만큼 여전히 전라도에 대한 편견은 여전히 고착화 되어있다. 전라도에 대한 편견을 만들어내는 경제자본과 문화자본 등의 배분이 여전히 고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전라도 혐오라는 문화현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또 예전처럼 수면으로 드러난 편견이 아닌 내재화 과정을 통해 편견의 방출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전라도에 대한 편견의 형성과 재생산 과정, 현재에 와서 변화된 상징 생산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우리는 젊은 청년들과 청소년들이 이러한 편견에 여전히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자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2)전라도에 대한 상징과 편견들.

대표적으로 전라도를 상징하는 것에는 걸쭉한 사투리, 조폭 문화, 지역감정, 맛있는 음식 등을 흔히 떠올리게 된다. 대표적으로 전라도인들에 대한 상징으로는 ‘전라도인들은 뒤에서 배신을 잘한다’ ‘전라도인들은 피해의식이 강해서 악바리이다’ ‘전라도 남자들은 겉과 속
참고문헌
1) 최문성. 1991. 정치․행정과 지역 감정「 지역 감정 연구」
2) 김광수. 1987. 한국 정치에 있어서 지역주의 「국제 학술회의 자료집」
3)「월간조선」1987.11
4) 문석남. 1994. 지역격차와 갈등에 관한 연구 : 영․호남 두 지역을 중심 으로「한국 사회학」 제 18 집, 겨울호 p.197~200
5) 최창집. 1988. 지역의식,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사회 연구소 편 「동향과 전망」서울: 태암 p.202
6) 최원규. 1991. 경제 개발의 격차와 지역 감정「지역 감정 연구」
7) 문석남. 1991. 지역 격차의 태동「지역 감정 연구」
8) 김만흠. 1991. 「한국의 정치균열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서울대 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p.47~48
9) 이홍식. 2002. 지역감정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 울산지역 중, 고등학생 중심으로
10) 정효진. 2000. 지역감정의 세대간 전이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고등학생들 을 대상으로
-참고사이트-

www.naver.com 지식in
www.kbs.co.kr 개그콘서트 게시판
www.kimjinuk.cafe24.com/bbs/
유시민. 2002. 문제는 '지역감정'이 아니라 '전라도 혐오증'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