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

 1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1
 2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2
 3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3
 4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4
 5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5
 6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6
 7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7
 8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8
 9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
  •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설화, 아기장수이야기)의 특징, 신화적 성격,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설화, 아기장수이야기)의 의의, 내용,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설화, 아기장수이야기)과 용마봉전설 비교, 홍길동전 비교
  •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 내면적 의미, 성격,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 중요성, 기능,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설화)과 우투리전설의 관계, 홍길동전 관계
  • [졸업][국어국문학] 아기장수설화의 신화적 주제 탐색
  • [구비문학] 아기장수전설
  •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유형, 전승성,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전승과정, 시대,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이야기, 아기장수전설)의 지배집단, 통과의례
  •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전설, 아기장수이야기)의 의의, 변이,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전설, 아기장수이야기)의 존재론적 사유, 한계, 아기장수설화(아기장수전설, 아기장수이야기)와 좌절, 둥구리전설
  • [아기장수전설]아기장수전설
  • [신화, 전설] 박혁거세 신화, 동명왕 신화, 금오신화, 단군신화, 김통정 전설, 이성계 전설, 제주도 관련 전설, 아기장수 전설 심층 분석
  •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 소개글
    `아기장수 이야기`속 민중의식과 전승력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와 에 담긴 이데올로기
    1) 남성중심 이데올로기(가부장적 이데올로기)
    2) 인간의 존재론적 갈등 이데올로기

    2. 에 담긴 민중 의식
    1) 민중 영웅 출현의 소망과 좌절
    2) 지배질서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충(忠), 가족을 지키기 위한 효(孝)
    3) 역사적 인물 투영에 담긴 민중 심리

    3. 의 ‘전승력’
    1) 의 ‘전승력’에 관한 논의
    2) 의 ‘전승력’
    3) 의 재구성
    본문내용
    옛날 어느 집에 홀어머니가 힘이 장사인 아들과 딸을 데리고 살았다. 하루는 오뉘가 한 집에서 살 수 없으니 지는 자가 죽기로 하는 내기를 하기로 하였다. 그 내기란 오빠는 당일로 서울 갔다 오고 누이는 성 쌓기였다. 그런데 딸이 아들보다 먼저 성을 쌓게 되자, 어머니는 이왕이면 아들을 살려야겠다는 생각에 딸로 하여금 작업을 늦추게 하였다. 결국 아들이 이기자 누이는 죽게 되었다. 그 뒤 아들은 자기가 비겁하게 이긴 것을 알고 자살을 하였고, 아들과 딸을 잃은 어머니도 죽어버렸다. 지금도 딸이 쌓다만 성이 남아있고, 아들이 죽은 비극의 증거가 남아있다. 서대석,『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2008, p.290.



    (제1유형)
    ① 미천한 집에서 아이를 낳았다.
    ② 어머니는 아이의 비범한 능력을 발견(발설)한다.
    참고문헌
    서대석,『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2008.
    임철호,『설화와 민중-구비설화의 민중의식과 민족의식』, 전주대학교출판부, 1996.
    임철호,『설화와 민중의 역사의식-임진왜란 설화를 중심으로』, 집문당, 1989.

    논문

    김영희,「아기장수이야기의 전승력연구-서사적특성과 전승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1999.
    김영희,「비극적 구전 서사의 연행에서 나타나는 비밀폭로자로서의 여성이미지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민보영,「김덕령에 대한 설화와 소설의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이보라,「아기장수 전설 연구-어머니의 부정적 역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최정윤,「아기장수 설화의 비극적 결말의 지속에 대하여 :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