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보는 고소설

 1  문화로 보는 고소설-1
 2  문화로 보는 고소설-2
 3  문화로 보는 고소설-3
 4  문화로 보는 고소설-4
 5  문화로 보는 고소설-5
 6  문화로 보는 고소설-6
 7  문화로 보는 고소설-7
 8  문화로 보는 고소설-8
 9  문화로 보는 고소설-9
 10  문화로 보는 고소설-10
 11  문화로 보는 고소설-11
 12  문화로 보는 고소설-12
 13  문화로 보는 고소설-13
 14  문화로 보는 고소설-14
 15  문화로 보는 고소설-15
 16  문화로 보는 고소설-16
 17  문화로 보는 고소설-17
 18  문화로 보는 고소설-18
 19  문화로 보는 고소설-19
 20  문화로 보는 고소설-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로 보는 고소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자주 등장하는 고소설
1. 속담이 된 고소설
2. 그림이 된 고소설
3. 소설이 된 고소설
4. 시조가 된 고소설
5. 한시가 된 고소설
6. 노래가 된 고소설
7. 놀이가 된 고소설
8. 설화가 된 고소설
9. 창가가 된 고소설
10. 가사가 된 고소설
11. 굿.탈춤이 된 고소설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날의 대중문화 가운데 영화나 드라마의 인기여부를 알아보는 손쉬운 방법은, 해당 작품의 대사 또는 에피소드가 얼마나 회자되고 다양한 형태로 재생산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대중들은 특정 대사를 마치 관용어처럼 쓰기도 하고, 패러디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향유한다. 또 어떤 작품은 하나의 모티브가 되어 다른 작품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고소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고소설의 향유형태는 단순히 읽기만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매우 다양한 문화로 발전했다. 고소설의 관용적 표현은 일상에서 민중이 두고두고 사용하는 속담이 되었고, 주요장면은 그림으로 그려져 일반 민중의 집은 물론 양반가, 궁중에서까지 곁에 두고 보았다. 고소설도는 20세기 이후에는 명성황후도 소장할 만큼 귀천을 가리지 않고 널리 퍼졌다. 고소설은 다른 소설 속에 들어가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바탕이 되기도 했다. 소설의 등장인물을 다른 소설에서 빌려 쓰기도 하고, 소설 속의 인물이 다른 소설을 읽는 장면이 그려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었다.
더불어 시조로 고소설을 비평하기도 하고, 한시의 형식으로 고소설을 담아낸 작품도 있다. 또한 우리 민족의 생활과 정서를 읊은 민요가 되었으며, 딱딱하게 책을 읽는 것에서 발전하여 놀이가 되기도 했다. 이례적으로 고소설 이 설화가 된 경우가 있고, 갑오개혁 이후 은 창가 형식으로 바뀌어 불리기도 했다. 고소설을 특히 사랑한 여인들은 즐겨 부르던 와 같은 가사에 고소설의 인물을 첨가하였다. 은 제주도의 ‘덕담 소리’라는 굿에 쓰였고, 과 더불어 등의 인물은 탈춤 속에 생생하게 들어가기도 한다.
참고문헌
간호윤,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김영사, 2010.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권혁준, , 2009.
김국희, , 《한국문학논총/52》, 한국문학회의, 2009.
김영호 편저, 홍성복 ; 이가원 ; 금동준 감수, 《청구영언 해의》, 삼강문화사, 1994.
, 《청구영언 해의 : 겨레의 옛 노래 下 : 청구영언과 가사》, 삼강문화사, 1996.
나관중 저, 차평일 편, 《한권으로 당당하게 끝내는 삼국지》, 동해출판, 2005.
심우성, 《우리나라 민속놀이》, 동문선, 1996.
이원수, , 《語文學/46》, 韓國語文學會, 1985.
임치균, , 《韓國文化/16《,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95.
장민영, 《조선 영조대 ‘명기집략사건’의 정치적 성격》,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전관수, 《한시어사전》, 국학자료원, 2007.
진동혁, 《(역주) 시조총람, 2 : 이세보 기타 시조》, 하우, 2000.
최명자, ,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최명자, , 《국제학술대회》,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3.
함규진, ‘초한지의 인물들(1)’,《테마인물열전》, 네이버캐스트, 2012.

고소설 원문 자료
, 《한국고전문학전집》3, 집문당, 1978
, 한국고전문학회 역, 2008

사전류 및 홈페이지
, 고전해설ZIP, 2009, 지만지
, 한국학대백과사전, 2013
네이버 지식 백과 http://terms.naver.com
디지털강릉문화대전 http://gangneung.grandculture.net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
디지털제천문화대전 http://jecheon.grandculture.net
한국의 지식콘텐츠 KRpia http://www.krp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