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

 1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1
 2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2
 3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3
 4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4
 5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5
 6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6
 7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7
 8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8
 9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9
 10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10
 11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11
 12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12
 13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문화 교육연구] 미국 내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사용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언어-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2)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언어 사용 및 정체성 형성
① 엄마의 말,모국어: 미국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기
② ‘갈림길에 서다”: 현실적 문제와 모국어의 손실
③ “의도하지 않은 동화(assimilation)”: 갈등에서 타협으로

3. 결론: 한국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힘이자, 곧 삶이고 문화의 도구이며,지배와 자유의 도구이다.”
- Angela Carter (1940-1992)
모국을 떠나 새로운 문화 및 언어권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 ‘언어’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그들은 현재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주류 언어와 비주류 언어 예를 들어 모국어,소수 언어, 계승언어(heritage language) 등으로 개념화되는 언어들) 사이에서 어떤 존재로 살아가고 있을까? 본 연구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이는 결혼을 통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여성,미국인 남편, 그리고 그 자녀들로 이루어진 가정의 구성원들에 의해 영어와 한국어는 각각 어떻게 사용되고 인식되는가,또한 하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가운데 그들의 정체성 형성은 어떤 과정을 겪게 되는가에 관한 물음이 될‘ 것이다.
이 연구가 언어와 정체성에 주목하는 것은 양자가 맺는 긴밀하고도 유기적인 관계로부터 기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한 개인의 정체성은 그(녀)가• 시•용하는 언어에 의해 형성되고 재구성되며,반대로 어떤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세상을 인식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 또한 결정된다(Bakhtin,1981). Gee(2011)의 주장대로,우리의 언어는 ‘말’(saying) 뿐만 아니라 ‘행위’(doing), 더 나아가 ‘존재’(being)까지 포괄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많은 사회문화 연구 흑은 사회언어학 연구 분야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정체성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이며,언어는 이러한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언어(사용)에 주목하는 것은 그 사용자의 삶과 정체성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모경환 • 이제분 • 홍종명 • 임정수 (2015)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강화 방안- 다문화교육연구,8(3),197-226
{Mo, K. H, Lee, J. R, Hoag, J. M-, & lim, J. S. (2015). Current status and fiau®
language educadoo polky for linguistic mmocky students. Mukiaikitral P^mnion
197-226.}
우인혜 (2014)다문화가정의 정채성문제 해결방안 연구: 다문화자녀의 2중 언어 •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11(2)107-134.
정지아 (2015)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 탐색. 교육철학연구,37(3), 177-202.
황정미 (2010). 다문화시민 없는 다문화교육: 한국의 다문화교육 아젠다에 대한 고찰. 담론 2011,13(2),93-123
하고 싶은 말
A+ 받은 보고서 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결과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