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한국의 ODA

 1  [국제기구] 한국의 ODA-1
 2  [국제기구] 한국의 ODA-2
 3  [국제기구] 한국의 ODA-3
 4  [국제기구] 한국의 ODA-4
 5  [국제기구] 한국의 ODA-5
 6  [국제기구] 한국의 ODA-6
 7  [국제기구] 한국의 ODA-7
 8  [국제기구] 한국의 ODA-8
 9  [국제기구] 한국의 ODA-9
 10  [국제기구] 한국의 ODA-10
 11  [국제기구] 한국의 ODA-11
 12  [국제기구] 한국의 ODA-12
 13  [국제기구] 한국의 ODA-13
 14  [국제기구] 한국의 ODA-14
 15  [국제기구] 한국의 ODA-15
 16  [국제기구] 한국의 ODA-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기구] 한국의 ODA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ODA의 방식과 관련 국제기구(OECD의 DAC)
2. 한국 ODA의 구조와 특징
3. 한국 ODA의 전개과정
4. 한국 ODA의 지원현황과 성과
5. 한국의 ODA에 대한 평가(문제점 및 개선방향)
결론
본문내용
본 글은 여태껏 한국 ODA에 있어서의 주요 개념들과 한국 ODA의 다각적인 현황과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ODA의 전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ODA의 전망을 간략하게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글은 한국 ODA의 향후 과제와 비전을 SWOT 라는 단어로 압축해 보았다. 먼저 Strength 즉, 한국 ODA의 강점은 바로 단기간에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달성한 발전경험이다. 한국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경제적인 인프라가 취약한 다른 개도국들이나 최빈국들과 유사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식민지, 전쟁 경험 등이 바로 그것이다. 즉 한국은 개도국들에게 적용가능한 다양한 기술, 인적자원, 노하우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Weakness, 약점으로는 짧은 원조역사와 상대적으로 적은 원조규모를 들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분산화된 ODA 추진체계, 전문인력 등 추진기반이 미비한 것은 한국 ODA의 약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적 개발경험 즉 다른 모범 공여국들의 모델과 같은 체계적 정리가 미흡하다.
참고문헌
www.odakorea.go.kr
김대인, 2008, 국제개발협력과 공공조달법제, 국제개발협력 2008년 제 1호
김복희, 선진국의 공적개발원조(ODA) 동기와 유형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이계우, 박지훈,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의 결정요인 분석, 경남대학교 출판부 대학원논총 제 23집 제 1권, 2008,pp.123-136.
최성근, 2006, OECD 기업지배구조원칙의 국내법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국무총리실, '11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개최 보도자료’, 2011.12.26.
국회예산정책처, '2012년도 예산안 중점 분석 2', 2011.11
기획재정부, '2012년 기획재정부 업무계획 ', 2012.1.3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12년 대외경제정책 추진 전략’, 2011.02.20.
참여연대 외 시민사회단체, [논평] '국제개발협력기본법(안)의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청한다’. 2009.12. 9
김규원, 한국 개발원조(ODA)의 결정요인 분석, 2009
조현규,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공공조달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완희, 한국의 정부개발원조(ODA)의 실질비용에 관한 연구, 1994.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