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

 1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1
 2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2
 3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3
 4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4
 5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5
 6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6
 7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7
 8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한 재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행 학교 문법
2. 종속절과 부사절을 각각 설정하는 견해 (‘-게, -도록, -듯이’)
3. 종속절을 부사절로 포함시키는 견해
4. 부사형 어미의 설정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봄이 오니, 날씨가 따뜻하다’, ‘날씨가 봄이 오니 따뜻하다’의 두 문장은 종래 여러 문법가에게서 각각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으로 분류되었으나 그 기준이 다르고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일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학교문법에서 조차 2002년 7차 교과서를 통해 한 문장에 대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는 한편 부사절로 안긴 문장으로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문법의 통일성과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이는 좀더 타당성 있는 이론을 선택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한편 이 문제는 종속적 연결어미와 부사형 전성어미의 설정 논란과도 직결된 문제이다. 어미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문장구조에 대한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문장구조의 결론에 따라 어미의 이론이 따라 갈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따라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들 문장의 분류와 처리에 대해 타당한 기준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우리 국어는 현행 학교 문법 및 국어 문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최현배(1937)의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을 별개로 보는 견해가 주장된 이후 이를 기본으로 우선 인정하고 그에 대한 반박이 끊임없이 발로되는 양상에 있다. 따라서 우선 기존의 입장을 대변하는 최현배를 중심으로 종속절과 부사절을 별개로 보는 견해를 살펴본 다음에, 이에 대한 반론인 종속절과 부사절을 부사절 하나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권재일, 『국어의 복합문 구성연구』, 집문당, 1985.
『한국어통사론』, 민음사, 1992.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탑출판사, 1988.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1992.
김승곤, 『현대 나라 말본』, 박이정, 199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국어 문법의 탐구 1』, 태학사, 1996.
『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1992.
『국어 대등구성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2.
이익섭․임홍빈,『국어문법론』, 학연사, 1983.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깊은 나무, 1994.
최재희,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2004.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71.
허 웅, 『국어학』, 샘문화사,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