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문학] 무가론

 1  [한국민속문학] 무가론-1
 2  [한국민속문학] 무가론-2
 3  [한국민속문학] 무가론-3
 4  [한국민속문학] 무가론-4
 5  [한국민속문학] 무가론-5
 6  [한국민속문학] 무가론-6
 7  [한국민속문학] 무가론-7
 8  [한국민속문학] 무가론-8
 9  [한국민속문학] 무가론-9
 10  [한국민속문학] 무가론-10
 11  [한국민속문학] 무가론-11
 12  [한국민속문학] 무가론-12
 13  [한국민속문학] 무가론-13
 14  [한국민속문학] 무가론-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민속문학] 무가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가와 굿
2. 무가의 전반적 특징
3. 무가의 분류
4. 무가의 세계관
5. 무가의 자료와 연구사

[부록 1] 내용에 따른 교술무가
[부록 2] 巫儀에 따른 고정전승무가
[부록 3] 서사적 내용의 유사성에 근거한 서사무가 분류
[부록 4] 희곡무가
본문내용
1. 무가와 굿
무가는 굿 의식을 담당한 민간신앙의 주관자 巫가 가무(歌舞)와 함께 부르는 신가(神歌)이다. 무당의 신관(神觀)을 비롯한 우주관·영혼관·내세관·존재 근원에 관한 일체의 사고가 종합, 체계화하여 직접 언어로 표현되는 것이기에 무속(巫俗)의 구비 경전(口碑經典)으로 볼 수 있다. 굿의 종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굿의 전 과정은 무가로서 나타난다. 굿은 노랫가락(음악), 사설(문학), 춤(무용), 놀음(연극)이 일체로 된 원시종합예술 형태이므로, 무가를 연구할 때에는 이 네 측면을 다 고찰해야 한다. 이처럼 무가는 일정한 동작이나 춤과 함께 노래로 불려지며,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들을 많이 채용하여 예술적 효과를 높이는 연행문학(演行文學)으로 존재한다. 연행 중심의 무가 연구가 제대로 수행되려면 무가 연행에 대한 입체적인 조사와 채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2. 무가의 전반적 특징
무가는 ‘巫’라는 전문직업인에 의하여 巫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무속의례에서 歌詠되는 구비물이다. 따라서 巫나 무속을 떠나서 무가는 존재할 수 없다. 무가는 설화나 민요와는 달리 ‘巫’라는 특수한 부류의 전유물이며, 일반대중이 그 전승에 참여하지 못한다. 그 일부분이 민중에게 전파되어 노래로 불려지기도 하지만 그것은 무가에서 파생된 것이지 무가자체는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여타 구비문학과 구별되는 무가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주술성(呪術性)
일반 민중이 무가의 일부를 歌詠한다 해도 그것이 무가가 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이 주술성 때문이다. 다만 민요에서 '지신밟기요' 등은 주술성을 인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의식요의 대부분은 무가와 상통하는 성격이되 무가보다 훨씬 약화되어 있다. 무가는 巫의 점복·치병·예언 및 사제자로서의 신이성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그 주술적 효과가 실제적으로 입증된다.
2) 신성성(神聖性)
무가는 그 청자가 신이다. 신을 청하고 소원을 비는 것은 인간이 신에게 하는 말이며, 공수를 주고 앞일을 예언하는 것 등은 신의 의사가 인간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무가는 신을 대상으로 인간이 歌詠하는 대화이자, 신성성의 문학이다.
참고문헌
1. 張德順·趙東一·徐大錫·曺喜雄 공저, 「口碑文學槪說」, 一朝閣, 1982
2. 李杜鉉·張籌根·李光奎 공저, 「新橋版 韓國民俗學槪說」, 一朝閣, 1991
3. 김성배, 「한국의 민속」, 집문당, 1983
4.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5. 金泰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91
6. 金東旭·崔仁鶴·崔吉城·崔來沃 공저, 「韓國民俗學」, 새문사, 1991
7. 간행위원회, 「南道民俗學의 進展」, 태학사, 1998
8. 朴庚守·徐大錫, 「韓國口碑文學大系」別冊附錄(Ⅲ),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2
9. 「민속학술자료총서 124」무속1, 도서출판 우리마당 터, 2001
10. 최운식, 김명자, 이정제, 장작식 홍태한 공저, 「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2004
11. 김열규, 소재영, 조희웅, 김태곤, 임동권, 서연호, 김동욱, 김선풍 공저,
「우리 민속 문학의 이해」, 새문사, 198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