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

 1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
 2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2
 3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3
 4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4
 5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5
 6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6
 7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7
 8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8
 9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9
 10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0
 11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1
 12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2
 13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3
 14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4
 15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5
 16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6
 17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7
 18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8
 19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19
 20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아시아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동아시아 신화와 문학에 대한 개념과 의의
3 동아시아 신화와 문학에 대한 접근
3.1 한국의 신화와 문학에 대한 이해
3.2 중국의 신화와 문학에 대한 이해
3.2.1 천지간의 기둥인 반고( 盤古)
3.2.1.1 반고 이야기
3.2.1.2 반고가 죽어서 천지만물이 되다
3.2.2 삼황오제 신화
3.2.2.1 여와 - 인간창조의 신
3.2.2.2 수인 - 집과 불을 만든 신
3.2.2.3 복희 - 포락과 문자를 만든 신
3.2.2.4 신농 - 농상업과 의약의 신
3.2.2.5 황제 - 황색의 제왕
3.2.2.6 치우 - 동의 머리와 철의 이마를 가진 신
3.2.2.7 제준 - 태양과 달의 신
3.2.2.8 소호 금천씨 - 새가 지배한 나라
3.2.2.9 전욱 고양씨 - 인간 세계의 질서 확립
3.2.2.10 제곡 고신씨 - 악기와 음악의 문화 군주
3.2.2.11 요제, 순제 - 전설적인 성천자
3.2.2.12 후예 - 아홉 태양을 쏜 활의 신
3.2.2.13 서왕모 - 질병의 신을 취제하는 여신
3.3 일본의 신화와 문학에 대한 이해
3.3.1 일본의 건국신화
3.4 한국,중국,일본의 신화에 대한 정의
3.4.1 한국과 중국의 신화에 대한 비교 및 상관관계
3.4.1.1 치우를 바라보는 우리나라 고대사의 관점
3.4.1.2 치우를 바라보는 중국 고대사의 관점
3.4.2 한국과 일본의 신화에 대한 비교 및 상관관계
4. 결론 : 신화의 기원을 통한 동아시아권의 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드워드 사이드는 지금은 고전이 된 그의 '오리엔탈리즘'에서 서구 학자들이 그리스.로마 신화를 특권화해 모든 이방적 요소들을 배제함으로써 서구 문명이 순수하고 근원적인 것처럼 합리화해왔다고 비판한 바 있다. 아울러 브루스 링컨은 서구의 신화학이 아리안족 혹은 인도-유러피언족의 기원을 탐색하고 그것을 재구성하는 데 열중해 왔으며 이러한 경향이 민족주의. 제 국주의 등의 욕망과 긴밀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근대 이후의 모든 학문 분야가 그러하지만 신화학의 세계도 평등하지가 않다. 신화학은 특정 지역 곧 그리스.로마 지역의 신화를 바탕으로 개념. 분류. 특성 등을 규정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서구 신화학의 이론들은 동아 시아 신화를 비롯한 비서구 지역의 신화들에 대해 '표준'으로서의 지위를 누려왔다.

그 결과 이른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침대보다 사람이 짧으면 늘려 죽이고, 길면 긴 부분을 잘라 죽인 고대 아테네의 도둑 신화)와도 같은 서구 신화학의 재단에 의해 동아시아 신화의 상당 부분이 비신화적인 내용으로 간주되거나 그 의미가 왜곡되기도 했다. 근대 이래 한때 풍미했던 '중국 신화 부재론'은 당시 서구 신화학의 편견의 산물이었다.

참고문헌
김열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North-East Asian Shamanism and Mythology”, 아카넷, 2000,01
김헌선, 「동아시아 신화 비교연구」, 『한국민속학』 29호, 민속학회, 1997.
전인초외 3인, “중국신화의 이해”, 아카넷, 2002
정재서, “이야기 동양 신화”, 황금부엉이, 2004.07

정재서, “한국 도교문학에서의 신화의 전유”, 한림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아시아문화/제14호)

육완정외 12인 (동아시아고대학회), “동아시아 여성신화”, 집문당, (2003,09)

박찬익, “동아시아 제 민족의 신화, 한국구비문학회 ,(20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