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

 1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
 2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2
 3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3
 4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4
 5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5
 6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6
 7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7
 8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8
 9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9
 10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0
 11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1
 12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2
 13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3
 14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4
 15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5
 16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6
 17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7
 18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8
 19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19
 20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민속문학] 꼭두각시놀음과 남사당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꼭두각시 놀음
1. 꼭두각시 놀음의 유래
2. 등장인물
3. 꼭두각시 놀음의 내용
4. 무대
5. 악사, 악기, 악곡
6. 춤사위
7. 인형과 소도구
8. 인형조종자 - 연희자(演戱者)
9. 연희 시간
10. 재담
11. 주제 및 시대상
12. 전 승
13. 연희 각본 - 박 첨지 마당
14. 꼭두각시 놀음의 공연 모습(사진자료)

ⅱ. 남사당패 놀음
1. 남사당이란?
2. 남사당의 발생
3. 남사당의 구분
4. 남사당의 구성
5. 남사당의 운영
6. 남사당의 공연내용
7. 남사당 현황
8. 남사당 놀이인, 안성의 바우덕이 공연 모습(사진자료)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꼭두각시 인형’ 혹은 ‘꼭두각시 놀이’라는 말이라든가, ‘남사당놀이’ 같은 말을 한번쯤은 들어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논하고자 하는 이 꼭두각시와 남사당패 놀음은 한국의 전통놀이 중에서 놀이패 놀음에 속하는 것으로서, 한국 민속 문학사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남사당패 놀음은 서민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다는데 그 중요점을 찾아볼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나 꼭두각시 놀음은 현재까지 전래된 전통적인 인형극으로서는 유일한 것이다. 이들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 간의 관계를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꼭두각시 놀음은 남사당패의 여섯 가지 놀이인 풍물(농악),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꼭두각시놀음) 가운데 마지막 놀이에 포함되는 것이다. 남사당의 놀이꾼들은 꼭두각시놀음을 ‘덜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꼭두각시 놀음과 남사당패 놀음의 관계를 이해하고, 다음에서는 이 두 놀음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ⅰ. 꼭두각시 놀음
1. 꼭두각시 놀음의 유래
1) 기원
은 우리나라 전래의 민속인형극,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현재까지 전래된 민속인형극으로서는 유일한 것이다. 일명 ·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모두 주인공들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은 과거 봉건 시대부터 개화기까지 떠돌아다니던 직업적 유랑연예인들인 남사당패에 의하여 연희 되었으며, 그 유래에 대해서는 몇 가지 학설이 있다.
삼국 시대에 대륙으로부터 전래되었을 것이라는 주장과 농경의식의 하나인 농악굿놀이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인형극의 발생에 대하여서는 일찍이 독일학자 피셸(Pischel)이 을 쓴 이래 인도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류모채 등 중국학자들에 의해서 중국의 장례의식에서도 인형을 썼다는 주장을 폄으로써 인도와 중국에서 각각 발생했다는 학설도 유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은 중국대륙으로부터 전래된 인형극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인형극은 이미 삼국시대의 고구려악에 있었고, 그것은 중국을 거쳤거나 혹
참고문헌
심우성, 『남사당놀이』(동문선. 2000)
심우성, 『남사당패연구』(동문선. 1989)
서연호, 『꼭두각시놀이』(열화당. 1990)
최상수, 『한국 인형극의 연구』(성문각. 1988)
심우성 외, 『한국의 민속극』(창작과 비평사. 1975)
임재해, 『꼭두각시 놀음의 이해』(한국한술정보. 2002)
서연호, 『꼭두각시 놀음의 역사와 원리』(연극과 인간. 2001)

박옥수닷컴, www.parkoksoo.com
고공닷컴, http://www.gogong.com
포비사랑 국어사랑, http://munsu.new21.org
서울육백년사, http://seoul600.visitseoul.net/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