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

 1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
 2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2
 3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3
 4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4
 5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5
 6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6
 7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7
 8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8
 9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9
 10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0
 11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1
 12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2
 13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3
 14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4
 15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5
 16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6
 17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7
 18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8
 19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19
 20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본론
1. 도솔가(兜率歌)
2. 회소곡(會蘇曲)
3. 물계자가(勿稽子歌)
4. 우식악(憂息樂)
5. 대악(碓樂)
6. 원사(怨詞)
7. 해론가(奚論歌)
8. 실혜가(實兮歌)
9. 長 漢 城 (장한성)
10. 沒柯斧歌와 無?歌 (몰가부가와 무애가)
11. 陽山歌 (양산가)
12. 명주가 (溟州歌)
13. 정읍사(井邑詞)
14. 방등산가(方登山歌)
15. 선운산가 (禪 雲 山 哥)
16. 무등산가 (無等山哥)
17. 지리산가(智異山歌)
18. 내원성(來遠城)
19. 연양(延陽)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문학의 여명기(黎明期)는 멀리 기원을 전후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느 민족의 경우이거나 문학은 시가(詩歌)와 무용과 음악이 한데 어울린 종합적인 원시예술의 형태로 발생하였음을 본다.

한국의 경우도 옛 기록에 나타나는 부여의 영고(迎鼓), 동예의 무천(舞天), 고구려의 동맹(東盟), 그리고 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 등 삼한(三韓)의 제천의식(祭天儀式)을 해 이루어진 가무(歌舞)와 음주(飮酒)의 습속에서 고대가요의 원천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고대가요는 민족 고유의 신앙이나 농경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어떤 특정한 개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집단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그와 같은 종합예술은 사회적인 통일을 위한 정치적인 기능과 초자연적인 힘에 의지하고 악령(惡靈)에 의한 재앙을 면하고자 하는 종교적인 기능 및 노동의 피로를 줄이고 식생활에 안정을 누리기 위한 경제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식으로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이 점차 원시적인 상태에서 벗어나고 생활수단이 분업화되어가면서 예술도 차차 종합적인 형태에서 해체 ·분화되어 표현방법이 다양해지자 시가 ·무용 ·음악 등 개별적인 분야로 독립하게 되었다. 이렇게 따로 떨어져나온 시가는 구전(口傳)의 형태로 전승되면서 구비문학(口碑文學)을 이루고 문자를 갖게 된 이후 그것이 문헌에 정착됨으로써 신화와 전설 또는 고대가요의 한역가(漢譯歌) 등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이와 같은 신화와 전설이 수록된 옛 문헌으로는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비롯하여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帝王韻紀)》 등이 있고, 금석문(金石文)인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의 비문은 매우 획기적인 것이다. 이들 옛 기록들에는 한국의 국조(國祖) 신화인 단군신화(檀君神話)를 비롯, 고주몽(高朱蒙) 건국신화, 신라의 시조(始祖) 신화들 및 가락국(駕洛國)의 수로왕(首露王) 신화 등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三國史記
韓國音樂硏究(李惠求, 國民音樂硏究會, 1957)
國文學通論(張德順, 新丘文化社, 1960)
한국고전시가론(鄭炳昱, 新丘文化社, 1979)
한국고시가의 거시적 탐구(김학성, 집문당, 1997)
新羅古樂再攷(李杜鉉, 新羅伽倻文化 1, 靑丘大學 新羅伽倻文化硏究院, 1966)
兜率歌再攷(金性彦, 東亞大 國語國文學論文集 6, 1985)
兜率歌와 新羅初期의 歌樂(許南春, 李佑成先生定年退職紀念 國語國文學論叢, 1990)
兜率歌(金承璨, 崔珍源博士 停年紀念論叢 古典詩歌의 理念과 表象,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韓國上古文學硏究(金承璨, 第一文化社, 1978)
海東異蹟, 靑鶴集, 朝鮮道敎史(李能和, 李鍾殷譯, 普成文化社, 1977)
교감역주 삼국유사 시공사, 하정룡
새로있는 삼국사기 동방미디어, 정구북 편전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리상호 옮김,1999
삼국유사, 이민수 옮김, 을유문화사, 1994
청소년이 단숨에 읽는 삼국유사, 2002, 역주 차평일, 동해출판사
삼국유사, 을유 문화사, 펴낸이 정진숙, 옮긴이 김원중, 2002
삼국사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교육원,아름출판공사,1959
삼국사기, 한국자유교양추진회, 1970
삼국유사이야기, 한국자유교육협회, 김창수 엮음, 1969
고전시가강독, 예지각, 김종원. 1996
고전시가선, 김기동. 박기준, 교학연구사 1984
한국의 고전시가, 임기중, 이회문화사
향가와 고려가요, 김완진, 서울대학교출판부
정읍사 풀이에 따른 가설, 한국언어문학, 김동기,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