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

 1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1
 2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2
 3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3
 4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4
 5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5
 6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6
 7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7
 8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8
 9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9
 10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10
 11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이육사의 「절정」론 -해석상의 비교와 차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 연구의 접근방법
3. 오세영의 글 분석
4. 해석의 비교와 차이
5.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陸史 이원록(1904~1944)은『조선일보』(1938.12.24~28)에 발표한「季節의 五行」에서 ‘시인의 감정이 빠르고 복잡하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들개에게는 길을 비켜주지만 정면으로 달려드는 표범에게는 한발자국이라고 물러설 수 없다는 시인의 길에 대한 강인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나는 내 氣魄을 키우고 길러서 金剛心에서 나오는 내 詩를 쓸지언정 遺言은 쓰지 안겟소. 그래서 쓰지 못하면 죽어 광석이 되어 내가 못친 瘠土를 香氣롭게 못한다곤들 누가 말하리오. 무릇 遺言이라는 것을 쓴다는 것은 八十을 살고도 가을을 경험하지 못한 俗輩들이 하는 일이오. 그래서 나는 이 가을에도 아예 유언을 쓸려고는 하지 안소. 다만 나에게는 행동의 연속만이 잇슬따름이오. 행동은 말이 아니고 나에게 시를 생각는다는 것도 행동이 되는 까닭이오. 그런데 이 행동이란 것이 잇기 위해서는 나에게 無限히 너른 空間이 되어야 하련만은 쑷벼룩이 꿀안즐만한 땅도 가지 못한 내라 그런 華麗한 팔자를 가지지 못한 덕에 나는 방안에서 혼자 곰처럼 딩굴어 보는 것이오. 심원섭 편주,『원본 이육사 전집』, 집문당,1986, 219쪽.


이처럼 그는 시에 대한 집착이 대단하다. 위의 글에서처럼 “기백을 키우고 길러서 금강심에서 나오는 시”를 쓴다고 하고 “생각는다는 행동을 강조”하고 그런 과정을 펼치기 위해서는 “무한히 넓은 공간”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상황은 정반대의 결과가 존재할 뿐이다. 그럼에도 그는 창작시 33편과 한문시 3편의 시 1.말(『조선일보』 1930,1.3 ②), 2. 春愁三題(신조선 1935.6 ②),3.黃昏 (신조선 1935,12 ②),4.失題(신조선 1936.1②),5.한 개의 별을 노래하자(風林 1936.12 ③), 6. 海潮詞(풍림 1937.4 ③) 7.路程記(자오선 1937.12②) 8.草家(비판 1938.4 ②) 9. 강 건너 노래(비판 1938.7 ②) 10. 小公園(비판 1938.9 ①)
를 썼는데 크게 세 가지 경향으로 시를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1930년대 크게 유행하던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에서 이국적인 정서인 엑조티시즘(exoticism)을 형상화한 시들이고 둘째는 자연을 소재로 한 인생론적 의미를 탐색한 시들이며 셋째는 민족의식을 반영한 시들이다. 그러나 이런 민족의식을 반영한 시들은 직접적인 일제의 침략현실의 폭로나 선동적인 저항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기보다 미학적인 형상화를 통해 내적으로 승화시킨 시들이다. 그의 대표적인 시들이면서 이 범주에 들어가는 시들로「絶頂」「교목」「청포도」「광야」등이 있다.11.鴉片(비판 1938.11 ①) 12. 年譜(시학 1939.3 ②) 13. 南漢山城 (비판 1939.3 ②) 14,湖水(시학 1939.6 ②). 15.靑葡萄(문장 1939.8 ③) 16.絶頂(문장 1940.1③) 17.班猫(인문평론 1940.3 ①) 18.狂人의 太陽(조선일보 1940.4.27 ③) 19.日蝕(문장 1940.5 ③) 20.喬木(인문평론 1940.7 ③) 21. 西風(삼천리 1940.10 ③) 22.獨白(인문평론 1941.1 ③) 23.蛾眉 (문장 1941.4 ①) 24.子夜曲(문장 1941.4 ③) 25. 서울(문장 1941.4 ③) 26. 芭蕉(춘추 1941.12 ③) 27.謹賀 석정 先生 六旬(1943년 작, 출전 청포도 범조사 1964 ①) 28. 晩 登 東山(1943년 작 출전 청포도 범조사 1964 ①) 29. 酒 暖 興 餘(1943년 작 출전 청포도 범조사 1964. ①) 30. 바다의 마음(친필원고 ③) 31. 꽃 (자유 신문 1945. 12.17 ③) 32. 曠野(자유 신문 1945.12.17 ③) 33. 나의 뮤즈(육사시집 이원조 편 서울 출판사 1946 ①) 34.소년에게 (육사시집 이원조 편 서울출판사 1946 ②) 35. 邂逅(육사시집 이원조 편 사울출판사 1946 ①) 36. 蝙蝠(친필원고 ③) 등으로 창작 시 33편과 한시 3편 등을 대략적으로 분류하였다.
오세영,『 한국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231쪽
이와 같은 그의 시 경향 중 특히 저항의식을 형상화한 것으로 인하여 종교지도자이면서 사상가로서 활약한 한용운과 일본유학중 모종의 독립운동에 참여한 윤동주와 함께 ‘저항시인’ 또는 ‘민족시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물론 시를 통해서 저항을 했다기보다는 독립운동을 육체적으로 행한 사람들과 시 작품에서 내적으로 민족적 저항의식이 융화되어 나타내는 것과는 구별이 되어야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절정」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하거나 논평한 것들을 보면 먼저 외재적인 방법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시대상황이나 민족적면에
참고문헌
각주에 포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