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

 1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1
 2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2
 3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3
 4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4
 5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5
 6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6
 7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7
 8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8
 9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9
 10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10
 11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11
 12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호남가단의 전개양상과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2
1.호남 사림 형성배경
2.호남 사림의 문학

본론
1.호남의 가단 --------------------------------------- 3
1)호남가단의 형성과 배경
2)호남가단의 전개
3)호남의 가단
-면앙정 가단(俛仰亭歌壇)
-성산가단(星山歌壇)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
-김수장과 노가재가단
2.호남의 시단 --------------------------------------- 7
1)호남시단의 형성과 배경
2)호남시단의 전개
3)호남의 시단(詩壇)
-면앙정 시단(俛仰亭詩壇)
-식영정 시단(息影亭詩壇)
-소쇄원시단(瀟灑園詩壇)
3.영남가단과 호남가단 -------------------------------- 10

결론 --------------------------------------------- 12
본문내용
서론

1. 호남 사림 형성배경

조선조는 전주이씨가 남도권을 기반으로 해서 세워진 나라이다. 그러나 조선조 때 남도권은 중앙정부의 정치권에서 크게 득세하지 못했다. 또한 왕조의 반정과 사화 등 정치적 변혁이 있을 때마다 그 공훈의 중심 세력권 안에 남도인은 들지 못했다. 곧 남도인은 훈구세력의 대열에서 소외되어 주로 사림세력으로서 입지가 강했던 고장이다.
호남사림의 역사와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면, 사림이 정계로 진출하게 되면서 훈구파 대 사림파 간에 정치적 투쟁과 사상적 갈등은 그 대립의 첨예한 형태로서 수차례의 사화가 빚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그때마다 수많은 사림들이 무참하게 화를 당하였다. 이러한 사화가 16세기 전․중반에 걸쳐 계속 이어졌다. 이 사화들을 거치는 동안 많은 신진 사림들이 희생되었는데, 가장 큰 피해는 호남지역의 사림이 입었고, 그 결과 이들 사림의 중앙정계 진출이 억제내지는 차단되기에 이르렀다. 호남 지역에 유배되거나 은둔한 사림들은 재기를 꿈꾸며 상시적인 교유와 제자 양성에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연이은 사화는 일차적으로 호남 지역 사림의 중앙정계 진출의 좌절을 가져 왔지만, 결과적으로는 호남사림의 층이 양적, 질적인 면에서 더욱 확대된 계기가 되었다.
사림이 추구한 개혁이 기묘사화라는 파국으로 좌절되면서 현실정치에의 참여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그로부터 좌절과 퇴각을 수용하고 스스로를 이념적으로 재충전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부패한 현실과 완전한 도덕적 이상’, ‘人心(인심)과 道心(도심)’, ‘세속과 전원’등의 二分法(이분법)적 세계관이 그 바탕을 이루었다. 그러한 의식의 평면에서 생각할 때 현실의 정치는 지고한 도덕적 이상에 의해 철저하게 재정립되어야 하며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타락한 세속을 부인하고 이와 단절된 전원의 세계로 돌아와, 밖에서 펼치지 못한 숭고한 정신을 지켜야 하는 것이었다. 이런 이념적 재충전이 풍류정신으로 나타나게 된다.
시간적 여유가 많은 이 사림파들이 고향에서 열심히 ‘수기’를 하면서 또 하나의 세계를 개척했다. 그 세계가 말하자면 시문학의 세계이다. 조선조 때 남도의 시문학은 그 형세가 다른 어느 곳보다 융성했다. 한시는 물론이거니와 특히 국문시가에서는 호남가단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그 세가 컸다. 조선조 때 남도가 한국시가문학의 중심지가 된 또 하나의 이유는 정치적 패배세력의 유배지로서의 역할이다. 정치적 바람을 맞은 학문과 지식이 높은 유배자들이 남도에 부처 되어 살았다. 가족과 멀리 떨어진 그들은 착잡한 삶과 감정을 여러 형태의 시가로 표출하여 아름다운 정서로 승화시켰다. 그리고 남도는 한반도의 어느 곳보다 따뜻한 기후와 조화된 산수, 넓은 평야가 잘 어우러진 전원적 풍광이 뛰어난 곳이다. 따라서 남도권 시가가 융성하게 된 것이다. 즉, 남도는 시가문학의 융성에 대한 충분한 여건을 갖추었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