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

 1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1
 2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2
 3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3
 4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4
 5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5
 6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6
 7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7
 8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8
 9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 지역단위 협동조합 사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주협동조합의 역사
2. 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의 특징
3. 원주 지역 협동조합의 주요 사례
4. 원주협동조합의 과제
본문내용
1. 원주협동조합의 역사

1) 원주 협동조합 운동의 시작

원주의 협동조합 운동은 1965년 천주교 원주교구가 설정된 이듬해인 1966년부터 본격화 됐다. 초대 교구장이신 지학순 주교의 도움으로 무위당 장일순 선생이 1966년 11월 13일 천주교인 35명과 함께 원주에서 처음으로 신용협동조합을 결성했다. 고리사채로부터 농민과 소상인을 보호하고 자본주의 모순 속에서 사람답게 사는 공동체를 만들고자 시작한 일이다.
1970년대는 원주 지역의 협동조합운동이 본격화된 시기이다. 장일순은 이러한 협동의 문화가 교육을 통해서만 성공할 수 있다고 믿고 후학을 양성하고 협동정신을 널리 알리는 데 주력했다. 또한 정부는 남한강 대홍수 재해대책 사업을 통해 협동조합 운동을 강원도권역으로 확대하면서 식량지원, 농토복구, 농민소득원을 개발하고 자활운동을 조직화하면서 지원하였다. 뿐만 아니라 영서권 광산지역 및 농촌에 신협 및 소비자 조합을 결성하고 서민의 경제적 자립기반 마련을 위해 밝음신협을 설립하였다. ‘밝음신협’의 설립 목적은 지역 내 저소득층을 고리대금업으로부터 보호하고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서 주민자치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에는 도시와 농촌의 상생이라는 주제로 협동조합운동이 진화하였다. 장일순 선생은 자연 복구를 주장하는 생명사상운동을 펼쳤다. 산자와 소비자가 함께하는 직거래운동, 먹을거리의 환경개선운동,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 등이 새롭게 모색되기 시작하였다. 1985년 6월에는 ‘밝음신협’의 후원 하에 지역 내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소비자와 생산자의 신뢰에 기초해 새로운 유통질서를 세운다는 취지로 ‘원주소비자협동조합’(현 원주 한살림생협)이 창립되었다. 장일순은 “‘하나, 전체, 함께’라는 뜻의 ‘한’과 ‘살려낸다, 산다’는 뜻의 ‘살림’을 합쳐 만든 ‘한살림’”이란 명칭을 제안하면서 “온 생명이 한 집 살림을 살 듯 더불어 살자”는 뜻을 강조하였다. 또한 1989년에는 친환경농업을 하는 농가의 확대를 위하여 생산자 중심의 ‘호저소협’(현 원주생협)이 설립되었다.
참고문헌
“원주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http://wonjuand.com/
김현대,하종란, 차형석, 『협동조합, 참 좋다』, 푸른지식, 2012
양세진,「한국 사회적기업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사례 연구」,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원주한살림” http://www.wjhansalim.or.kr/main.php
“원주협동경제네트워크” http://wonjuand.com/
김철규, 김진영, 김상숙, 「대안 먹거리운동과 한국의 생협」, 『지역사회학』 제14권 제1호, 지역사회학회, 2012
류만희, 「사회적기업의 지역개발 기능과 시장형성에 관한 연구:원주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Vol.36,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신명호, 이아름 「원주 지역 협동조합의 생성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문화연구』 Vol.36 No.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