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

 1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1
 2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2
 3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3
 4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4
 5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5
 6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6
 7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7
 8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8
 9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9
 10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10
 11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11
 12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능영어절대평가 도입의 찬성과 반대의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능 영어영역 평가의 변천과정

2. 수능 절대평가의 도입배경

3.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의 비교

4. 수능 점수체제 관련 정책
1) 원점수제
2) 표준점수제
3) 등급제
4) 절대평가제

5.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찬성의견
1) 과한 사교육비의 지출 극복
2) 학생들 간의 과도한 경쟁 극복
3) 창의적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4) 지나친 경쟁으로 영어를 포기하는 악순환 극복
5) 지나친 난이도의 문제 출제 극복

6.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반대의견
1) 언어능력의 저하 우려
2) 사교육 경감효과는 크지 않다.
3) 풍선효과로 인한 사교육의 증가 우려
4) 변별력의 약화 문제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수능 영어영역 평가의 변천과정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0년부터 1992년까지 7차례의 실험 평가를 거쳐 1993년 8월20일에 수능이 최초 시행되었고, 2015년까지 수능 영어영역은 교육과정의 변화, 수능 체제 변화 등의 원인으로 출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시행하였다. 대학 수학능력시험이 처음 시행 된 1994년에는 총 200점 만점으로, 영어 영역의 배점은 40점이었으며 출제범위는 교과서의 지문을 배제한 범 교과서적 소재를 활용하였다. 듣기문항 8개를 포함한 50문항 80분으로 연2회에 실시되었다. 그러나 연 2회 시행하였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 1995년부터는 연 1회만 실시하였고, 계열별로 분리하여서 시행하였다. 1996년에는 듣기문항이 2문제 추가되어 10문항으로 총 문항 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다음해인 1997년에 듣기 문항이 12문제로 2문제 더 늘어나고, 말하기 문항이 5개가 추가되어 총 문항수도 55개로 늘어났다. 1997년의 시험형태는 2000년 까지는 변화가 없다가 2001년부터 제 2외국어 영역이 도입되면서 50문항으로 5문제가 줄었으며, 문제수가 적어짐에 따라서 시험시간도 70분으로 변경되었다(김성혜, 2013). 2015년도에서도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2014년도에 영어영역을 수준별 A/B형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나, A/B형을 선택하는 학생 수의 변화에 따라 점수 예측이 곤란하고 학생들의 대입에 유·불리에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시행1년 만에 폐지되었고 100점 만점 45문항으로 변경시켰다(임순옥, 2016).
제64차 KEDI 교육정책포럼 프로그램에서 수능 영어 과목 절대평가 도입에 관한 주제로 공개토론회 2차가 열렸고, 현 수능 영어 등급제 상대평가 방식의 폐해인 사교육비 의존도, 학생들 간의 경쟁, 변별력을 위한 난이도 강화로 인한 영어 포기자의 양상 등에 관해 발표하였다(한국교육개발원, 2014). 그 후 정부는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방안을 위한 공청회를 세 차례 개최한 후 2018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최종 발표하였다.
참고문헌
교육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 2014.
권오량,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정책 변천사, 영어교육, 2015.
김미숙 외,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김성혜, 수준별 수능 영어영역 시험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김용명, 수능 영어 20년: 회고와 전망, 영미어문학, 2015.
김위정 외, 학생 성장을 위한 대입제도 개선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기본연구, 2014.
김진석, 영어 교육과정 평가, 한국문화사, 2009.
박도순, 1994학년도 새 대학입시제도의 실행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 연구, 1994.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평가, 문음사, 2008.
박도순,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안의 과제와 전망, 학교운영위원회, 통권 129호, 2010.
박태준,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교육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6.
반재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에 의한 총점의 순위 변화, 교육평가연구, 2008.
사교육걱정없는세상,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제시한다, 2015 개정교육과정과 연계된 2021 수능 개편안 토론회, 2017.
성태제, 교육평가의 기초, 학지사, 2009.
이두휴, 대학서열체제의 구조와 해소방안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007.
이병민, 제64차 KEDI 교육정책포럼 프로그램, 이대로 좋은가?, 토론자료, 한국교육개발원, 2014.
이병민,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 한국교육개발원, 2014.
이용상 외, 수능 체제 개편의 쟁점 및 현황, 20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슈페이퍼, 2015.
양길석,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체제(9등급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2006.
임순옥,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에 대한 교사·학생·학부모의 인식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16.
정종진, 교육평가: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0.
최수정.최종갑, 수능영어 절대평가 정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영미영문학연구, 2016.
채정화, 고등학교 영어 정기고사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4.
하승효, 고교내신등급제 시행 전·후의 고등학교 영어정기고사 비교 및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26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포럼, 수능 CAT 2014-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Q&A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20년사(1994-20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시험체제 및 점수체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황규호 외,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구성 방향 연구, 교육부, 2015.
황규홍,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 시 정책적 고려 사항 에 대한 토론, 제26회 KICE 교육과정, 평가 정책 토론,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 방안 탐색, 2014.
하고 싶은 말
수능영어절대평가의 도입배경과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수능영어절대평가의 찬성과 반대의견을 다양한 방면으로 분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