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

 1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1
 2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2
 3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3
 4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4
 5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5
 6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6
 7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7
 8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월터 페이터의 예술론과 휴머니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월터 페이터(Walter Pater)의 상대주의 예술론
2. 르네상스(Renaissance)에 대하여
3. 라 조콘다(La Gioconda)
본문내용
1.2. 페이터의 상대주의 예술론과 과학적 사고방식

페이터 논문의 서문과 결론에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페이터가 종종 과학적 용어들, 내지는 과학적 저술에 쓰일 법한 표현들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가령 ‘formula’, ‘receptacles’, ‘primary data’ 그리고 ‘susceptibility’와 같은 용어들은 주로 과학적 저술에 자주 나오는 용어들이다. 또한 “It becomes unmeaning and useless in proportion to its abstractness.” 혹은 “Our education becomes complete in proportion as our susceptibility to these impressions increases in depth and variety”(p.1539)와 같은 표현들도 주로 과학적, 정량적 자료들을 기술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 형식이다. 특히 가장 눈여겨 볼 부분은 페이터가 ‘개개인에게 개현되는 구체적인 미의 원천을 구별해내야 한다는’ 자신의 예술론을 제안할 때 그것을 ‘마치 화학자가 자연 원소들을 구별해내듯이’ (as a chemist notes some natural elements, p.1539)해야 한다고 역설하는 부분이다. 왜 페이터는 굳이 과학적 저술에 등장하는 용어, 표현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예술론을 명료화 하려고 하였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학적 사고방식이 페이터의 상대주의적 예술론과 굉장히 대조되는 관계에 놓여있다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과학적, 특히 그중 물리학적 탐구는 대게 ‘보편적인’ 자연 법칙을 추구한다. 가령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는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그러한 보편적 법칙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이다. 특히 이러한 과학적 사고방식이 인간에 까지 적용되었을 때에는 인간조차도, 마치 중력에 의해 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나 지구를 중심으로 도는 달과 같이, 자연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객체로 상정된다. 이때 이러한 보편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사고방식은 인간 개개인에게 개현되는 구체적인 미를 중시하는 페이터의 상대주의적 예술론 보다는, 개개인의 특수성과는 무관한, 미 자체의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본질을 찾고자하는 예술 비평의 전통과 더욱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적 사고방식이 가장 전면적인 형태로 적용되었을 때에는 페이터가 이야기 하는 개개인에게 고유하게 주어지는 인상들이라는 것 또한, 가령 감각기관과 뇌 속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상정되며 따라서 보편적인 법칙을 통해 기술되어야 할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다소 과격하게 표현하자면, 극단적인 형태의 과학적 사고방식에 의하면, 페이터의 상대주의적 예술론은 단지 감상적인 환상 내지는 착각에 근거한 것으로 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