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

 1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
 2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2
 3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3
 4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4
 5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5
 6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6
 7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7
 8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8
 9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9
 10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0
 11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1
 12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2
 13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3
 14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4
 15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5
 16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6
 17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7
 18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8
 19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19
 20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문제 제기
1) 소통의 부재 현황
2) 사회적 약자의 개념
(1)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의미
(2)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 약자
3) 해외 사례(행복지수로 알아본 복지 국가의 특징)
4) 소통의 필요성(질 높은 민주주의의 경로로 나아가기 위해)

II. 본론

1. 대상자 분석
1)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
2)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
3) 우리는 그들이 필요한 것을 제공해 줄 준비가 되어있나

2. 복지 지역 만들기
1) 복지국가로 나아가는 첫걸음과 인식개선 사업
2) 기존 마을 만들기 사업의 분석과 문제점

3.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
1) So!통(通)하는 지역사회 목적 및 목표
2) 지역사회개발모형+사회계획모형
3) 사회복지사 역할

4. 실천과정
1) 지역사회 선정과 지리분석
(1) 선정지역 : 서울시 노원구
(2) 선정이유

5. 실천전략 및 추진
6. 자원 확보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1. 문제 제기
1) 소통의 부재 현황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역에서 그 주민들 간에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공통된 문화를 가지며 그 공동체에 대한 일체감을 갖게 하는 삶의 터전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역, 주민, 공동체 의식을 그 구성요소로 한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 공통된 문화와 일체감을 강조하고 다름을 인정하지 않아 사회적으로 연약한 존재들인 ‘사회적 약자’들은 점점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졌고, 지역사회 주민들이 소통의 부재를 겪고 있으며, 21세기에 살아가는 우리는 단절된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소통의 부재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나라 모습을 OECD국가별 행복지수와 연관해서 살펴보았는데 2012년 OECD국가를 대상으로 행복지수 통계를 순위로 내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34개국 중 32위로 발표되었다. 상위권에는 1위 덴마크, 2위 오스트레일리아, 3위 노르웨이, 4위 오스트리아 등이 있었다.

* 국가별 행복지수는 경제적 가치, 삶의 만족도, 미래에 대한 기대, 실업률, 자부심 등 인간의 행복과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산출된 지표이다.

이 밖에 11개 한국의 행복지수 세부지표를 살펴보자면, 삶의 만족도는 28위, 일자리 28위, 환경 29위, 건강 33위, 일과 삶의 균형 33위, 그리고 공동체적 삶에서는 최하위라 말할 수 있다. 2012. OECD 행복지수 통계
만약 여기서 일자리와 건강, 공동체적 삶을 평가에 가중치를 준다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더 하위로 내려갈 것이다. 또한 우리는 영국 NEF가 발표한 행복지수 통계표에서는 국민소득 2천 달러에도 못 미치는 부탄이 국민행복지수가 1위를 차지한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국민의 97%가 행복하다고 하는 부탄은 건강, 시간활용, 생활수준, 공동체, 심리적 행복감, 문화, 교육, 환경, 올바른 정치 등 9개 분야의 지표를 토대로 한 총 국민들의 행복을 국가 통치 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부탄의 9개 분야 지표에서 두드러진 점은 정신적, 문화적 풍요 관련 지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중부일보-국민행복에 대한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 2013.02.14
우리나라에선 국민소득 2만 불을 넘어섰고, 세계10위권 이내의 나라가 되었지만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은 과거 50, 60년대 한국인이 누렸던 행복감 보다 훨씬 낮은 수준의 행복을 느끼고 있다. 여기서부터 사회는 이웃 간의 단절, 가족 간의 단절, 소통의 부재라 표현하는 것이 이 시대를 나타낼 수 있는 단어라 표현할 수 있겠다. 물질적 풍요로움이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소통부재의 사회 속에서 가장 연약한 존재라 생각되는 사회적 약자들을 먼저 바라볼 것이다. 사회적 약자란 사회나 제도적으로 불리함이나 차별을 경험하는 사회 구성원 집단 네이버 지식 백과사전
을 뜻한다. 사회적 약자들이 가지는 제약으로 인해 지역사회 내에서 비교적 소통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해 생각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그 결과 최소생계 보장이라는 물질적 차원을 넘어 국가질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옳다고 결정을 내렸다. 사회적 약자의 문제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닌 전체 국가의 문제, 국민의 문제라는 생각을 조원 모두가 공유하면서 올바른 사회통합을 이끌어 낼 합리적인 해결 기준을 찾으려 한다. 먼저 지역사회 내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화합과 전체 지역사회 주민들의 사회 통합을 이끌어 낼 것이다. 복지지역으로써 말이다. 현재 지역사회 소통의 해결방안으로 나온 지금 공동체모습들은 일부에 의한 소통이 대부분 이뤄지며 일부로 위에서부터 사회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일부에 의한 소통으로써 그 모습이 빚어지는 것으로, 과연 이것이 모두가 원하는 사회일지 생각해봐야 되겠다. 이 모습은 잘못 자칫 하면 집단 이기주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소통을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