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

 1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
 2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2
 3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3
 4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4
 5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5
 6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6
 7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7
 8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8
 9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9
 10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0
 11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1
 12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2
 13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3
 14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4
 15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5
 16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6
 17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7
 18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8
 19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19
 20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재일동포] 소수자 재일동포의 사회적차별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들어가며
1.2 재일동포의 역사
1.3 재일동포의 조직화
1.4 재일동포의 정체성 : 다중정체성과 소수자

2. 재일동포의 첫 번째 문제 : 지방참정권
2.1 왜 지방참정권인가?
2.2 지방참정권 획득운동의 전개양상 : 법적지위의 변화
2.3 근래의 상황 : 현재의 법적지위
2.3.1 일본의 우경화가 좌우하는 지방참정권
2.4 반응과 노력 : 재일동포 조직의 요구와 그에 따른 활동
2.5 현재 민단의 지방참정권 획득운동
2.5.1 지방참정권 획득운동의 기본의의
2.5.2 민단의 일본 내 지방참정권 획득운동 현황
2.6 민단의 이후 활동
2.7 대안 : 정부 간 노력, 외국의 예시
2.7.1 국제화와 국수화의 사이에서
2.8 본국에 대한 재일동포사회의 요망사항

3. 재일동포의 두 번째 문제 : 취업
3.1 우리세대와 비슷한 고민
3.2 취업차별의 현실
3.2.1 대학교수의 예
3.2.2 교사
3.2.3 지방 공무원 채용 : 우체국 외무직과 교사
3.2.4 공기업과 사기업
3.2.5 전문직 자격증 : 변호사와 변리사
본문내용
1. 서론

1.1 들어가며

최근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학교에서 지나치는 수많은 사람들 중에 외국어로 대화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그중에는 일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사람들을 일본인이거나 일본어를 잘하는 한국인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재일동포이다. 이들은 일본에서는 외국인 취급을 받고 한국에서도 이방인으로 인식되고 있어 모국과 거주국 양쪽 모두에서 소외되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이들을 가리키는 말로 ‘재일’, ‘재일동포’,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 ‘재일코리안’, ‘뉴커머(new comer)’ ‘새로 온 사람’이란 뜻으로 1980년대 말 이후 유학, 파견근무, 결혼 등으로 일본으로 와서 정착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등이 있고, 일본에서는 ‘자이니치 간코쿠(재일 한국)’, ‘조센징(조선인)’이라는 말을 많이 쓰며 동포끼리는 '도호(동포)'라는 말을 흔히 하기도 한다. 이글에서는 1945년 광복 이전에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들과 그 후손의 의미로 ‘재일동포’를 사용하고, 이념적 성향이나 국적, 연령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일본에 정주하고 있는 한국인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려고 한다. 여기에는 한일협정 이전까지 조선반도에서 건너온 사람임을 나타내는 ‘조선’국적과 협정 이후 등장한 '한국'국적뿐만 아니라 일본에 귀화한 ‘일본’국적의 재일동포도 포함된다. 조선은 실존하고 있는 국적이라기보다는 행정편의상 조선반도 출신이라는 의미이다. 일본과 북한과의 공식적 외교관계가 없기 때문에 북한국적은 존재하지 않으며 조선국적을 갖고 있는 재일동포들 중에는 조총련계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통일을 염두에 두고 조선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한국․조선 국적을 가진 약 60만 명의 동포와 일본에 귀화하거나 일본인과의 국제결혼을 한 부부사이에 태어남으로써 일본국적으로 되어 있는 약 60만 명의 일본국적 동포가 살고 있다. 일본 국적 동포들은 단일민족 의식이 강한 일본정부와 동화정책 때문에 거의 모두가 일본식 성명을 쓰고 한민족인 것을 숨기고 있다.
또한 한국국적을 보유하는 재일동포도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그 80~90%가 일제 식민지배의 유물인 일본식 이름을 쓰고 있다. 그것은 재일동포인 자신이 식민지시대를 극복하지 못한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일본이 식민지 지배의 반성에 입각한 과거의 극복을 역사적 과제로 해소치 못한 증거이기도 하다.
민족과 국적이 다르다는 것은 미국이나 중국, 러시아 등의 다민족 국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이나 한국 같이 단일민족 국가의식이 강한 나라에서는 민족과 국적이 같다고 생각하기 쉽다. 일본의 동화적 귀화 정책은 단일민족국가의식에 입각하고 있지만 그런 정책이 해방 된지 60년이 지난 지금도 시정되지 않고 있는 것은 일본이 그만큼 한국 식민지 지배의 잘못이나 한국독립에 의한 국적 원상회복의 역사적 뜻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일본 사회에 살고 있는 재일동포로서는 일본의 차별에 대한 저항의 수단으로서 한국국적을 유지해 나갈 의미가 크다. 그것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을 일깨워 주는 역사의 증인으로서 살아갈 길이고 나아가서는 21세기란 국제화시대에 있어서 내외국인 평등사회 실현의 선도적 역할을 하는 것에 이어간다. 재일동포는 본국과 일본을 국적이나 민족에 의한 차별이 없는 사회로 해나가는데 있어
참고문헌

재일 동포의 민족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재일 동포 모국 수학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 이정훈 / 1997
민족교육과 재일동포 젊은 세대의 아이덴티티 : 일본 오사카의 공립초등학교 민족학급의 사례를 중심으로 / 송기찬 / 1999
일본 속의 한국인 / 한경구 / 2001
재일동포 민족교육에 관한 연구 / 곽은주 / 2002


재일교포의 법적지위 / 정인섭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6
근.현대 한일관계와 재일동포 / 강덕상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9
현대 한일관계 자료집. 1 : 1965년~1979년 / 한영구 / 오름 / 2003
재일 조선인 그들은 누구인가 / 한일민족문제학회 편 / 삼인 / 2003
재일한국인과 일본인의 인식차이 : 일본의 외국인행정을 중심으로 / 정찬원 / 재외동포재단 / 2004


www.mindan.org 민단
nk.chosun.com 조선일보
www.tongilnews.com 통일뉴스
www.unews.co.kr 유뉴스
www.onekorea.jp 원코리아
www.arirang21.com 월간아리랑
research.korean.net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자료실
www.tufs.ac.jp/ts/personal/choes/etc/jaeil/index.html 조의성의 한국어연구실 - 재일교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