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

 1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1
 2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2
 3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3
 4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4
 5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5
 6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6
 7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7
 8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8
 9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9
 10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10
 11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11
 12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12
 13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증례] 근시환자의 치험 1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증례

Ⅲ. 결론

Ⅳ. 고찰
1. 눈의 굴정 이상
2. 근시란 무엇인가
3. 원인
4.종류
5. 근시의 증상
6.치료
7. 한의학적인 원인, 병리, 요법
8. 시력회복을 위한 안구운동
본문내용
Ⅰ. 서론
정상적인 시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우선 눈의 해부학적 구조가 정상적이어야 하고 다음으로 출생 후부터 매일 반복되는 적절한 視的學習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적절한 視的 환경하에서 시력은 점진적으로 발달하게 되고 일정한 기간이 경과된 다음에야 미로서 정상시력을 획득하게 된다. 시력발달시기에 적절하면서도 충분한 視的學習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순조로운 시력발달을 기대하기 힘들고 결국 평생을 약시 또는 굴절이상의 異常 시력의 상태로 지내야하는 불행을 겪게 된다. 유소아에서 정상적인 시력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가능한 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므로 정상시력발달을 도모하는 것은 소아안과학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이따. 더욱이 시력발달과정에 있는 유소아는 본인은 잘 모르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더욱 문제가 되며 그러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1)
근시는 안과 질환 중에서 굴절이상에 속한다. 안굴절력과 안축장의 불균형이 비정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안축장의 연장과 단축이 원인인 것은 축성비정시라하고 굴절력의 증가와 감퇴가 원인인 것을 굴절성 비정시라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세가지 종류가 있다. 각막이나 수정체의 만곡이 증가나 감퇴가 되는 것을 만곡성 비정시라 하고 매체의 굴절육의 증가나 감소에 의한 것을 굴절율성 비정시라 하며, 수정체의 전방편위와 후방편위로 근시와 원시가 된다. 굴절이상을 유전경향이 있고 고도원시(약+2.5D)는 열성, 고도근시는 우성이나 열성이며 그 외에 경도나 중등도의 근시와 원시는 우성유전을 한다고 한다.2)5)
학동에 있어서 눈의 굴절이상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연구는 여러학자들에 의하여 계속되어왔다. 학동의 근시성 굴절 이상의 원인으로는 과도한 학습 외에도 유전성 경향, 급격한 문화생활의 도입, 그릇된 생활습성 및 환경 등에서 비롯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생활 주변에서 시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여 학동의 근시를 조기에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3)
이에 안과질환 중 근시를 주소로 2004년 8월 13일 동국대학교 강남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아의 치험 기록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 곽정윤. 소아굴절성약시안에 대한 임상적고찰. 경북의대지. 1988;29(1):56
2) 채병윤. 증보판 동의안이비인후과학. 집문당. 2004:176-178
3) 김태한, 김상민. 학동근시의 원인에 대한 조사. 대한안과학회잡지. 1977;18(1):45-46
4) 이상욱. 눈의 굴절과 이상. 대한안경인협회. 1984:45-66
5) 윤동호 외2명. 안과학. (주)일조각. 1998:207, 209-211
6) 최용태 외. 침구학(하). 집문당. 2004:1220-1221
7) 김갑성 외2명. 근시의 침구치료혈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0;7(1):349-351, 354
8) 김영진 외 5명. 시력회복을 위한 안구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91;30(1):423-426
9) 허준. 동의보감. 법인문화사. 1999:524-525
10) 최용태 외. 침구학(상). 집문당. 2004: 349, 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