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

 1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1
 2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2
 3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3
 4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4
 5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5
 6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
1. 호남성리학의 전개 안진오, 호남 유학의 탐구, 이회문화사, 1996, pp.60-61.
조선 전기의 성리학이 거경궁리의 수양론을 통한 ‘제왕학’으로서의 성실성을 강조하고 본성의 발현에 따른 ‘현실적 통치학’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면, 후기의 성리학은 성정 이기론(性情 理氣論)의 연구와 인물성의 같고 다름의 문제에 집착하는 이론 유학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조 말기에 열강의 침략이 시작되고 군사적 사상적 외침에 직면하면서부터 ‘외세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철학적 대응책을 모색하였던 당시의 유학자들은 성리학적 이론으로서 현실적 대응의 철학을 제시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후기 성리학자들의 이론은 이론이 아닌 현실적 대응 논리와 자기보존을 위한 철학적 모색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조 근대 유학의 학문적 특징은 위정척사의 정신을 실천한 구국 의병운동과 순수한 성리학적 이론의 연구와 성리학적 이론에 근거한 실천운동을 그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항로를 중심으로 한 기호계열의 학자들은 위정척사의 사상을 표방하고 의병활동에 적극 참여한 특징이 있다고 할 것이며, 전우 등의 간재학파와 이진상 등의 한주계열은 성리학의 연구와 학문적 진흥을 통하여 당시를 구제하고자 하였고, 기정진의 문인들은 노사의 유리사상과 성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현실구제의 철학으로 삼아서 의병활동을 하였던 것이다. 이 가운데서 노사와 간재의 학문은 호남의 근대 성리학으로서 두드러진 특징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들 두 학파는 서로 성리학적 이론이 달랐기 때문에 많은 논쟁이 오고갔는데 실제로는 이러한 논쟁을 통하여 각기 자가의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 호남 유학의 특징을 형성하였던 것이며, 나아가 조선조 유학의 특징을 형성하게 되었던 것이다.
1.-(1) 참고 : 호남의 성리학 앞의 책, p.35.
조선의 성리학은 도학사상의 학문적 연구였다는 점에서 자연스런 발전현상이었다. 호남의 성리학이 조선조 성리학과 다른 특징을 나타내게 된 것은 구체적으로 기대승과 이황의 사칠논변(四七論辯)에서 기대승이 이기일원적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이황의 이기이원적 주장과 견해를 달리한 데 기인하며, 기대승의 견해를 따르고자 하였던 기호의 선비들이 이황의 견해를 추종하는 영남의 선비들과 그 견해를 달리하였기 때문에 영남학과 기호학으로 학문적 특징을 구분하게 되었다.
성리학은 우주론, 인성론, 도덕론을 하나의 이론체계로 일관시켜 선의 발현이라는 인간 가치로 승화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조선조에 있어서 이러한 이론적 발전은 삼봉이나 양촌 등의 성리학 연구가 그 선하를 이룬 것이었지만 조광조의 피화 이후, 호남에 있어서는 많은 성리학적 이론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기묘명현으로서는 최산두 양팽손 등이 배출되었고 그 후 박순 기대승 등 성리학 연구에 공적을 남긴 학자가 많다.
2. 간재와 노사에 대하여
① 간재 전우
본관 담양. 호 간재. 자 자명.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임헌회 문하에서 20년간 학문을 닦아 윤치중·서정순과 함께 그의 제자가 되었다. 노론파 학자들의 학통을 이어, 이이와 송시열의 사상을 신봉하고 특히 이이의 학설을 옹호하였으나 주리·주기의 양설을 모두 배척, 절충적 이론을 세웠다. 1882년(고종19) 유일로 천거되어 선공감감역이 되고 그 후 강원도 도사·장령·순흥부사 ·중추원참의 등에 보직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만년에는 전라도의 계화도에서 후학을 가르쳤다. 저서에 《간재집》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