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

 1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1
 2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2
 3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3
 4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4
 5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5
 6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6
 7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7
 8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8
 9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9
 10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10
 11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11
 12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알고보면 재미있는 경제원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격은 엿장수 맘대로?
경제사상 2천년의 역사를 보면 고대에서 중세까지는 소비자의 만족도 즉, 수요측 요인을 중시하는 ‘효용가치론’이 득세하였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재화가 욕구되는 정도는 소비되는 재화묶음에서 그 재화를 빼거나 더할 때 생기는 변화에 의존한다.“라고 말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 변화가 재화가치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분명히 하였다. 이렇게 오랫동안 득세하던 효용가치론은 영국 경제사상가들에 의해 ‘노동가치론’으로 그 관점이 크게 바뀌었다. 아담 스미스는 물과 다이아몬드의 패러독스를 제시함으로써 상품의 가치가 효용에 비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그는 지대와 이윤이 없으면 가격은 투입된 노동량에 정확히 비례하지만 자본주의에는 지대와 이윤이 있으므로 노동가치론이 정확히 성립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1870년대 들어 제본스, 멩거, 왈라스 등의 경제학자들에 의해 효용을 중시하는 이론이 다시 나타났다. 이들은 가격이 효용에 비례하지 않으므로 가격설명에 있어서 효용을 배제해야 한다는 스미스의 의견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한계효용과 가격이 정확히 비례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입증했고 이를 ‘한계효용이론’이라 칭한다. 이후 한계효용가치론과 노동가치론이 정면으로 대립하는 한계혁명이 일어났고 이를 절충하려는 입장에서 마셜의 ‘가위양날의 비유’가 제시되었다.
지식이 많으면 돈도 잘 벌까?
경제학자 하이에크는 1945년에 발표한 이란 논문에서 지식의 종류로써 ‘과학적 지식(일반적 원리로서 설명될 수 있는 지식)’과 ‘국지적 지식(특정한 장소나 시간,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만 의미를 가지는 지식)’을 제시하였는데 새로운 경제체제인 사회주의 경제가 잘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이 생긴 것이 지식의 종류를 구분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20세기 들어서면서 상당수 경제이론가들은 비록 시장경제처럼 가격을 통해 거래가 원활하게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계획당국이 생산비용에 관한 조건과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관해 충분한 정보를 얻는다면 사회주의 경제하에서도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한동안 사회주의 경제가 잘 운영되어 이를 지지한 경제학자들의 주장이 맞는 듯했지만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사회주의는 붕괴되고 시장경제가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시장에서의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하이에크에 의하면 시장경제는 자신과 관련된 최소한의 정보만을 가지고 자신의 이익을 좇아 판단하더라도 경제 전체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즉, 경제 전체에 관한 과학적 지식이 없더라도 자신과 관련된 국지적 지식만으로도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기본원리5)’와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것은 좋은 수단이다.(기본원리6)’가 입증된다.
소비문화는 발전의 걸림돌인가?
미국 제도학파 경제학자인 베블런은 저서 에서 사회를 노동계급과 유한계급으로 나눠 유한계급을 ‘가치 있는 재화들을 과시적으로 소비하는것은 유한계급 남성이 명성을 얻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 선물과 잔치는 아마도 그런 유치한 과시욕과는 또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겠지만, ~’이라고 비꼬며 문화적 갈등에 초점을 맞춰 경제적 변화과정을 분석했다. 그는 약탈적 문화로 인해 발생된 과시적 소비가 사회발전을 가로막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와 동시대 미국 제도학파인 코먼스 등 대다수의 경제학파들은 그의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다. 코먼스는 제도는 ‘집단적 행동규칙’을 지칭하며,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즉, 소비(수요)가 있어야 생산(공급)도 원활해져 사회가 잘 운영되기 때문에 소비는 발전의 걸림돌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돈은 왜 돌고 도는 것일까?
돈이 순환되는 원인은 편리한 실물거래를 위함일 것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화폐를 교환의 매개물이며 원활한 실물거래를 위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기본원리 9에 의하면 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 그러나 만약 화폐가 교환의 매개물로만 쓰인다면, 화폐의 양이 많고 적음은 실물경제활동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렇듯 화폐의 수량이 실물경제활동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는 특성을 ‘화폐중립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만약 어떤 시점에 모든 사람에게 화폐가 2배씩 더 생긴다면 각자 물건을 더 사려고 하지만, 물건 값만 2배가 될 것이고 더 가진 화폐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그대로 똑같을 것이다. 말하자면 화폐가치만 반이 되고, 실질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의 양은 변화가 없다.
화폐량과 물가수준은 비례한다는 명제를 ‘화폐수량설’이라고 한다. 그러나 화폐가 가치저장 기능을 가지게 되고 화폐와 유사한 다양한 유가증권이 생길 경우, 화폐와 물가의 비례관계를 설정하고 있는 화폐수량설적 사고방식으로서만 현실 경제를 분석하려는 것은 타당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라 헨리 쏜톤은 화폐수량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관리통화제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관리통화제의 도입을 제안한 쏜톤의 생각은 지금위원회의 보고서에 반영되었지만, 이 보고서 자체는 의회 전체에서 채택되지는 않았다. 아마도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정교한 관리통화제도를 받아들이기에는 당시 여건이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이란 조직은 왜 생겼을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