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

 1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
 2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2
 3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3
 4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4
 5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5
 6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6
 7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7
 8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8
 9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9
 10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0
 11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1
 12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2
 13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3
 14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4
 15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요한시집을 중심으로 장용학 소설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 대상과 현실 극복 방법

2-1 이념의 폭력성 비판

2-2 신화적 현실의 비판

2-3 초월적 세계 지향을 통한 현실 극복



3. 작품의 구조적 특징

3-1 대립구조

3-2 원형적 구조



4. 장용학 문학의 위상과 한계

4-1 장용학 문학의 위상

4-2 장용학 문학의 한계



5. 결론
본문내용
장용학의 전후 현실 비판은 이념에 대한 허구성 고발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장용학의 전후소설은 전후 현실의 지배적 원리인 허구적 이념에 대한 고발과 그 폐기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구현되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전반에는 반문명적, 반사회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의 전 작품에 걸쳐 사용된 알레고리는 주로 전쟁을 발발시킨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존재의 위기 상황을 보다 깊이 있게 전달하기 위한 작가의 치밀한 의도에 따라 사용되었고 반복적으로 동일한 모티프의 사용을 통해서 작품 전체의 의미를 지배하도록 연출하였다. 장용학의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 핵심은 이념의 폭력성과 '신화적 현실'인 현대 문명의 허구성 비판으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은 장용학의 전후소설 가운데에서도 그의 작가 의식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이자, 비극적 전후 현실의 궁극적 원인과 대응책 등을 집요하게 추적한 점에서 여타 작가들과의 작품과는 구별된다.
현대 문명의 허구성을 고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작가는 사회에 길들여지는 한 개인의 성장 과정을 그린 삽화 형식의 알레고리를 통해 현대 문명인 사회적 이데올로기에 의식화되어 부지불식간에 자신의 일상을 지배당하게 되는 현대인의 비극적 현실을 고발한 것이다.
이러한 현실비판은 극복방안으로 절대적 자유의 추구, 존재의 본래성 회복 및 이상 세게 지향 등으로 구현되었으나 본고에서는 을 중심으로 절대적 자유추구 방안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에서 작가는 토끼 우화를 통해 탐색된 완전한 자유를 실현함으로써 허구적인 이념을 극복을 모색한다. 이런 점에서 분단 체제와 부정한 권력에서 비롯된 당시의 극단의 반공 이데올로기가 비록 작가의 소설적 상상력과 이에 따른 글쓰기를 심각하게 제약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부조리한 세계의 근원으로서의 이념의 문제를 토끼 우화의 알레고리를 통해 충분하고도 적절하게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토끼의 죽음이나 누혜의 죽음은 딘순한 죽음이 아니다. 토끼가 죽은 자리에서 자유의 버섯이 탄생하고 누혜의 유서를 읽고 동호의 의식 변화 조짐은 새로운 가능성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은 것을 말한다.
또한 장용학 소설의 형식적 특징으로 대립구조와 원형구조를 살펴보았다. 대립구조 형식은 부조리한 현실과 작가의 지향세계의 대립을 분명히 함으로써 작가의 비판의 핵심과 그에 대한 대응방식을 명확히 하는데 효과적 구조였다고 판단된다.
원형적 구조는 탄생- 죽음- 탄생이 하나의 원으로 이어짐으로써 현실의 부조리와 모순이 언젠가는 극복될 것이라는 가능성과 모든 것을 이원론적으로 판단하는 현실에서는 진정한 인간의 행복이 존재할 수 없음을 나타내려는 작가의 의도에 가장 적합한 장치였다. 이념 속에 내재된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절대적 자유에 대한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역설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작가의 의도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장용학은 한국전쟁에 따른 전후 현실의 문제점들을 단순히 재현, 증언하는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장용학의 문학적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현실 비판은 물론 인간의 총체성이 실현된 유토피아적 세계를 독특한 서사적 상상력을 통해 추구했다는 점에서 그 소설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반면, 그의 소설은 지나친 표현의 난해성과 작가가 제시하는 현실 극복 방안이 너무 현실과 동떨어져 실현 가능성이 매우 빈약하다는 한계를 지니기도 하지만 이런 점은 전후 현실의 극단적인 황폐상과 비인간성을 드러내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 연출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지엽적인 문학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장용학은 작가적 사명감과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를 통해 인간의 근원적 문제에 의문을 제기함은 물론 나아가 전후 현실의 부조리를 진단함으로써 1950년대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 주었다.
문명의 메카니즘 속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부조리한 현실의 극복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도 장용학의 소설은 여전히 그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하고 싶은 말
작가의 현실참여만을 중시하여 주제만 살아나면 문학성은 그리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주장이 문학의 본질을 간과한 것이라면, 작품의 관념성과 난해성만을 가지고 작가에 대한 평가를 속단하는 것 또한 올바른 비평적 자세가 아닐 것이다.
여기에서는 비정상적인 인물과 근친상간 등의 비정상적 상황설정과 표현의 난해성 등으로 그 평가의 극단을 달리는 장용학의 작품을 알레고리 수법에 맞춰 분석하되 그 난해성에 숨어있는 작가의 주제의식을 도출해내고 그의 문학적 위상과 한계 또한 함께 고찰해 나갔다.
이를 위해 먼저 내적 의미를 이루는 비판의 대상과 극복방법을 살펴보고 그 다음 작품에 나타난 구조적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작가가 관념적인 주제의식과 알레고리라는 난해한 표현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도출하여 그 위상과 한계를 정리하는 형식을 사용하였다. 단 논의의 지나친 확대를 막기 위해 작품은 <요한시집>이라는 장용학의 대표작에 국한시켜 접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