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소행성

 1  자연과학 소행성-1
 2  자연과학 소행성-2
 3  자연과학 소행성-3
 4  자연과학 소행성-4
 5  자연과학 소행성-5
 6  자연과학 소행성-6
 7  자연과학 소행성-7
 8  자연과학 소행성-8
 9  자연과학 소행성-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연과학 소행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론
현대의 우리는 인류의 멸망의 가능성에 대하여 이야기 할 때 제3차 세계대전 ,자원의 결핍 , 운석의 충돌등등 많은 요소를 들고 있는 데 그중에서도 운석의 충돌을 가장 우선 순위로 꼽고 있으며 이러한 소재를 가지고 많은 영화에서는 지구 멸망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를 쓰기도 한다. 그래므로 우선 아마겟돈에 나오는 소행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영화의 시작은 6천5백만년전 공룡의 천국이었던 푸르고 비옥한 지구에 직경 6마일의 운석이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충격은 핵폭탄 1만개의 위력과 맞먹는 양으로 1조톤의 먼지와 돌조각을 하늘로 날려보내 지구는 1천년동안이나 햇빛이 제대로 비치지 않는 죽은 행성으로 변하는게 되며 이로 인해 지구의 주인이었던 공룡은 멸종을 하고 지구는 황폐화된다. 그리고 영화는 이렇게 말한다.
“이것은 역사적 실화이며 언젠간 다시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다만 그게 언제가 될지 모를 뿐이다....”
과연 이 영화에서처럼 지구는 소행성의 영향을 받은 적이 있는지? 또 앞으로는 그러한 가능서이 있는지 그리고 있다면 그것의 파괴력은 어느 정도일까? 몹시 궁금해지는 요소들이다
미국 아리조나(베린저) 운석 충돌구.직경이 약 1 km인 이 운석 충돌구는 Canyon Diablo라는 철운석이 충돌하면서 만들어 졌다.
퉁구스카 소행성 충돌 산림피해
지구의 역사를 살펴볼 때 지구에 남아 있는 흔적들을 통해서 운석으로 인해 지구 생물체의 멸종 및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증거가 바로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200km에 달하는 충돌의 흔적이다. 이 흔적의 규모로 본다면 지름이 약 10km정도의 소행성과 부딪혔던 것으로 판단이 되는데 이 운석을 조사해본 결과 공룡이 사라진 시점인 6500만년 전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것은 공룡 멸종원인의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주장된 운석 충돌이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근거가 되는데 즉 영화의 도입부에서처럼 공룡은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로 인해 생긴 먼지구름이 지구전체를 뒤덮어 햇빛이 차단되어서 굶어 죽어 멸종했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가설은 뒷받침하는 또 하나의 증거는 앞의 운석이 발견되기 10년전 , 1980년 대 초 미국 알바레즈 교수가 중생대와 신생대 지층의 경계(K-T 경계)에 해당하는 퇴적암이 다른 암석에 비해 매우 높은 이리듐(Ir) 함량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한 사실이다. 과학적 설명을 덧붙이자면 이리듐은 지구화학적 분류에 의하면 친철원소에 해당하는데, K-T 경계층에서는 이리듐을 비롯하여 많은 친철 원소함량이 높게 나타나게 되었는데 친철원소는 지각이나 맨틀에는 소량이 존재하고 지구의 핵 부분에는 다량이 존재하는 원소이다. 이에 반해 지구에서 발견된 운석들은 지각이나 맨틀에 비해 이리듐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운석은 대부분 소행성의 파편으로 알려져 있다. 위의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서 지구의 환경과 생물들이 소행성의 충돌로 인해서 변화하고 사라졌다는 사실을 어느정도 추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충돌의 역사가 공룡시대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현재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소행성이나 혜성의 충돌로 인해 생긴 흔적으로 추측되는 곳은 약 150여군데 가량이 있다 그중에서 가장 최근의 것은.20세기 초 시베리아에서 일어난 대폭발인데 이것은 혜성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있다.1908년시베리아 퉁구스카에서 지름 30-50M정도의 물체가 지구 대기에 진입하면서 공중에서 폭발할 때 생긴 충격파로 인해 반경 20KM의 나무들이 잘려나가고 많은 동물들이 죽었다고 한다.(혜성이 지구상에 충돌한 기록은 소행성에 비해 매우 찾기가 힘들다. 왜냐하면 혜성은 주로 얼음과 비교적 약한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흔적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본론
1)소행성 충돌의 파괴력
그렇다면 소행성의 충돌로 인한 파괴력은 어느정도일까? 앞에서 언급한 시베리아 상공에서폭발했다고 추정되는 소행성의 크기가 50m인데 반해 그 파괴력은 히로시마 원자 폭탄의 200배였으며 충돌지역으로부터 200km 떨어진 곳에 지나가던 기차가 궤도를 이탈했다고 하니 그 파괴력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만약 직경100m의 소행성이 떨어진다면 히로시마원폭의 1000배의 파괴력을 가지게 되는데 크기는 두배 커지지만 그 파괴력은 5배가 커지는 것이다. 이러한 소행성의의 충돌의 가능성은 3000천년만에 한번 일어날 수 있다고 하는 데 이 경우까지는 지구전체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지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크기로는 1km정도의 소행성인데 이러한 충돌이 발생한다면 기후가 변화게 되며 식량공급이 중단되어 인류의 4분의1이 죽게 된다. 과학자들은 공룡이 멸종할 당시의 소행성의 크기가 6-12km로 보고 있는데 만약 7km가 충돌한다면 지구상에서 바퀴벌레를 제외한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게 된다. 소행성이 충돌하여 생성하는 충돌구의 지름은 소행성의 지름에 약 20배 정도이다. 가령 직경 1 km 정도의 소행성이 충돌한다면 약 20 km의 직경을 갖는 충돌구가 생성되는 셈이다. 이 정도의 충돌이라면 거의 8.7 x 1011 톤의 TNT 폭탄의 위력과 같은데 여기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의 위력의 약 4백만 배에 해당한다. 또 충돌 장소 뿐 아니라 전 지구가 영향을 받게된다. 이렇게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이유는 소행성이 지구대기로 진입하는 속도가 초속 20km 정도로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직경 1km 정도의 소행성은 떨어지는 확률은 매 35만년에 하나 정도로 추정된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 지름1km이상이 백만개 정도이다.(NASA)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