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
 2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
 3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3
 4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4
 5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5
 6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6
 7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7
 8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8
 9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9
 10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0
 11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1
 12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2
 13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 목차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용어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외국인 근로자
1) 외국인 근로자의 개념
2) 외국인 노동자 실태
3) 외국인노동자 관련 선행연구
2. 근로환경
1) 근로환경 개념
2) 근로환경 관련 선행연구
3. 직무만족도
1) 직무만족도 개념
2) 직무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 모형
1. 가설설정
2. 연구모형
Ⅳ. 연구방법
1. 표본추출
2. 질문지 구성
※부록(설문지)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수립이후 1960년대와 70년대의 새마을 운동과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급속한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리하여 1980년 대 중반까지 노동인력을 해외로 수출하던 한국경제는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낸 80년대 후반부터 국내 인건비 상승과 노동인력의 3D업종 기피로 인하여 제조업체의 인력난 현상이 심각해지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산업구조조정과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과정에서 인력난을 겪었으며, 이러한 인력난은 규모면에서는 중소기업, 산업면에서는 제조업이 그리고 직종 면에서는 생산직에서 뚜렷한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다.
이 시기부터 취업을 목적으로 한 중국 조선족을 비롯한 외국인 근로자들의 입국이 급증하였으나 이들은 거의 방문비자를 받고 입국하여 불법적으로 취업했던 미숙련 생산직 종사자였다. 이에 1993년부터 이들의 불법체류를 막고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위해 합법적으로 노동인력을 유입할 수 있는 산업 연수생 제도를 마련하였으나 이는 불법체류자보다 열악한 환경과 저임금으로 지정연수업체를 이탈하여 스스로 불법체류자가 되도록 하는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98년 IMF 위기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던 외국인 수는 2003년 불법체류자에 대한 합법화 조치로 등록외국인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결국 2004년 고용허가제가 시행되었으나 2006년 법무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자료에 의하면 21만여 명의 불법체류 외국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등록외국인의 수도 63만 명 이상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09년 5월 기준 공식통계만으로도 한국내 외국인근로자수는 57만 명 이상이고 자녀수는 10만 여명이 넘어가고 있다. 불법 체류자까지 합쳐 115만 여명이 넘어간다. 이들은 산업연수생, 관광, 친지방문 등의 목적으로 국내에 들어 왔다가 본래의 목적과 달리 근무지 이탈과 그들의 변질된 목적을 위해 전국에 흩어져 살아가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는 이미 한국 노동시장 안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자꾸만 낮아지고 있고 이 현상이 계속될 경우 외국인 근로자로 노동인력을 대체하는 다민족국가로 갈 수 밖에 없다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국민일보, 2005. 4. 17).
하지만 외국인 근로자가 국적이 다르다는 이유로 억압받거나,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근로자로서 적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문화적으로 차별 당하는 일들이 이들 외국인 근로자들의 증가만큼 늘어나고 있다.
3D업종에 취업하고 있는 수가 많은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조건은 한국인 근로자에 비해 매우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임금, 과도한 근로시간, 열악한 작업환경과 숙식 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고춘기,1994).
외국인 근로자는 한국어와 한국의 노동문화에 미숙하기 때문에, 같은 사업장에서 노무를 제공하더라도 더욱 열악한 상황으로 빠져들 수 있다. 본 국을 떠나 외국에 있다는 점과 사용자에게 종속되어 있는 근로자라고 하는 이중의 종속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최홍엽,2003).
특히 비좁은 주거환경, 과다한 업무와 격무에 시달리는 직장생활과 서로 다른 종교생활과 문화차이로 고통 받고 있으며, 경제적인 이유로도 위생적이지 못하게 살아가고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들의 언어문제는 직장에서 내국인과 함께 살아가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직장 내에서 이들에게 가해지는 언어폭력과 함께 예사로운 반말과 인격무시 등은 번번이 일어나고 있지만 항의조차 제대로 할 수 없다. 그리고 이들이 스트레스를 풀 만한 대외활동이나 모임, 적합한 장소가 없어서 그들의 스트레스에 의한 범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