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

 1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
 2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2
 3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3
 4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4
 5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5
 6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6
 7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7
 8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8
 9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9
 10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0
 11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1
 12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2
 13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3
 14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4
 15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혜경궁 홍씨의 일생 - 한중록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혜경궁 홍씨의 일생
-『한중록』을 중심으로 -
목차
I.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범주
II. 혜경궁 홍씨의 일생 재구성
1. 입궁
2. 사도세자의 죽음
3. 정조의 즉위와 친정의 몰락
III. 『한중록』비판적 분석
1. 영조와 사도세자의 관계
2. 사도 세자의 정신병
IV. 결론
참고문헌
I. 서론
1. 연구 목적
문학 활동은 현실 세계를 반영해왔다. 작가의 개인적 경험은 글을 통해 현실의 경험이 되었다.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은 개인적인 인생을 철저한 기록 자료에 기초하여 훌륭한 일기로 만들었다. 혜경궁은 한중록에서 당사자가 아니면 잘 알 수 없는 또 높은 지위가 아니면 볼 수 없는 사도세자의 죽음이라는 사건의 이면을 폭로하고 있다. 또한 여성문학이라는 관점에서도 한중록은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한중록의 섬세한 사건 묘사와 심리 분석은 여성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며 동시에 여성의 시각에서 궁중 여인의 원초적인 한과 폐쇄된 사회에서 친정의 성쇠를 짊어진 무게를 짐작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혜경궁 홍씨의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한중록』 속에는 그녀의 삶뿐만 아니라 궁중과 처가의 다양한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래서『한중록』을 두고 둘러싼 갈등이 여전히 지속 중이다. 한중록이 모두 진실에 기초했다는 주장과 혜경궁 홍씨가 집안의 부흥을 위해 손자에게 왜곡된 글을 바쳤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인데 정병설, , 341쪽 / 이덕일, 『사도세자의 고백』, 푸른역사, 1998. 338~ 339쪽
, 혜경궁 홍씨가 무너진 집안을 다시 부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한중록을 썼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이는 집안의 억울함과 사도 세자의 정신 병력을 자세히 기술했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따라서 본고는 두 가지 관점을 합쳐 본론 1에서는 한중록을 기초로 혜경궁의 삶을 시기 순으로 재구성하고 본론 2에서는 비판적 사료들을 참고하여 한중록을 비판적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가장 논의가 활발하게 되고 있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관계와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상반된 쟁점을 제시하여 『한중록』의 역사적 타당성을 밝히고자 한다.
2. 연구사의 검토
우선 『한중록』해석의 기초작업을 연구한 연구사를 검토하면 맨 처음으로 이병기가 1939년부터 1940년대까지 『文章』에 작품 소개와 주해를 발표하여 『한중록』작품 연구의 장을 열었다. 1947년에는 이를 모아 주석본을 간행하였고 김동욱이 가람의 작업을 보충하여 1961년 민중서관에서 한중만록을 간행하였는데 김동욱의 주석본은 작품 전편을 주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책은 여러 이본 즉 일사 방종현 소장의 일사본과 가람이 갖고 있던 가람본, 그리고 나손의 본인 소장의 나손본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된 한문본 읍혈록을 대교하여 원문 이해에 완벽을 기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김동욱의 주석본은 이후 수많은 번역본의 저본이 되었고 한중록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본고에서는 김동욱의 종합본에서 빠진 병인추록이 포괄된 정병설의 한중록을 참고하였다.
해석 기초 작업과 별도로 『한중록』연구에 독보적 지위를 차지한 이는 김용숙이다. 김용숙은 1958년 국어국문학 제 19호에 『사도세자의 비극과 그의 정신분석학적 고찰』을 발표한 이후 평생을 『한중록』연구에 몰두하여 『한중록 연구』(정음사, 1987)로 집대성했다.
한중록은 국외에서도 번역되었는데 1996년 김자현 교수에 의해 번역되었다. 김자현 교수의 책은 종전에 『한중록』의 장르를 수필이나 회고록으로 평범하게 해석, 접근했던 것을 해를 달리하여 서술했던 네 편의 글을 각각 다른 양식으로 묶었다는 의의가 있다. 비록 『한중록』이라는 한 제목 아래 묶인 글이지만 4편은 각각 다른 양식이라는 것이다. 이는 한중록 의 정밀한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연구 논문들이 있다. 『한중록』을 통해 혜경궁을 비롯한 주변 왕실 인물들을 살펴보는 연구에는 정조 즉위 전을 중심으로 이금희의『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태도』가 있고 이은순의『 한중록에 나타난 사도세자의 사인』과 김용숙의 『이조 여인상 연구 (3) - 「 한중록 」 의 두 여인들』등이 있다. 그 외에도 여성의 한에 집중하는 등의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3. 범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