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

 1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
 2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2
 3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3
 4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4
 5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5
 6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6
 7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7
 8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8
 9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9
 10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0
 11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1
 12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2
 13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3
 14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4
 15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5
 16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6
 17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7
 18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8
 19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19
 20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조선시대동북아국제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차례
※연대표
Ⅰ 머리말
Ⅱ 한국을 둘러싼 동북아 국제관계의 역사적 흐름과 변천과정
조선시대의 동북아 국제관계
- 사대교린 질서와 서양 만국공법질서, 그리고 식민지시대
1. 조선과 열강들 간의 관계: 사대교린질서와 만국공법 간의 충돌
1) 이양선의 출몰
2) 두 번의 양요
3) 조선책략과 서구 열강들과의 조약 체결
2. 조선과 일본의 관계: 교린질서의 붕괴
1) 운요 호 사건
2) 강화도 조약
3) 김기수의 수신사 파견
3. 조선을 둘러싼 열강들 간의 관계
1) 청일 관계
2) 러일 관계
4. 식민지 시대의 동북아 관계
1) 1910년대 한반도의 국제관계
2) 1920년대 한반도의 국제관계
3) 1930년대 한반도의 국제관계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냉전시대 북방삼각동맹과 남방삼각동맹의 대립기
1. 해방직전의 국가별 전시 외교상황 및 정책
1)미국의 한국정책: 전시 회담을 중심으로
2)중국의 한국정책: 강대국의 지위 회복
3)영국의 한국정책: 제국 복귀
4)소련과 한반도: 한반도 개입문제에 대한 재평가
2. 해방시기와 6·25 전쟁을 둘러싼 국가별 외교상황 및 정책
1)미·소의 구상, 한반도 분할점령과 분단의 고착화
2) 6·25 전쟁의 발발과 각국의 외교
3.박정희 정권기의 국가별 외교상황 및 정책
1) 미국의 외교정책
2) 소련의 외교정책
3) 중국의 외교정책
4) 일본의 외교정책
5) 북한의 외교정책
Ⅲ 동북아 국제관계에서 한국의 자리 잡기 노력과 그 한계
조선 시대의 외교적 노력
1. 박규수의 대외인식
2. 조선의 식민지 탈피시도와 실패
식민지 시대의 외교적 노력
1. 3·1운동
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대한민국의 외교적 노력
1. 해방과 이승만 대통령 시기
2. 박정희 대통령 시기
1) 베트남전쟁과 한일협정
2) 북한의 도발과 한미동맹의 균열
Ⅳ 결론
Ⅴ 참고문헌
※연대표
-(19C 초중반) 이양선의 출몰
-(1866년 8월) 제너럴 셔먼 호 사건
-(1866년 9월) 병인양요
-(1868년 5월) 남연군묘 도굴 사건
-(1871년 5월) 신미양요
-(1875년 9월) 운요 호 사건
-(1876년 2월) 강화도 조약
-(1876년 5월) 김기수의 수신사 파견
-(1882년 5월)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년 6월) 조영수호통상조약
-(1882년 6월) 조독수호통상조약
-(1882년 7월) 임오군란
-(1882년 8월) 제물포조약과 조일수호조규조약
-(1882년 10월)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1884년 12월) 갑신정변
-(1885년 1월) 한성조약
-(1885년 4월) 거문도사건
-(1885년 4월) 톈진조약
-(1894년 6월 ~ 1895년 4월) 청일전쟁
-(1895년 4월) 시모노세키조약
-(1896년 2월) 아관파천
-(1896년 5월) 베베르-고무라 각서
-(1896년 6월) 러·청 비밀군사동맹과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1898년 4월) 로젠-니시 의정서
-(1902년 2월) 제1차 영일동맹
-(1905년 8월) 제2차 영일동맹
-(1904년 2월 ~1905년 8월) 러일전쟁
-(1905년 9월) 포츠머스 강화조약
-(1905년 11월) 을사조약
-(1907년 6월) 헤이그 2차 세계평화회의 개회
-(1907년 7월) 정미조약
-(1910년 8월) 한일합병조약
-(1910년 10월) 조선 총독부 설치
-(1911년 7월) 3차 영일동맹
-(1911년 7월) 105인 사건
-(1914년 7월) 제1차 세계대전
-(1914년 7월) 대한광복군 정부 수립
-(1917년 11월) 이시이-렌싱 조약
-(1917년 11월) 러시아 혁명
-(1918년 1월) 윌슨, 14개조 평화원칙
-(1918년 11월) 제1차 세계대전 종전
-(1919년 1월) 고종 승하
-(1919년 2월) 2.8 독립선언
-(1919년 3월) 3.1 독립운동. 21일 러시아령 블라디보스톡, 대한국민의회 수립.
-(1919년 3월) 김규식, 파리에 한국대표부 설치.
-(1919년 4월) 전문 제10조 채택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선포
-(1919년 5월) 중국 5.4운동
-(1919년 5월) 김규식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 제출.
-(1919년 7월) 국무원령 제1호로 국내와의 긴밀한 연락을 위한 임시연통제실시공포
-(1919년 8월) 사이토 마코토, 제3대 총독으로 취임
-(1920년 7월) 임시정부, 소련정부와 비밀협정 체결.
-(1921년 10월) 신규식을 광동호법정부에 파견하고 외교관계수립.
-(1921년 11월) 워싱턴 회의
-(1923년 1월) 상해에서 국민대표회의(國民大表會議)개최.
-(1925년 1월) 이승만 대통령 탄핵 후 박은식 취임.
-(1927년 3월) 임시정부 집단지도체제(국무위원제)로 개편하는 3차 개헌
-(1930년 5월) 간도 5.30 사건
-(1931년 7월) 만보산 사건
-(1931년 9월) 만주사변 발발
-(1932년 1월) 이봉창 의거.
-(1932년 4월) 윤봉길 의거.
-(1934년 3월) 해외독립단체들 대일 공동투쟁 합의.
-(1937년 7월) 중일전쟁 발발
-(1939년 9월) 제 2차 세계대전 발발
-(1940년 9월) 한국광복군 창설(총사령 이청천, 참모장 이범석)
-(1941년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제정공포.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 발발
-(1941년 12월) 대일 선전포고.
-(1943년 8월) 광복군, 연합군 요구로 미얀마전선에 참여
-(1943년 11월) 카이로 회담
-(1943년 12월) 주석 김구 ,카이로선언에 대한 성명 발표(즉각적이고 완전한 독립주장)
-(1945년 2월) 얄타회담
-(1945년 2월) 독일에 선전포고.
-(1945년 4월) 한국광복군, 미군 OSS와 연합작전 추진.
-(1945년 7월) 포츠담 선언 - 일본의 항복을 확정
-(1945년 8월) 한국 해방에 대한 트루먼 미국대통령의 성명서 발표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 회담
-(1947년 7월) 미·소 공동회의 의견불일치에 대한 한국 대표단 신고서
-(1947년 8월) 소련 외상 모로토프와 미 국무장관 마샬 간의 서신
-(1948년 6월) 국제연합(UN), 임시한국위원단 결의
-(1948년 9월) 한국 점령군 철수에 대하여 미국에 대한 소련의 제안
-(1948년 12월) 국제연합(UN), 대한민국 승인
-(1949년 1월) 백악관 성명, 미국의 대한민국 승인을 발표
-(1949년 6월) 한국으로부터 미군철수에 대한 미외무성 성명
-(1949년 7월) 국제연합 한국위원단 신고
-(1950년 1월) 애치슨 선언
-(1950년 6월) 한국 전쟁의 발발
-(1950년 7월) 당일 UN군 통합사령부 설치를 요청하는 UN 안보리 결의문
-(1950년 10월) 유엔총회는 한반도에서 아래 선거를 실시해 통일 한국정부를 수립결의
-(1953년 6월) 아이젠하워 미국대통령과 이승만대통령의 서한
-(1953년 7월) 이승만대통령과 월터 S 로버트슨 미국무차관보의 공동성명
-(1953년 7월) 정전협정 서명, 한·미 상호 방위조약 비준서 서명
-(1954년 4월 ~ 6월) 제네바회담
-(1954년 12월) 한국에 관한 국제연합의 목적을 재확인하는 UN 총회의 결의
-(1960년 4월) 4·19사태에 관한 미 국무성 성명서
-(1960년 6월) 허정국무총리와 아이젠하워 미국대통령의 공동성명서
-(1961년 5월) 5·16 군사정변
-(1962년 1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3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당선 - 제 3공화국
-(1964년 6월) 6·3 시위 -일본과의 외교 반대시위
-(1965년 1월) 월남파병 결정
-(1965년 6월) 한일협정 조인
-(1968년 1월) 김신조 일당의 청와대 기습사건
-(1968년 1월) 푸에블로 호 납치 사건
-(1970년 8월) 8·15선언 북한에 대해서 평화적인 선의의 경쟁체제 제의
-(1971년 8월) 대한 적십자가 남북한의 이산가족 찾기를 위한 남북회담 제의
-(1972년 7월) 7·4 남북 공동성명
-(1972년 8월) 남북 적십자 회담 (평양)
-(1972년 10월) 유신체제
-(1973년 6월) 6·23 선언
-(1974년 1월) 남북 상호 불가침협정 제의
-(1975년 8월) 남한 핵개발 시도 및 포기
-(1979년 10월) 10·26사태
Ⅰ 머 리 말
중국의 부상, 일본의 보통국가화 시도, 북핵 위기 등 21세기의 동북아시아는 다양한 이슈들을 안고서 역동적이고 불투명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가 엮어서 나올 결과물이 조화로운 합창이 될 것인지, 그렇지 않다면 고성방가가 난무하는 싸움터로 변할 것인지는 아무도 확실히 알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동북아시아의 세력판도를 형성하고 있는 국가들이 평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는 이상 동북아시아는 그 어떤 지구 상의 분쟁지역들 보다 위험한 지역이 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역시 그 국가들 중 하나로 사실 그 어떤 국가들보다 평화를 갈구할 수밖에 없는 중등국가이다. 한국에서 정치와 외교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탐구하는 것은 동북아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이며 앞으로 평화를 위하여 어떠한 길을 걸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기 위한 여정이다. 그리고 그 여정의 가장 기초에 ‘역사’가 있다.
역사를 이미 지나버린 일으로 치부하고 오로지 현재에서만 어떠한 현상을 탐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아직 없지만 축적된 과거에서 나오는 경험은 결국 현재를 만들고 있는 근간이자 미래를 어느 정도 예상하게 할 수 있는 ‘유사경험’사례를 제시해 줄 수 있다. 사실 한국을 둘러싼 21세기의 동북아시아의 정세가 19세기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으며 이 연구의 출발점 역시 그러한 주장에서 동기부여를 받은 면이 많다. 19세기의 한국을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정세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는 역사적 흐름과 외교의 변천과정을 탐구하는 것이 현재 21세기의 동북아시아에서 한국의 미래로 이어지는 청사진을 그리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 하에서 이 연구는 우선 동북아시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